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

사건번호:

99므1817

선고일자:

200001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가사

사건종류코드:

400103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생부모가 호적상의 부모와 다른 사실이 객관적으로 명백한 경우, 친생추정을 깨뜨리지 않고도 생부모를 상대로 인지청구를 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민법 제844조의 친생추정을 받는 자는 친생부인의 소에 의하여 그 친생추정을 깨뜨리지 않고서는 다른 사람을 상대로 인지청구를 할 수 없으나, 호적상의 부모의 혼인중의 자로 등재되어 있는 자라 하더라도 그의 생부모가 호적상의 부모와 다른 사실이 객관적으로 명백한 경우에는 그 친생추정이 미치지 아니하므로, 그와 같은 경우에는 곧바로 생부모를 상대로 인지청구를 할 수 있다.

참조조문

민법 제844조, 제863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3. 7. 12. 선고 82므59 전원합의체 판결(공1983, 1259), 대법원 1988. 5. 10. 선고 88므85 판결(공1988, 952), 대법원 1992. 7. 24. 선고 91므566 판결(공1992, 2560), 대법원 1997. 2. 25. 선고 96므1663 판결(공1997상, 937)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원고 【피고,상고인】 피고 【원심판결】 광주고법 1999. 8. 19. 선고 98르113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을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본안전 항변에 관하여 원심은, 소외 1이 1940. 7. 31. 소외 2와 혼인신고를 마친 후 그들 사이에 아들이 없자 노후를 염려하여 소외 3이 출산한 원고를 입양한 후 마치 원고가 1959. 8. 3. 그들 사이에서 출생한 양 허위의 출생신고를 마친 사실을 인정하였다. 기록에 비추니, 원심의 그 사실인정은 정당하고 거기에 채증법칙에 위배하여 사실을 오인한 위법은 없다. 민법 제844조의 친생추정을 받는 자는 친생부인의 소에 의하여 그 친생추정을 깨뜨리지 않고서는 다른 사람을 상대로 인지청구를 할 수 없으나, 호적상의 부모의 혼인중의 자로 등재되어 있는 자라 하더라도 그의 생부모가 호적상의 부모와 다른 사실이 객관적으로 명백한 경우에는 그 친생추정이 미치지 아니한다고 봄이 상당하고(대법원 1992. 7. 24. 선고 91므566 판결, 1988. 5. 10. 선고 88므85 판결, 1983. 7. 12. 선고 82므59 전원합의체 판결 등 참조), 따라서 그와 같은 경우에는 곧바로 생부모를 상대로 인지청구를 할 수 있으므로, 같은 취지의 원심의 판단도 정당하고 거기에 법리오해의 위법도 없다. 상고이유 중의 이 주장들을 모두 받아들이지 아니한다. 본안에 관하여 기록에 비추니, 원·피고 사이의 부자관계의 존재에 관한 원심의 사실인정 및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였거나 채증법칙을 위반한 위법사유는 없다. 상고이유 중의 이 주장들도 받아들이지 아니한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을 피고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대법관들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에 쓴 바와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형선(재판장) 이용훈 조무제(주심) 이용우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내 진짜 부모님은 누구? 가족관계증명서와 다른 생부모를 찾을 수 있을까요?

가족관계증명서상 부모와 생부모가 다를 경우, 객관적 증거를 통해 생부모임을 입증하여 인지청구를 통해 법적으로 생부모 자녀로 인정받을 수 있다.

#생부모#가족관계증명서#인지청구

가사판례

엄마가 아빠의 인정 없이 아이를 아빠의 자녀로 만들 수 있을까요?

결혼하지 않은 상태에서 아이를 낳은 엄마(생모)는 아이 아버지가 사망했을 때, 아이와 아버지 사이의 친자 관계를 확인해 달라는 소송을 직접 제기할 수 없습니다.

#혼외자#친자확인#생모#소송

가사판례

친자관계 부인, 어떤 소송을 제기해야 할까요?

혼외자의 출생신고만으로 호적에 올라간 경우, 친자 관계가 사실이 아니라면 '인지에 대한 이의의 소'나 '인지 무효의 소'가 아닌 '친생자관계부존재확인의 소'를 제기해야 합니다.

#출생신고#친자관계부존재확인소송#혼외자#인지

가사판례

호적상 어머니에게 친생자 확인 소송을 낸 사례

호적상 어머니가 맞는데, 돌아가신 아버지와의 관계를 바로잡기 위해 친자 확인 소송을 낸 경우, 이미 호적에 어머니의 자녀로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소송을 낼 필요가 없다는 판결.

#친자확인소송#호적#어머니#자녀

가사판례

엄마 맘대로 출생신고? 내 아빠 맞아요! - 친자 확인 소송 이야기

생모가 아버지 동의 없이 아이를 아버지의 자녀로 출생신고 했더라도, 나중에 법원에서 그 출생신고가 무효라고 판결받았어도, 아이는 아버지가 진짜 생부라면 재판을 통해 아버지 자녀로 인정받을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또한 친자 관계 확인이나 인지 청구 권리는 함부로 포기할 수 없습니다.

#생모 임의출생신고#인지무효확인#재판상인지청구#친자관계확인

가사판례

인지 확정판결 후, 친자관계 없다고 다시 소송할 수 있을까?

법원의 확정판결로 친자 관계가 인정되면, 이후 다른 소송을 통해 그 관계를 부정할 수 없다.

#친자확인#확정판결#번복불가#재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