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

사건번호:

98다47290

선고일자:

199902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3호 소정의 재심사유의 의미 [2] 참칭대표자를 대표자로 표시하여 소송을 제기하여 그 앞으로 소장부본 및 변론기일소환장이 송달된 결과 의제자백 판결이 선고된 경우,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3호 소정의 재심사유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1]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3호 소정의 재심사유는 무권대리인이 대리인으로서 본인을 위하여 실질적인 소송행위를 하였을 경우뿐만 아니라 대리권의 흠결로 인하여 본인이나 그의 소송대리인이 실질적인 소송행위를 할 수 없었던 경우에도 이에 해당한다. [2] 참칭대표자를 대표자로 표시하여 소송을 제기한 결과 그 앞으로 소장부본 및 변론기일소환장이 송달되어 변론기일에 참칭대표자의 불출석으로 의제자백 판결이 선고된 경우, 이는 적법한 대표자가 변론기일소환장을 송달받지 못하였기 때문에 실질적인 소송행위를 하지 못한 관계로 위 의제자백 판결이 선고된 것이므로,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3호 소정의 재심사유에 해당한다.

참조조문

[1]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3호/ [2]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3호

참조판례

[1][2] 대법원 1992. 12. 22. 선고 92재다259 판결(공1993상, 551) 대법원 1994. 1. 11. 선고 92다47632 판결(공1994상, 677) /[2] 대법원 1978. 5. 9. 선고 75다634 전원합의체 판결(공1978, 10826), 대법원 1994. 12. 22. 선고 94다45449 판결(공1995상, 629), 대법원 1996. 5. 31. 선고 94다55774 판결(공1996하, 2012)

판례내용

【원고(재심피고),상고인】 【피고(재심원고),피상고인】 대한불교조계종 은선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세종 담당변호사 양영태 외 16인) 【원심판결】 서울지법 1998. 8. 12. 선고 97나7225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재심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상고이유 제1, 3점에 관하여 원심은, 피고(재심원고, 이하 피고라 한다)가 1962. 12. 29.부터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로서 용주사의 말사로 귀속되어 조계종 총무원장에 의하여 그 주지가 임명되어 오던 중, 소외 1이 1977. 3. 28. 주지로 임명되어 1989. 8. 11.까지 피고의 대표자로 재직하였으나 해임되었고, 소외 2가 그 후임 주지로 임명되어 재직하다가, 소외 3이 1989. 11. 13. 피고의 주지로 임명되어 이 사건 재심대상 소송인 서울지방법원 남부지원 92가단34227호 소유권이전등기 청구소송이 제기될 당시인 1992. 7. 24.에도 피고의 대표자로 재직하였던 사실, 원고(재심피고, 이하 원고라 한다)는 소외 1을 피고의 대표자로 표시하여 이 사건 재심대상 소송을 제기하여 소장부본 및 변론기일소환장이 1992. 8. 10. 피고 경내에 거주하면서 소외 1을 보필하던 소외 4에게 송달된 관계로 같은 달 20. 변론기일에 소외 1이 출석하지 아니하여 의제자백 판결(재심대상판결)이 선고된 사실을 인정하였다. 그리고 원심은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3호 소정의 재심사유는 무권대리인이 대리인으로서 본인을 위하여 실질적인 소송행위를 하였을 경우뿐만 아니라 대리권의 흠결로 인하여 본인이나 그의 소송대리인이 실질적인 소송행위를 할 수 없었던 경우에도 이에 해당한다 할 것이므로, 위 소유권이전등기 청구사건이 참칭대표자의 불출석으로 인하여 변론종결되고 선고기일이 지정되었으나 피고의 적법한 대표자가 변론기일소환장을 송달받지 못하였기 때문에 실질적인 소송행위를 하지 못한 관계로 위 의제자백 판결이 선고된 것으로서 이 사건 재심대상판결에는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3호 소정의 재심사유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기록에 비추어 보니, 원심의 사실인정 및 판단은 정당하고(대법원 1994. 1. 11. 선고 92다47632 판결 참조),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상고이유에서 들고 있는 판례들은 이 사건과 사안을 달리하여 이 사건에 원용하기에 적절하지 아니하다. 한편, 재심원고는 1962. 12. 29. 구 불교재산관리법(1987. 11. 28. 법률 제3974호 전통사찰보존법에 의하여 폐지) 제6조에 기하여 등록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로서 이 사건 재심대상판결에 표시된 피고와 동일한 사찰임이 기록상 분명하므로, 이와 다른 견해를 전제로 한 상고이유의 주장도 받아들일 길이 없다. 2. 상고이유 제2점에 관하여 원심은, 피고가 원고로부터 금 95,000,000원을 차용한 뒤 이 사건 부동산을 피고에게 대물변제하기로 약정하였다는 원고의 주장사실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였는바, 관련 증거에 비추어 본즉 이러한 원심의 인정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나 심리미진 등의 위법이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원고(재심피고)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에 쓴 바와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형선(재판장) 정귀호 이용훈 조무제(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사찰 대표권 분쟁과 재심 청구

등록된 사찰 주지가 사망 후 후임 주지가 취임 등록을 하지 않았더라도, 종단 규약에 따라 적법하게 임명된 주지는 사찰을 대표할 수 있다. 또한, 상고허가신청이 기각된 사유는 재심사유가 될 수 없다.

#사찰 대표권#재심사유#주지 임명#취임등록

민사판례

재심, 그냥 아무나 할 수 있는 게 아니라고? 상대방 대표권 문제로 재심하려면 알아둬야 할 것!

재심 사유 중 하나인 상대방의 대표권 흠결(예: 소송 당사자를 대표할 권한이 없는 사람이 대표한 경우)을 주장하려면, 그 흠결을 지적해서 자신에게 실질적인 이득이 있어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단순히 대표권에 문제가 있다는 것만으로는 재심을 청구할 수 없습니다.

#재심#상대방 대표권 흠결#실질적 이익#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3호

민사판례

회사 대표의 배임으로 인한 항소 취하, 재심 가능할까?

회사 대표가 개인적인 이득을 위해 상대방과 짜고 회사에 불리한 소송에서 항소를 취하한 경우, 이는 재심 사유가 되며, 재심에서는 항소 취하 자체가 없었던 것으로 간주하여 다시 판단해야 한다.

#배임#항소취하#재심#대리권

민사판례

재판 다시 하려면? 거짓 증언, 판결에 영향 줘야!

재판에서 증인이 거짓말을 했다고 해서 무조건 재심(재판을 다시 하는 것)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 거짓말이 판결문에 증거로 기재되어 판결에 실제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증명되어야 재심 사유가 됩니다.

#재심#거짓증언#판결문#증거

민사판례

재심, 증인의 거짓말이면 무조건 다시 재판할까?

재판에서 증인이 거짓말을 했다고 해서 무조건 재심(재판을 다시 하는 것)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 거짓말이 재판 결과에 실제로 영향을 미쳤어야만 재심 사유가 됩니다.

#재심#증인#거짓말#위증

민사판례

재심, 위조된 증거 또는 허위 진술이 있어야 가능할까?

재판에서 위조된 문서나 허위 진술이 재심 사유가 되려면, 그 문서나 진술이 판결의 핵심 증거로 사용되어 판결문에 명시되어야 합니다. 단순히 판사의 생각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만으로는 재심 사유가 되지 않습니다.

#재심#위조문서#허위진술#판결문 명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