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98다18117
선고일자:
199810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지구별 수산업협동조합이 직원의 변상책임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는 경우, 그 규정의 적용 범위
지구별 수산업협동조합이 그 직원의 변상책임에 관하여 특별히 '변상절차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고, 그 규정에 직원의 변상책임은 직원이 업무취급상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조합에 재산상 손해를 끼쳤을 때에 발생한다는 취지로 규정하면서, '중대한 과실'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있으며, 그 밖에 변상책임의 범위와 그 책임의 면제 또는 감경 기타 변상절차 등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는 경우, 위와 같은 규정의 취지는 조합이 그 직원들로 하여금 과실로 인한 책임의 부담에서 벗어나 충실하게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그 직원에게 고의 또는 중과실이 있는 경우에만 변상책임을 부담시키고 과실에 대하여는 어떠한 경우에도 변상책임을 부담시키지 않을 뿐 아니라 변상책임이 인정되는 경우에도 이를 제한하거나 필요한 경우 그 책임을 면제 또는 감경하기로 한 데에 있는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조합은 내부적으로 책임을 묻는 경우이든, 법원에 대하여 청구하는 경우이든, '변상절차에 관한 규정'에서 정한 요건과 한도에서 그 직원에 대하여 변상책임 또는 손해배상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다고 할 것이며, 위 규정이 조합에서 내부적으로 직원의 변상책임의 유무와 정도를 결정하고 그 책임을 감면하는 경우에 관한 절차와 요건 등의 기준을 정한 것에 불과하고 이 사건과 같이 직원이 부실 대출을 하여 회수불능케 함으로써 조합에게 대출금 상당의 손해를 입게 하였다는 이유로 조합이 직원을 상대로 민법상 불법행위책임을 청구하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민법 제105조, 제750조, 수산업협동조합법 제16조
【원고,피상고인】 고흥군 수산업협동조합 (소송대리인 변호사 박주인) 【피고,상고인】 【원심판결】 광주고법 1998. 3. 27. 선고 97나1500 판결 【주문】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광주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원고 조합의 직원인 피고가 그 판시와 같은 과실로 인하여 소외인에게 부실 대출을 하여 그 대출금을 회수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원고 조합으로 하여금 위 대출금 상당의 손해를 입게 하였으므로 피고는 원고에게 불법행위자로서 원고가 이 사건 사고로 인하여 입은 위 대출금 상당의 손해를 배상할 의무가 있다 할 것이고, 한편 원고 조합이 그 직원의 변상책임에 관하여 그 판시와 같은 '변상절차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그 각 규정의 취지와 목적, 변상판정의 절차와 효력 등 그 전체적인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보면, 위 '변상절차에 관한 규정'은 원고 조합이 내부적으로 직원의 변상책임의 유무와 정도를 결정하고 그 책임을 감면하는 경우에 관한 절차와 요건 등의 기준을 정한 것이지, 이로 인하여 민법상의 불법행위책임을 배제하거나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라고 해석되므로, 피고는 위와 같은 대출에 있어서의 과실에 대하여 민법상 불법행위책임을 부담할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원고 조합이 그 직원의 변상책임에 관하여 특별히 위와 같이 '변상절차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고, 기록에 의하면, 위 규정 제5조는 원고 조합 직원의 변상책임의 발생요건에 관하여, 변상책임은 조합의 직원이 업무취급상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조합에 재산상 손해를 끼쳤을 때에 발생한다는 취지로 규정하면서, '중대한 과실'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있으며, 그 밖에 변상책임의 범위와 그 책임의 면제 또는 감경 기타 변상절차 등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바, 위와 같은 규정의 취지는 원고 조합이 그 직원들로 하여금 과실로 인한 책임의 부담에서 벗어나 충실하게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그 직원에게 고의 또는 중과실이 있는 경우에만 변상책임을 부담시키고 과실에 대하여는 어떠한 경우에도 변상책임을 부담시키지 않을 뿐 아니라 변상책임이 인정되는 경우에도 이를 제한하거나 필요한 경우 그 책임을 면제 또는 감경하기로 한 데에 있는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원고 조합은 내부적으로 책임을 묻는 경우이든, 법원에 대하여 청구하는 경우이든, 위의 '변상절차에 관한 규정'에서 정한 요건과 한도에서 그 직원에 대하여 변상책임 또는 손해배상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다고 할 것이며, 위 규정이 원고 조합에서 내부적으로 직원의 변상책임의 유무와 정도를 결정하고 그 책임을 감면하는 경우에 관한 절차와 요건 등의 기준을 정한 것에 불과하고 이 사건에서와 같이 민법상 불법행위책임을 청구하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할 것이다. 그렇다면, 원심판결은 위 '변상절차에 관한 규정'의 해석을 그르쳐 피고의 원고 조합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의 요건과 범위를 오해하여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고 할 것이므로 나머지 상고이유를 살필 것도 없이 파기를 면하지 못한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훈(재판장) 정귀호(주심) 김형선 조무제
민사판례
수협 직원이 직무권한을 넘어 지급보증을 해준 경우, 수협은 사용자 책임을 져야 하는가, 그리고 피해자에게도 과실이 있다면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가에 대한 판례입니다.
민사판례
수협 지점장이 수협의 업무 범위를 벗어나 개인적인 지급보증을 해준 경우, 보증받은 사람에게 중대한 과실이 없다면 수협은 사용자 책임을 져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민사판례
신용협동조합 이사장이 직원의 부정 대출을 막지 못했다 하더라도, 이사장에게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이 없다면 손해배상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민사판례
수협 조합장이 아내 명의로 운영하는 업체와 치어 매매계약을 맺은 것은 불법적인 자기거래로, 조합에 손해를 끼쳤으므로 배상해야 한다.
형사판례
정부 지원 자금의 용도 외 사용은 업무상 배임죄를 구성하며, 수협은 정부의 관리·감독을 받으므로 정부관리기업체에 해당한다.
민사판례
신용협동조합의 감사는 직무 수행 중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조합에 손해를 입힌 경우 손해배상 책임을 집니다. 단순히 명예직이고 전문가가 아니라는 이유만으로는 책임을 면할 수 없으며, 불법행위를 적극적으로 막지 못한 경우에도 중대한 과실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