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보증금반환

사건번호:

98다43137

선고일자:

199812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건물의 공유자가 공동으로 건물을 임대하고 보증금을 수령한 경우, 보증금반환채무의 성질(=불가분채무)

판결요지

건물의 공유자가 공동으로 건물을 임대하고 보증금을 수령한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임대는 각자 공유지분을 임대한 것이 아니고 임대목적물을 다수의 당사자로서 공동으로 임대한 것이고 그 보증금 반환채무는 성질상 불가분채무에 해당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참조조문

민법 제263조, 제265조, 제411조, 제618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2. 9. 22. 선고 92누2202 판결(공1992, 3016), 대법원 1992. 10. 27. 선고 90다13628 판결(공1992, 3232), 대법원 1997. 5. 16. 선고 97다7356 판결(공1997하, 1840)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주식회사 천일개발 (소송대리인 변호사 조열래) 【원심판결】 부산지법 1998. 7. 24. 선고 97나13310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건물의 공유자가 공동으로 건물을 임대하고 보증금을 수령한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임대는 각자 공유지분을 임대한 것이 아니고 임대목적물을 다수의 당사자로서 공동으로 임대한 것이고 그 보증금 반환채무는 성질상 불가분채무에 해당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같은 취지의 원심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논지와 같은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임수(재판장) 박준서(주심) 이돈희 서성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상가 임대, 건물주가 여럿이면 보증금은 누구에게 돌려받을 수 있을까요?

공동 소유 건물의 임대차 계약 종료 시, 보증금은 건물주 중 누구에게든 전액 청구 가능하다.

#상가 임대#공동소유#보증금 반환#불가분채무

상담사례

갑, 을, 병 그리고 임대보증금: 누구에게 돌려달라고 해야 할까요?

공동 건물주에게 임대보증금 반환을 요구할 때는 둘 중 아무에게나 전액을 청구할 수 있으며, 이는 불가분채무에 해당하여 한 명에게 전액을 받더라도 문제없다.

#임대보증금#공동건물주#불가분채무#전액청구

민사판례

공동소유 부동산, 함부로 임대하면 큰일 나요!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소유한 부동산을 한 사람이 허락 없이 임대했을 경우, 다른 공유자에게 돌려줘야 할 이득의 범위는 임대료(월세)에 보증금 이자를 더한 금액이며, 이자는 1년 만기 정기예금 이자율을 기준으로 계산할 수 있다는 판결.

#공유부동산#무단임대#부당이득#임대료

상담사례

빌린 돈 돌려받기, 내 돈은 누가 갖고 있나요? - 공동임차, 보증금 반환은 누구에게?

계약서상 임차인이 한 명이더라도 보증금을 나눠 낸 경우 공동임차로 인정되므로, 건물주는 계약서상 임차인에게 보증금 전액을 반환하면 되고, 보증금 분배는 임차인들 사이의 문제이다. 따라서 계약 시 공동임차임을 명시하고 보증금 반환 방법을 확실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동임차#보증금반환#채권양도#계약서

민사판례

상속받은 건물에 세든 상가 임차인, 보증금은 누구에게 받아야 할까?

상속으로 건물을 물려받은 사람은 기존 임차인의 보증금을 돌려줄 의무가 있으며, 공동상속인이라면 각자 전액을 돌려줄 책임이 있다는 판결입니다. 또한, 상속받은 재산보다 빚이 더 많다는 것을 뒤늦게 알았더라도 상속포기가 아닌 한정승인을 했다면 상속받은 재산 범위 내에서 빚을 갚아야 합니다.

#상속#건물#임차보증금#반환책임

민사판례

임대차계약 해지, 보증금 돌려받으려면?

임대차계약을 합의해제 할 때 보증금 반환에 대한 명확한 합의가 없으면 해제로 보기 어렵다는 판례입니다. 단순히 해제에 동의한다는 말만으로는 부족하고, 보증금을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합의가 있어야 합니다.

#임대차계약#합의해제#보증금 반환#약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