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무효

사건번호:

97후846

선고일자:

199812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특허발명이 진보성이 없어 무효라고 본 사례

판결요지

특허발명이 그것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발명의 출원 전에 반포된 간행물들에 기재된 기술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발명할 수 있는 것으로서 진보성이 없어 무효라고 본 사례.

참조조문

구 특허법(1990. 1. 13. 법률 제4207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6조 제2항(현행 제29조 제2항 참조) , 제69조 제1항 제1호(현행 제133조 제1항 제1호 참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1. 10. 11. 선고 90후1284 판결(공1991, 2723), 대법원 1996. 7. 26. 선고 95후1197 판결(공1996하, 2660), 대법원 1997. 11. 28. 선고 97후341 판결(공1998상, 112)

판례내용

【심판청구인,피상고인】 에프. 호프만-라 롯슈 에이지 (소송대리인 변리사 김창세 외 3인) 【피심판청구인,상고인】 제일제당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리사 최규팔 외 2인) 【원심심결】 특허청 항고심판소 1997. 2. 28.자 94항당392 심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심판청구인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원심심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이 사건 특허발명(특허 제52269호)에 대한 특허 무효 여부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인정·판단하였다. 이 사건 특허발명 중 특허청구범위 제1항은 중합효소 연결반응에 의하여 합성된 전서열(前序列)을 수반하지 않는 사람의 성숙한 백혈구 인터페론 유전자 DNA를 형질 발현기구에 직접 연결하여 사람 알파 인터페론을 제조하는 방법인바, 이를 그 출원 전에 반포된 간행물들인 갑 제3호증의 1(1986. 10. 4. 공고된 국내 특허공보의 공고번호 제86-1558호), 갑 제4호증(1987. 7. 28. 특허된 미합중국 특허 제4,683,202호) 및 갑 제5호증(1987년 발간된 Science 제237호, 415면 이하)에 기재된 기술내용들과 대비하여 보면, 갑 제3호증의 1의 발명은 전서열을 수반하지 아니한 사람의 성숙한 백혈구 인터페론 유전자 DNA를 형질 발현기구에 직접 연결하여 사람 알파 인터페론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특허청구범위 제1항과 갑 제3호증의 1의 발명은 모두 사람 알파 인터페론의 전서열 암호유전자를 제거하여 전서열이 없는 사람의 성숙한 알파 인터페론을 생산하는 방법으로 목적이 동일하고, 그 구성도 거의 동일하며, 다만 특허청구범위 제1항은 전서열이 제거된 사람 알파 인터페론 유전자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중합효소 연결반응에 의한 것으로 한정하였고, 갑 제3호증의 1의 발명은 이를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아니한 차이가 있으나, 목적하는 유전자를 얻기 위하여 중합효소 연결반응을 이용하는 제조방법은 갑 제4호증, 갑 제5호증 등에 의하여 이미 공지되어 있고 이를 전서열이 제거된 사람 알파 인터페론 유전자를 제조하는 데 적용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없으며 그에 따른 효과도 당연히 예상되는 것에 불과하여, 특허청구범위 제1항은 이 사건 특허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갑 제3호증의 1, 갑 제4호증, 갑 제5호증 기재의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발명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사건 특허발명 중 특허청구범위 제2항 및 제3항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종속항으로서, 형질 발현기구의 촉진 유전자로서 tac 및 tac-trp 촉진 유전자를 사용하여 그 발현 효율을 높인 것으로 되어 있으나, tac 촉진 유전자는 이 사건 특허발명의 출원 전에 반포된 간행물인 갑 제6호증(1983년 발간된 P.N.A.S.U.S.A. 제80호, 21면 이하)에 기재된 것으로 이 사건 특허발명의 출원 당시 가장 발현효율이 좋은 촉진 유전자의 하나로 잘 알려진 것인데, 이를 인터페론 유전자의 발현에 사용한 것에 불과하여 그로 인하여 예상하지 못할 정도의 현저한 효과도 인정되지 아니하므로, 특허청구범위 제2항도 그 진보성을 인정할 수 없고, 특허청구범위 제3항 역시 그 발현효율이 특허청구범위 제2항과 비교하여 향상된 것을 발견할 수 없고 다른 효과도 인정되지 아니하므로, 특허청구범위 제2항과 같은 이유로 그 진보성을 인정할 수 없다. 이 사건 특허발명 중 특허청구범위 제4항과 제5항은 Pst Ⅰ과 EcoRI의 제한효소 절단부위를 갖는 Linker와 Primer를 사용하여 알파 인터페론(백혈구 인터페론) cDNA를 대량으로 증폭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지만, 이는 중합효소 연결반응에 의한 인터페론 유전자를 대량으로 증폭시키는 방법으로서,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대하여 살핀 바와 같이 공지된 사람 알파 인터페론을 공지된 방법인 중합효소 연결반응으로 대량 증폭하는 것이며, 그에 따른 예상하지 못한 효과도 없어 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지된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발명할 수 있는 것으로 인정된다. 결국 이 사건 특허발명은 갑 제3호증의 1 내지 갑 제6호증으로부터 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있는 것으로서 구 특허법(1990. 1. 13. 법률 제4207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6조 제2항에 의하여 특허받을 수 없는 것이 잘못 특허된 것이므로, 같은 법 제69조 제1항 제1호에 의하여 그 특허는 무효이다. 2.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인정·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지적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 심리미진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지창권(재판장) 천경송 신성택 송진훈(주심)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신약 아픽사반 특허, 진보성 인정될까? - 특허 분쟁과 진보성 판단 기준

