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선거및선고부정방지법위반

사건번호:

97도729

선고일자:

199705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일간신문 배달원에게 선거에 관한 기사가 게재된 정당의 당보를 신문 간지로 끼워서 구독자들에게 배부하게 하는 행위가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상 ‘신문·잡지 등의 통상방법 이외의 배부죄’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구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2005. 8. 4. 법률 제768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5조 제1항, 제252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원심판결】 대전고등법원 1997. 2. 14. 선고 96노46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시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인이 일간지인 충청일보의 배달원으로 하여금 선거에 관한 기사가 게재된 새정치국민회의의 당보를 신문 간지로 끼워서 그 구독자들에게 배부하게 한 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제1심판결을 유지하고 있는바, 기록과 관계 법규정에 비추어 검토하여 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주장과 같이 채증법칙을 위반하여 사실을 오인한 위법이나 정당활동 또는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의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지창권(재판장) 천경송 신성택 송진훈(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지역 신문 배포, 선거법 위반일까?

평소처럼 발행하던 무료 지역신문에 선거 관련 기사를 싣고, 기존 방식대로 배포했다면 선거법 위반이 아니다.

#지역신문#선거기사#배포#통상적 방법

형사판례

정당 활동, 어디까지 허용될까? - 선거철 홍보물 배포, 통상적인 정당활동 vs. 불법 선거운동

선거일 전 180일부터 선거일까지 특정 후보를 지지하는 내용의 책자나 신문 등을 배포하는 것은 통상적인 정당활동이 아니며, 선거법 위반에 해당한다.

#선거법 위반#선거홍보#책자 배포#지구당보

형사판례

선거철 신문 배포, 조심하세요! 뿌린 만큼 책임도 따라옵니다.

선거 후보자에게 불리한 기사를 실은 신문을 평소보다 많이 인쇄하여 특정 정당에 배포한 행위는 선거법 위반이다. 광고 수주 목적이 있었다 하더라도 선거에 영향을 미치려는 의도가 인정되어 유죄 판결을 받았다.

#선거법 위반#후보 비방 기사#신문 배포#특정 정당

형사판례

선거법 위반, 우편물 발송은 언제부터 '배부'일까?

선거 전에 선거인들에게 우편으로 문서를 보내려다 선관위의 요청으로 우체국에서 발송 전에 압수된 경우, 이를 선거법 위반(배부행위)으로 볼 수 없다는 판결.

#선거#문서#우편#압수

형사판례

지역 신문 발행인의 선거법 위반 논란

지역 신문 발행인이 평소보다 훨씬 많은 부수의 신문을 찍어 선거에 출마할 예정인 경쟁 후보를 비판하는 기사를 싣고 배포한 행위는 선거법 위반이다.

#선거법 위반#신문 과다 배포#경쟁 후보 비판#통상방법 위반

형사판례

인터넷 링크, 신문 배부 아니다

인터넷 웹사이트에 글을 올리면서 신문 기사 링크를 걸거나 기사 내용을 복사해서 붙여넣는 행위는 선거법에서 금지하는 신문 배부 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

#공직선거법#인터넷 링크#기사 복사#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