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취소(상)

사건번호:

98후1594

선고일자:

199902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거래명세표 또는 간판 등에 상표를 표시하는 행위가 구 상표법 제2조 제4항 소정의 '상표의 사용'에 해당하기 위한 요건

판결요지

구 상표법(1990. 1. 13. 법률 제421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조 제4항에서 말하는 상표의 사용은 상품 또는 상품의 포장에 상표를 붙이는 행위 등 지정상품에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제2조 제4항 제1호, 제2호)뿐만 아니라, 상품에 관한 광고, 거래서류, 간판에 상표를 붙이고 전시 반포하는 행위(제2조 제4항 제3호)를 포함함은 물론이나, 상표라 함은 상품을 업으로써 생산·제조·가공·증명 또는 판매하는 자가 자기의 상품을 다른 업자의 상품과 식별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호·문자·도형 또는 이들을 결합한 것을 말하므로(제2조 제1항 제1호), 비록 상품의 판매업자가 거래명세표 또는 간판 등에 상표 또는 이와 동일하게 볼 수 있는 표시를 하였다 하더라도 그것이 상표사용에 해당하려면 지정상품과의 구체적인 관계에 있어서는 그 표시로서 자기의 상품을 다른 업자의 상품과 식별시키기 위하여 특정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참조조문

구 상표법(1990. 1. 13. 법률 제4210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2조 제4항 제3호[현행 제2조 제1항 제6호 (가)목 참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2. 2. 23. 선고 80후70 판결(공1982, 383), 대법원 1990. 7. 10. 선고 89후1240, 1257 판결(공1990, 1707), 대법원 1992. 8. 18. 선고 92후209 판결(공1992, 2767)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원심판결】 특허법원 1998. 7. 3. 선고 98허1549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구 상표법(1990. 1. 13. 법률 제421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 제4항에서 말하는 상표의 사용은 상품 또는 상품의 포장에 상표를 붙이는 행위 등 지정상품에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법 제2조 제4항 제1호, 제2호)뿐만 아니라, 상품에 관한 광고, 거래서류, 간판에 상표를 붙이고 전시 반포하는 행위(법 제2조 제4항 제3호)를 포함함은 물론이나, 상표라 함은 상품을 업으로써 생산·제조·가공·증명 또는 판매하는 자가 자기의 상품을 다른 업자의 상품과 식별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호·문자·도형 또는 이들을 결합한 것을 말하므로(법 제2조 제1항 제1호), 비록 상품의 판매업자가 거래명세표 또는 간판 등에 상표 또는 이와 동일하게 볼 수 있는 표시를 하였다 하더라도 그것이 상표사용에 해당하려면 지정상품과의 구체적인 관계에 있어서 그 표시로서 자기의 상품을 다른 업자의 상품과 식별시키기 위하여 특정하는 방법으로 사용될 것을 요한다 할 것이다(대법원 1982. 2. 23. 선고 80후70 판결, 1990. 7. 10. 선고 89후1240, 1257 판결, 1992. 8. 18. 선고 92후209 판결 등 참조). 그러므로 살피건대 원심이 적법하게 채택한 증거에 의하면, 원심이 판시한 바와 같이 이 사건 등록상표의 통상사용권자인 소외 1이 그 통상사용권을 취득하기 전인 1995. 5. 25. 및 같은 해 6. 21. 2차례에 걸쳐 '남북의료기상사'라는 서비스표의 등록권자인 원고로부터 '남북의료기'로 표시된 상호, 명함, 스티커, 간판의 사용을 금지, 철거해 줄 것을 요청받고, 이에 대응하여 위 소외 1이 피고들과 등록상표의 통상사용권설정계약을 체결한 후 이 사건 취소심판청구일에 이르기까지 계속하여 의료기판매업을 영위한 사실을 알 수 있으나, 이로써 곧 위 소외 1이 등록상표를 지정상품에 대하여, 즉 자기의 상품을 다른 업자의 상품과 식별시키기 위하여 사용하였다고 추단할 수 없다 할 것이고, 나아가 기록에 의하면 위 소외 1이 등록상표가 표시된 스티커를 지정상품에 부착하여 사용하였다는 피고들의 주장 사실을 뒷받침할 만한 증거는 전혀 제출되지 않았고, 위 소외 1이 등록상표가 표시된 거래명세표를 사용하고, 간판에 등록상표를 표시하였다는 주장사실에 대하여는 이에 부합하는 듯한 을 제7, 8호증은 그 작성 내지 촬영시기를 객관적으로 입증할 만한 자료가 없을 뿐만 아니라, 설사 그 작성 내지 촬영시기를 이 사건 취소심판청구일 이전이라고 본다 하더라도 을 제7, 8호증에 나타난 기재 및 영상만으로는 위 소외 1이 등록상표를 그 지정상품(내시경, 뇌파계, 체온계, 심전계, 흡인기)과의 구체적인 관계에 있어서 자기의 상품을 다른 업자의 상품과 식별시키기 위하여 특정하는 방법으로 그 주장의 거래명세표나 간판에 등록상표를 표시하여 전시 또는 사용하였다고 단정할 수 없고, 오히려 을 제5호증(상표 사용계약서) 제1조의 내용, 즉 등록상표를 위 소외 1 등의 회사명에만 사용할 수 있다는 취지의 기재 등에 비추어 위 소외 1은 '南北', '남북의료기' 또는 '南北의료기' 등의 표시를 자신이 판매하는 상품을 특정하기 보다는 그가 경영하는 의료기 판매업의 상호 내지 서비스업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사용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원심이 위 소외 1이 등록상표를 그 지정상품에 관하여 사용하였다는 피고들의 주장을 배척한 조치는 그 이유 설시에 있어 미흡한 점이 없지 않으나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판결에 영향을 미친 채증법칙 위배, 경험법칙, 논리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 심리미진, 상표의 사용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서성(재판장) 박준서 이돈희(주심) 이임수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거래명세서, 견적서에 상표 넣으면 상표 사용한 걸까요?

