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자)

사건번호:

98다4774

선고일자:

199807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농촌일용노동에 종사하는 자의 월 가동일수

판결요지

특별한 기능이 없이 농촌일용노동에 종사하는 자의 일실수입 산정의 기초가 되는 월 가동일수는 경험칙상 25일로 추정된다.

참조조문

민법 제393조, 제763조

참조판례

대법원 1966. 9. 20. 선고 66다1379 판결(집14-3, 민77), 대법원 1992. 12. 8. 선고 92다26604 판결(공1993상, 1465), 대법원 1996. 3. 22. 선고 95다20669 판결(공1996상, 1343)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주식회사 동보 외 1인 (피고 소송대리인 변호사 한성호 외 1인) 【원심판결】 창원지법 1997. 11. 28. 선고 97나7114 판결 【주문】 원심판결 중 일실수입에 관한 원고들의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창원지방법원 본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1.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사고발생에서 소외 1이 사고장소의 차량신호가 녹색으로 바뀐 후 진행하였다고 인정한 원심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논지가 지적하는 바와 같은 심리미진이나 채증법칙을 위반하여 사실을 오인한 위법 등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2. 특별한 기능이 없이 농촌일용노동에 종사하는 자의 일실수입 산정의 기초가 되는 월 가동일수는 경험칙상 25일로 추정된다고 할 것이고(대법원 1966. 9. 20. 선고 66다1379 판결 등 참조), 다만 당해 사건에 적용하거나 원용하기에 적합한 통계 기타 자료 등이 나타나 이에 의하여 위와 같이 종전 경험칙상 추정되는 월 가동일수와 달리 인정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이다. 이 사건의 경우 원심은 이 사건 교통사고의 피해자인 망 소외 2가 사고 당시 농촌지역인 경남 사천시 (주소 1 생략)에 거주하였고, 위 망인의 부모들인 원고들이 사천시 (주소 2 생략) 전 1,009㎡ 등 8필지의 전답을 소유하면서 농사를 짓고 젖소 71두를 사육하는 농업 및 축산업을 겸업하고 있다고 판시한 다음, 위 망인이 농촌일용노동자로서 매월 22일씩 가동할 수 있음을 경험칙에 의하여 인정하고 이에 기하여 위 망인의 일실수입을 산정하였는바, 이는 위에서 본 법리와 달리 판단한 것이 분명하므로, 원심판결에는 월 가동일수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하지 않을 수 없고, 이는 판결에 영향을 미쳤음이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 있다.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일실수입에 관한 원고들의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훈(재판장) 정귀호 박준서(주심) 김형선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일용직 근로자의 일실수입 계산,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일용직 전기 기술자의 사고로 인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법원은 일실수입(사고로 잃어버린 수입)을 계산할 때 단순한 경험칙이 아닌 객관적인 통계자료 등을 바탕으로 일할 수 있는 날(가동일수)을 정해야 한다는 판례.

#일실수입#가동일수#객관적 자료#경험칙

민사판례

일용직 근로자의 월 소득, 25일 기준으로 무조건 계산해야 할까요?

일용직 근로자의 소득 손실을 계산할 때, 일반적인 경험칙으로 월 평균 25일 일한다고 추정하지만, 실제로 그보다 적게 일했다는 증거가 있다면 그 증거를 따라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일용직#가동일수#손해배상#경험칙

민사판례

일용직 근로자의 일실수입 계산, 경험칙만으로는 안 돼요!

기능공의 일실수입을 계산할 때, 단순히 경험칙에 의존하여 하루 일당에 곱할 가동일수(일할 수 있는 날)를 정해서는 안 되고, 객관적인 통계자료 등을 바탕으로 합리적으로 정해야 합니다.

#일실수입#가동일수#객관적 자료#경험칙

민사판례

일용직 노동자의 손해배상, 어떻게 계산될까요?

교통사고로 사망한 일용직 노동자의 손해배상 소송에서, 법원은 대한건설협회가 발표하는 노임단가를 손해액 산정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일용직 보통인부의 월 가동일수는 25일로 볼 수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일실수입#대한건설협회 노임단가#월 가동일수 25일#일용직 노동자

민사판례

도시 일용근로자의 월 가동일수, 이제 20일 넘기 어렵다?

과거 판례에서 22일로 인정되던 도시 일용근로자의 월평균 가동일수를 이제는 20일 이하로 보아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습니다. 주 5일 40시간 근무제 정착, 공휴일 증가 등 사회·경제적 변화와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 추세를 반영한 결과입니다.

#일용직#가동일수#22일#20일

민사판례

일용직 송전 전공 근로자의 월 가동일수, 25일로 단정 지을 수 있을까?

교통사고로 다친 일용직 송전 전공 근로자의 손해배상 소송에서, 법원이 그의 월 가동일수를 경험칙에만 의존하여 25일로 인정한 것은 잘못이라는 대법원 판결.

#일용직#송전 전공#월 가동일수#손해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