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주건조물방화(인정된 죄명 : 실화)·현주건조물방화미수

사건번호:

97도957

선고일자:

199706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중지미수의 성립요건 [2] 방화 후 불길이 치솟는 것을 보고 겁이 나서 불을 끈 경우를 중지미수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범죄의 실행행위에 착수하고 그 범죄가 완수되기 전에 자기의 자유로운 의사에 따라 범죄의 실행행위를 중지한 경우에 그 중지가 일반 사회통념상 범죄를 완수함에 장애가 되는 사정에 의한 것이 아니라면 이는 중지미수에 해당한다. [2] 피고인이 장롱 안에 있는 옷가지에 불을 놓아 건물을 소훼하려 하였으나 불길이 치솟는 것을 보고 겁이 나서 물을 부어 불을 끈 것이라면, 위와 같은 경우 치솟는 불길에 놀라거나 자신의 신체안전에 대한 위해 또는 범행 발각시의 처벌 등에 두려움을 느끼는 것은 일반 사회통념상 범죄를 완수함에 장애가 되는 사정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이를 자의에 의한 중지미수라고는 볼 수 없다.

참조조문

[1] 형법 제26조 / [2] 형법 제26조 , 형법 제164조 제1항 , 제174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85. 11. 12. 선고 85도2002 판결(공1986, 91), 대법원 1992. 7. 28. 선고 92도917 판결(공1992, 2696), 대법원 1993. 10. 12. 선고 93도1851 판결(공1993하, 3129)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 【변호인】 변호사 박정규 【원심판결】 부산고법 1997. 4. 3. 선고 97노189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 후의 구금일수 중 45일을 본형 중 징역형에 산입한다. 【이유】 피고인 및 국선변호인의 상고이유를 함께 판단한다. 1. 원심이 유지한 제1심판결이 적법하게 조사, 채택한 증거들을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피고인에 대한 제1심 판시 각 범죄사실을 유죄로 인정하고, 피고인이 이 사건 범행 당시 음주 및 간질발작으로 인하여 심신장애의 상태에 있었던 것이 아니라고 본 원심의 조처는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채증법칙에 위배하여 사실을 오인하였거나 심신장애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그리고 징역 10년 미만의 형이 선고된 이 사건에 있어서 양형부당의 점은 적법한 상고이유가 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2. 피고인이 이 사건 현주건조물방화미수 범행 당시 라이터로 휴지에 불을 붙여 장롱 안에 있는 옷가지에 놓긴 하였으나 이를 후회하고 스스로 곧 진화하였으므로 형의 필요적 감면사유인 중지미수에 해당한다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원심에서 제기하지 아니한 새로운 주장으로서 원심판결에 대한 적법한 상고이유가 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직권으로 살펴보아도 상고이유로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피고인이 스스로 범행을 후회하여 진화한 것이라고 인정할 만한 자료가 없다. 그리고 범죄의 실행행위에 착수하고 그 범죄가 완수되기 전에 자기의 자유로운 의사에 따라 범죄의 실행행위를 중지한 경우에 그 중지가 일반 사회통념상 범죄를 완수함에 장애가 되는 사정에 의한 것이 아니라면 이를 중지미수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지만( 당원 1985. 11. 12. 선고 85도2002 판결, 1993. 10. 12. 선고 93도1851 판결 등 참조), 원심이 유지한 제1심판결이 적법하게 확정한 바와 같이, 피고인이 장롱 안에 있는 옷가지에 불을 놓아 건물을 소훼하려 하였으나 불길이 치솟는 것을 보고 겁이 나서 물을 부어 불을 끈 것이라면, 위와 같은 경우 치솟는 불길에 놀라거나 자신의 신체안전에 대한 위해 또는 범행 발각시의 처벌 등에 두려움을 느끼는 것은 일반 사회통념상 범죄를 완수함에 장애가 되는 사정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이를 자의에 의한 중지미수라고는 볼 수 없다. 논지도 이유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 후의 구금일수 중 일부를 본형 중 징역형에 산입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신성택(재판장) 지창권(주심) 송진훈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칼에 찔린 피해자, 피 흘리는 모습에 범인이 겁먹고 도망갔다면… 이건 '중지미수'일까?

살인하려 칼로 찔렀지만 피를 보고 겁먹어 멈춘 것은 자수(중지미수)로 인정되지 않고 미수로 처리됩니다. 또한, 확정된 약식명령도 이전에 저지른 범죄와 함께 경합범으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살인미수#자수(중지미수) 불인정#경합범#약식명령

형사판례

불이 붙었다면… 방화죄 기수 시점은?

살인 후 시신 위에 불을 붙여 천장에 불이 옮겨붙었다면, 완전히 타지 않았더라도 방화죄가 성립한다는 판결.

#방화죄 기수#시신#천장#현주건조물방화

형사판례

휘발유 뿌리고 라이터 켜면 방화 미수? 방화죄 실행의 착수 시점은 언제일까?

집에 불을 지르려고 휘발유를 뿌리고 라이터를 켜서 사람 몸에 불이 붙었지만 집에는 불이 붙지 않은 경우에도, 방화죄의 실행에 착수한 것으로 본 판례.

#방화죄#실행의 착수#휘발유#라이터

형사판례

석연치 않은 증언, 방화범 누명 벗겨주다!

식당에 불을 질렀다는 혐의로 기소된 피고인에 대해, 대법원은 피해자의 진술 외에는 뚜렷한 증거가 없고, 그 진술마저 신빙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유죄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했습니다.

#방화#무죄#피해자 진술#신빙성 부족

형사판례

모텔 방 화재, 방치하고 나왔다고 방화죄?

투숙객이 자신의 과실로 모텔 방에 불을 냈지만, 화재 사실을 알고도 다른 사람에게 알리지 않고 나온 행위만으로는 방화치사상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모텔 화재#투숙객#방화치사상#무죄

형사판례

"다음에 만나면..." 강간범의 변명, 통할까? 중지미수 vs. 장애미수

강간을 시도하다가 피해 여성의 부탁으로 그만둔 경우, 그 부탁이 강제적인 것이 아니라면 자발적으로 범행을 멈춘 것으로 보아 '중지미수'에 해당한다.

#강간#중지미수#피해자 부탁#자발적 중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