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말소등기

사건번호:

99다15146

선고일자:

1999082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부동산 공유자 중 1인이 공유물의 보존행위로서 일부 지분에 관해서만 재판상 청구를 한 경우, 시효중단 효력이 미치는 범위

판결요지

부동산 공유자 중의 한 사람은 당해 부동산에 관하여 제3자 명의로 원인무효의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되어 있는 경우 공유물에 관한 보존행위로서 그 제3자에 대하여 그 등기 전부의 말소를 구할 수 있으나, 공유자의 한 사람이 공유물의 보존행위로서 그 공유물의 일부 지분에 관하여서만 재판상 청구를 하였으면 그로 인한 시효중단의 효력은 그 공유자와 그 청구한 소송물에 한하여 발생한다.

참조조문

민법 제168조 , 제170조

참조판례

대법원 1979. 6. 26. 선고 79다639 판결(공1979, 12042), 대법원 1996. 2. 9. 선고 94다61649 판결(공1996상, 888)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원심판결】 서울지법 1999. 1. 28. 선고 98나28779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제1점에 관하여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은 피고가 1974. 12.쯤 조부인 소외 1 어머니인 소외 2를 통하여 등기부상 소유명의자이던 소외 3, 소외 4로부터 이 사건 토지를 순차 매수하여 그 해 12. 31. 피고의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를 거침과 동시에 소외 1, 소외 2를 통하여 이 사건 토지를 과수원 및 인삼밭으로 개간한 후 그들을 통하거나 또는 직접 경작 점유하여 오고 있는 사실을 인정하면서 피고의 점유 개시 시기가 원심의 인정 시기 보다 늦다는 취지의 증거를 배척하였다. 기록상의 여러 증거들과 대조하여 볼 때, 그 채증 과정과 사실인정은 적법하고 거기에 채증법칙에 위배한 잘못은 없다. 상고이유 중의 이 주장을 받아들이지 아니한다. 제2점에 관하여 부동산 공유자 중의 한 사람은 당해 부동산에 관하여 제3자 명의로 원인무효의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되어 있는 경우 공유물에 관한 보존행위로서 그 제3자에 대하여 그 등기 전부의 말소를 구할 수 있으나(대법원 1996. 2. 9. 선고 94다61649 판결 참조), 공유자의 한 사람이 공유물의 보존행위로서 그 공유물의 일부 지분에 관하여서만 재판상 청구를 하였으면 그로 인한 시효중단의 효력은 그 공유자와 그 청구한 소송물에 한하여 발생한다 할 것이다(대법원 1979. 6. 26. 선고 79다639 판결 참조). 같은 취지에서 원고가 1992. 9. 17. 공유물인 이 사건 부동산의 보존행위로서 자신의 상속지분 6/13에 관하여 소송을 유지한 결과 그 지분의 승소판결이 확정되었던 이 사건에서 피고의 그 부동산에 관한 점유로 인한 시효취득의 중단은 그 6/13 지분에 한하여 유효하다고 한 판시는 정당하다. 상고이유 중 내세운 그와 다른 대법원 판례들은 사안을 달리하는 것으로 이 사건에 원용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원심판결에 점유시효취득과 그 중단에 관한 법리오해 있다는 상고이유의 주장도 받아들이지 아니한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대법관들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에 쓴 바와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형선(재판장) 정귀호 이용훈 조무제(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공유토지 일부를 시효취득했다면, 모든 공유자를 상대로 소송해야 할까?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소유한 토지의 일부를 시효취득한 경우, 소유권이전등기를 청구할 때 모든 공유자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취득시효#공유토지#일부취득#소유권이전등기

민사판례

땅을 공동으로 소유할 때, 한 사람이 혼자 쓰고 있으면 어떻게 되나요?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소유한 땅을 한 사람이 전부 사용하고 있더라도, 자기 지분을 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기 땅'처럼 사용하는 것이 아닙니다.

#공동소유#시효취득#타주점유#지분

민사판례

공유자 일부가 다른 공유자 지분 확인 소송을 제기할 수 있을까?

공유자 중 일부만 다른 공유자의 지분을 확인해달라는 소송은 할 수 없다. 왜냐하면 그러한 소송은 본인의 권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공유자#지분 확인 소송#확인의 이익#권리

민사판례

공유물 분할 소송, 모두 함께 해야 하는 이유

여러 명이 함께 소유한 물건을 나누는 소송(공유물분할소송)은 모든 공유자가 소송에 참여해야 하고, 일부 공유자만 항소하더라도 소송 전체가 다시 재판됩니다.

#공유물분할소송#필수적 공동소송#항소#전체 재판

상담사례

공유물 분할 소송, 지분 양도하면 어떻게 될까요? 🧐

공유물분할소송 중 지분 양도 시, 새로운 소유자는 반드시 소송에 참여해야 하며, 불참 시 소송이 무효화될 수 있다.

#공유물분할소송#지분양도#승계참가#소송인수

특허판례

여러 명이 함께 가진 특허, 일부만 무효라고 할 수 있을까?

여러 명이 공동으로 소유한 특허의 경우, 특허 지분의 일부만 무효라고 주장하며 심판을 청구할 수 없다. 특허 무효심판은 특허 자체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지분을 나눠서 일부만 무효로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특허#공유지분#무효심판#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