거래에 사용되는 서류(견적서, 거래명세서 등)에 상표를 표시하고 거래처에 전달하는 행위는 상표를 사용한 것으로 본다는 대법원 판결.

#상표#거래서류#사용#대법원

특허판례

상표권 사용, 통상사용권 설정만으로는 부족해요!

상표권자가 다른 사람에게 상표를 사용할 권리를 주는 것(통상사용권 설정)만으로는 상표권자가 직접 상표를 사용한 것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상표권#통상사용권#상표사용#불사용등록취소

특허판례

광고만으로는 상표 사용으로 인정 안 될 수도 있다?!

단순히 신문에 상표를 광고한 것만으로는 상표를 '사용'한 것으로 볼 수 없다는 판결. 실제 상품이 유통되거나 유통 예정이어야 상표 사용으로 인정된다.

#상표#신문광고#사용#미인정

특허판례

카탈로그 뒤표지에 상표만 넣으면 상표 사용한 걸로 볼 수 있을까요?

상품 카탈로그 뒤표지에 여러 상표가 단순히 나열되어 있는 경우, 해당 상표가 카탈로그에 소개된 상품과 명확하게 연결되지 않으면 상표를 사용한 것으로 인정되지 않는다는 판결.

#상표#카탈로그#상표사용#불인정

특허판례

내 상표, 괜찮을까? 상표 사용과 권리범위 확인에 대한 법원 이야기

특정 표장이 상품의 식별표지로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표장이 기존 등록상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지에 대한 소극적 권리범위확인소송에서 권리남용 여부를 다룬 판례입니다.

#확인대상표장#상표사용#등록상표#권리범위확인소송

특허판례

쇼핑백에 다른 상표와 함께 인쇄된 내 상표, 사용한 걸로 인정될까?

상품 자체가 아닌, 그 상품을 담는 쇼핑백에 다른 상표와 함께 인쇄된 상표도 상표 사용으로 인정된다는 판결.

#쇼핑백#상표 사용#상표법#등록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