근로기준법위반

사건번호:

97도1091

선고일자:

1997082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사용자가 퇴직 근로자에게 퇴사 후 14일 이내에 임금지급기일연장의 합의 없이 체불임금 등을 지급하지 않고 그 기간 이후 체불임금을 지급하여 합의한 경우, 근로기준법 제109조 위반 여부(적극)

판결요지

근로기준법 제30조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에 사용자는 그 지급사유가 발생한 때로부터 14일 이내에 임금·보상금 기타 일체의 금품을 지급하기로 규정함으로써 퇴직 근로자 등의 생활안정을 도모하기 위하여 법률관계를 조기에 청산하도록 강제하는 한편 특별한 사정이 있을 경우에는 당사자간의 합의에 의하여 기일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바, 위 임금 등 체불로 인한 근로기준법 제109조 위반죄는 그 지급사유 발생일로부터 14일이 경과하는 때에 성립하므로, 사용자는 지급사유가 발생한 때로부터 14일 이내에 근로자와 기일연장을 합의하여야 하고, 그 기간이 지나 근로기준법위반죄가 성립한 후에는 비록 합의가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이는 정상참작 사유는 될지언정 범죄로 되지 아니한다고 할 수는 없다.

참조조문

근로기준법 제30조 , 제109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5. 11. 10. 선고 94도1477 판결(공1995하, 3959)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 【원심판결】 서울지법 1997. 4. 9. 선고 97노216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근로기준법 제30조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에 사용자는 그 지급사유가 발생한 때로부터 14일 이내에 임금·보상금 기타 일체의 금품을 지급하기로 규정함으로써 퇴직 근로자 등의 생활안정을 도모하기 위하여 법률관계를 조기에 청산하도록 강제하는 한편 특별한 사정이 있을 경우에는 당사자간의 합의에 의하여 기일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바, 위 임금 등 체불로 인한 근로기준법 제109조 위반죄는 그 지급사유 발생일로부터 14일이 경과하는 때에 성립하므로 ( 당원 1995. 11. 10. 선고 94도1477 판결 참조), 사용자는 지급사유가 발생한 때로부터 14일 이내에 근로자와 기일연장을 합의하여야 하고, 그 기간이 지나 근로기준법위반죄가 성립한 후에는 비록 합의가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이는 정상참작 사유는 될지언정 범죄로 되지 아니한다고 할 수는 없다.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은 1995. 2. 15. 근로자들이 퇴사한 후 14일이 훨씬 지나 이 사건 근로기준법위반죄로 기소된 후인 1996. 8.경 근로자 김이준 등 9명에게, 같은 해 12.경 근로자 김봉길에게 그 각 체불임금을 지급하여 합의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을 뿐, 근로자와 지급사유 발생일로부터 14일 이내에 기일을 연장하기로 합의한 것이 아니므로 근로기준법 제109조 위반죄의 성립에는 영향이 없다 할 것이다. 논지는 이유가 없다. 이에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형선(재판장) 박만호(주심) 박준서 이용훈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퇴직금, 약속한 날까지 안 주면 불법!

퇴직금 지급 기일을 근로자와 합의하여 연장했더라도, 연장된 기일까지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으면 사용자는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다.

#퇴직금#지급기일 연장#합의#미지급

형사판례

퇴직 근로자 연말정산 환급금, 14일 안에 꼭 지급해야 합니다!

회사가 퇴직한 직원의 연말정산 환급금을 14일 안에 주지 않으면 법 위반입니다.

#퇴직#연말정산 환급금#미지급#근로기준법 위반

생활법률

직원 퇴사? 사망? 14일 안에 돈 줘야 합니다! (feat. 지연이자 20%)

직원 퇴사 또는 사망 시, 고용주는 14일 이내에 임금, 보상금 등 모든 금품을 지급해야 하며, 미지급 시 연 20%의 지연이자를 지급하고 최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

#퇴사#14일#임금 지급#퇴직금

형사판례

퇴직 시 연말정산 환급금, 14일 안에 꼭 줘야 할까요?

퇴직 시 받는 연말정산 환급금은 임금, 퇴직금 등과 마찬가지로 회사가 14일 이내에 지급해야 할 의무가 있다.

#연말정산 환급금#퇴직#14일 이내 지급#근로기준법

형사판례

퇴직 전 발생한 체불임금, 언제까지 책임져야 할까?

크레인 운전기사의 임금 체불에 대한 회사 대표의 책임 여부를 다룬 사건에서, 대법원은 사용자의 범위와 임금 체불에 대한 처벌 규정의 해석, 그리고 공소시효 완성 여부를 판단하여 피고인에게 면소 판결을 내렸습니다.

#크레인 기사#임금 체불#사용자 책임#공소시효

상담사례

미리 받은 퇴직금, 돌려줘야 할까요? 🤔

퇴직 전에 매달 월급과 함께 받은 퇴직금은 법적으로 무효인 분할약정에 따른 부당이득이므로 회사에 반환해야 할 수 있습니다.

#퇴직금#분할약정#부당이득#반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