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행문부여거절처분에대한이의

사건번호:

99마7096

선고일자:

20000313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제1심법원의 법원사무관 등이 집행문 부여 거절처분을 한 후 소송기록이 상급심 법원으로 송부된 경우, 위 거절처분에 대한 이의신청의 적법 여부(소극)

판결요지

민사소송법 제478조 제2항에 의하면 집행문은 제1심법원의 법원사무관 등이 부여하되 소송기록이 상급심에 있는 때에는 그 법원의 법원사무관 등이 부여하는 것이므로, 제1심법원의 법원사무관 등은 그 법원에서의 소송절차가 종료되고 상소에 의하여 소송기록을 상급심법원에 송부한 후에는 집행문 부여의 권한을 잃게 되고, 따라서 제1심법원의 법원사무관 등이 한 집행문 부여 거절처분에 대한 이의신청은 이와 같이 그 거절처분을 한 법원의 법원사무관 등이 집행문 부여의 권한을 잃은 뒤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신청의 이익이 없어 부적법하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209조, 제478조 제2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재항고인】 재항고인 【원심결정】 서울지법 1999. 10. 16.자 99라164 결정 【주문】 재항고를 기각한다. 【이유】재항고 이유를 본다. 민사소송법 제478조 제2항에 의하면 집행문은 제1심법원의 법원사무관 등이 부여하되 소송기록이 상급심에 있는 때에는 그 법원의 법원사무관 등이 부여하는 것이므로, 제1심법원의 법원사무관 등은 그 법원에서의 소송절차가 종료되고 상소에 의하여 소송기록을 상급심법원에 송부한 후에는 집행문 부여의 권한을 잃게 되고, 따라서 제1심법원의 법원사무관 등이 한 집행문 부여 거절처분에 대한 이의신청은 이와 같이 그 거절처분을 한 법원의 법원사무관 등이 집행문 부여의 권한을 잃은 뒤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신청의 이익이 없어 부적법하다. 원심결정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신청인이 서울지방법원 남부지원 99카합91 반론보도 심판청구 사건의 판결에 기하여 같은 법원의 법원사무관 등에게 집행문 부여신청을 하였다가 1999. 5. 26. 집행문 부여 거절처분을 받고 같은 달 27일 그 거절처분에 대하여 이의신청을 하였으나, 같은 법원이 같은 달 28일 이의신청 기각결정을 하자 같은 해 6월 4일 이 사건 항고를 제기한 사실, 한편 신청인이 99카합91 반론보도 심판청구 사건에 대하여 같은 해 5월 12일 항소를 제기하여 그 사건 소송기록이 같은 달 31일 항소심인 서울고등법원에 접수된 사실을 인정한 다음, 민사소송법 제209조에서 정하는 법원사무관 등의 처분에 관한 이의는 그 권한을 가지는 법원사무관 등에 대하여 그 소속법원이 처분의 시정을 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므로 그 법원사무관 등이 권한을 상실하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시정의 여지도 없고, 또 집행문 부여 거절처분에 대한 이의신청제도는 집행문 부여가 거절되어도 다시 부여신청을 할 수 있어서 재차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구제책으로 마련된 것이고 복잡한 실체관계에 관한 판단이 필요한 경우에는 집행문 부여의 소를 제기하여 구제를 받는 것이 합리적인 점 등에 비추어 볼 때 집행문 부여기관이 변경된 이상 다시 집행문 부여신청을 하게 하는 것이 부당하다고 할 수 없으므로, 제1심법원의 법원사무관 등이 집행문 부여 거절처분을 한 후 그 소송기록이 상급심으로 송부된 때에는 현재 소송기록이 있는 법원의 법원사무관 등에게 다시 집행문의 부여를 구해야 하고, 소송기록을 송부해 버린 법원에 대하여 하는 이의신청은 그 이익이 없어져 결국 부적법하다고 판단하여 신청인의 이의신청을 각하하였다.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은 앞서 본 법리에 따른 것으로서 정당하고 거기에 재항고 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집행문 부여 거절처분에 대한 이의 및 소의 이익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재항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윤재식(재판장) 이임수 송진훈(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집행문 부여 이의신청, 아무 이유로나 항고할 순 없어요!

집행문 부여에 이의가 있어 신청했는데 법원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은 경우, 단순히 법률을 위반했다는 주장만으로는 특별항고를 할 수 없다.

#집행문#이의신청#기각#특별항고

민사판례

집행문이 잘못 발급됐다면? 제3자 이의의 소 & 집행문 부여에 대한 이의

법원이 실수로 A에게 돈을 갚으라는 판결의 집행문을 A와 관련 없는 B에게 발급했을 때, B는 어떤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는가에 대한 판례입니다. B는 제3자이의의 소가 아닌 집행문부여에 대한 이의신청을 해야 합니다.

#집행문#제3자이의의소#집행문부여이의신청#잘못된집행문

민사판례

조정에 기반한 집행문 부여에 이의가 있다면? 관할 법원을 확인하세요!

법원 조정에 따라 집행문이 부여된 경우, 이 집행문 부여에 이의를 제기하거나 집행 정지 잠정처분을 신청할 때는 **처음 조정을 담당했던 법원 합의부**에 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집행문부여이의#잠정처분#조정#합의부

민사판례

집행문 부여 이의신청 기각 결정에 대한 불복 방법: 특별항고!

법원이 내린 집행문 부여 이의신청 기각 결정에 불복하려면 일반적인 항고가 아니라 *특별항고*를 해야 하며, 항고장에 특별항고라고 명시하지 않았거나 대법원을 항고법원으로 적지 않았더라도 접수 법원은 이를 특별항고로 처리해 대법원에 보내야 합니다. 또한, 특별항고는 결정문을 받은 날로부터 *1주일 이내*에 제기해야 합니다.

#집행문부여#이의신청기각#불복#특별항고

민사판례

집행문 부여에 대한 이의, 어떻게 다툴 수 있을까요?

판결 확정 후 집행문 부여에 이의가 있을 경우, 어떤 방법으로 불복해야 하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 즉시항고나 집행이의가 아닌 특별항고를 해야 합니다.

#집행문부여이의#특별항고#불복방법#즉시항고불가

민사판례

집행 끝난 건에 이의신청, 소용있을까?

강제집행이 이미 끝난 후에는, 설령 그 집행에 사용된 집행문이 잘못 재발급되었다 하더라도 이의를 제기할 실익이 없다.

#집행종료#집행문재도부여#이의신청#실익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