이 판결은 혈액응고억제제인 아픽사반의 특허가 선행 특허에 비해 진보성이 있는지 여부를 다룬 판례입니다. 대법원은 아픽사반 특허가 선행 특허에 비해 새로운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가 선행 특허로부터 아픽사반을 쉽게 개발할 수 없었다고 판단하여 진보성을 인정했습니다.

#아픽사반#특허#진보성#선행 특허

특허판례

반도체 시험장치 특허, 무효될 수 있을까? - 특허무효심판 청구인의 이해관계와 발명의 진보성

비슷한 반도체 시험 장치를 만들고 파는 회사는 특허권자에게 피해를 받을 우려가 있으므로, 특허 무효 심판을 청구할 자격이 있다. 이 사건에서는 기존 기술을 조합하면 쉽게 만들 수 있는 발명이라 특허가 무효라고 판결했다.

#반도체#시험 장치#특허 무효#진보성 부족

특허판례

특허 권리범위확인심판에서 진보성 판단? NO!

특허권리범위확인심판에서는 특허의 진보성 여부는 판단하지 않고, 이미 등록된 특허는 무효심판을 통해서만 무효화될 수 있습니다.

#특허권리범위확인심판#진보성#무효심판#특허무효

특허판례

특허 무효 판결: 공지된 발명과 진보성 부족

특정 접촉재(물건)와 그 제조방법에 대한 특허가 해당 특허 출원 전에 이미 알려져 있었고, 제조방법 또한 기존 기술에서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특허가 무효라고 판결한 사례입니다.

#특허무효#접촉재#제조방법#공지

특허판례

특허 분쟁: 약학 조성물의 진보성 부정 사례

기존 약물에 흔히 쓰이는 약학적 허용담체를 추가한 약학 조성물은 새로운 발명으로 인정받지 못한다.

#약학 조성물#진보성 부정#약학적 허용담체#통상의 기술자

특허판례

원적외선 베개 특허, 진보성 부족으로 무효!

이미 알려진 기술들을 조합해서 만든 원적외선 베개에 대한 특허는, 새로운 기술이나 효과가 없다면 특허로 인정되지 않는다는 판결.

#원적외선 베개#특허 무효#진보성 결여#공지기술 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