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표는 브랜드의 얼굴과 같죠. 그래서 상표권은 브랜드를 보호하는 중요한 권리입니다. 오늘은 비슷한 상표 때문에 발생한 분쟁 사례를 통해 상표의 유사성 판단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신라산업 주식회사는 'ARIANA'라는 상표를 출원했지만, 특허청은 이미 등록된 'ARIA+아리아' 상표와 유사하다는 이유로 거절했습니다. 이에 불복한 신라산업은 소송을 제기했지만, 대법원까지 가는 공방 끝에 결국 패소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상표의 유사 여부를 판단할 때 다음과 같은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이 사건에서 법원은 'ARIANA'와 'ARIA+아리아'가 외관상으로는 차이가 있지만, 호칭이 유사하다고 판단했습니다. 'ARIANA'는 '아리아나' 또는 '아라이아나'로, 'ARIA+아리아'는 '아리아'로 발음되는데, '아리아나'의 경우 가장 강하게 인식되는 앞부분 3음절이 '아리아'와 동일하고, 마지막 음절은 약하게 발음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호칭이 매우 유사하게 들린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일반 수요자들이 상품 출처를 혼동할 우려가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결론
이 판례는 상표의 유사 여부를 판단할 때 호칭의 유사성이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비슷한 상표를 사용하려는 경우, 외관뿐 아니라 호칭까지 고려하여 소비자들이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특허판례
"ALICE"라는 상표가 기존에 등록된 "아리스" 상표와 유사하여 등록 거절된 사례. 전체 상표의 외관은 달라도, 일반 소비자가 쉽게 "앨리스"를 "아리스"로 약칭하여 부를 가능성이 높아 상품 출처에 대한 혼동을 줄 수 있다는 판단.
특허판례
'TREND AURORA'라는 상표가 기존에 등록된 'aurora' 상표와 유사하고, 지정상품도 유사하여 등록이 거절된 사건입니다. 'TREND'라는 단어가 붙었더라도 'AURORA' 부분 때문에 기존 상표와 혼동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었습니다.
특허판례
'Christa & Carrel' 상표는 'Christa' 부분만으로 약칭되어 불릴 가능성이 높고, 이 경우 'CHRISTINA'(크리스티나)와 유사하게 들려 소비자 혼동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유사상표로 판단.
특허판례
발음이 비슷한 상표는 상품 종류가 같거나 비슷할 경우, 소비자가 상품 출처를 혼동할 수 있으므로 유사상표로 본다는 대법원 판결.
특허판례
발음이 비슷한 상표는 외관이나 의미가 다르더라도 유사 상표로 판단될 수 있으며, 다른 유사 상표의 출원/등록 여부는 판단 기준이 될 수 없다.
특허판례
두 상표가 유사한지 판단할 때는 전체적인 느낌과 간략하게 불리는 호칭까지 고려해야 하며, 특히 외국인 성명이 포함된 상표라도 일부만으로 불릴 가능성이 있다면 유사 상표로 판단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