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이 자기 계열사를 시켜서 납품업체에게 갑질하는 경우, 대기업은 형사처벌을 받을까요? 최근 대법원 판결은 "아니오"라고 답했습니다.
사건의 쟁점:
공정거래법 제23조는 사업자가 직접 또는 계열사를 통해 불공정거래행위(갑질)를 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하지만 형사처벌 규정인 제67조는 "불공정거래행위를 한 자"만 처벌한다고 되어 있어, 계열사를 시켜서 갑질한 사업자도 처벌 대상인지가 논란이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계열사를 시켜서 갑질한 사업자는 형사처벌 대상이 아니라고 판결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과징금은 부과 가능:
대법원은 형사처벌은 불가능하지만, 과징금 부과는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공정거래법상 과징금 부과 규정은 형사처벌 규정보다 폭넓게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즉, 계열사를 통해 갑질한 사업자는 형사처벌은 면할 수 있지만, 과징금 등 다른 제재는 받을 수 있습니다.
관련 법조항:
이번 판결은 계열사를 통한 갑질에 대한 법적 책임을 명확히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비록 형사처벌은 면하게 되었지만, 과징금 등 다른 제재를 통해 불공정행위를 규제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입니다.
일반행정판례
대형 유통업체 이랜드리테일이 납품업체에 여러 부당행위를 했다는 이유로 공정거래위원회가 내린 시정명령이 너무 불명확해서 위법하다는 판결.
일반행정판례
삼성그룹 계열사들이 다른 계열사를 지원하기 위해 부당하게 유리한 조건으로 자금, 자산 거래를 했다는 공정거래위원회의 판단에 대해, 대법원은 일부 행위는 부당지원에 해당하지만 일부는 정당한 거래라고 판단하여 과징금 처분 일부를 취소했습니다.
일반행정판례
대형마트가 자체 마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납품업체에 지급할 상품대금을 일방적으로 감액하는 것은 부당하며, 대형마트가 납품업체에 비해 거래상 우월적 지위에 있다면 대규모유통업법 위반에 해당한다.
일반행정판례
대기업 집단 '대우' 계열사 간의 자금 지원, 주식 및 공사대금 미회수, 퇴직충당금 미회수, 후순위사채 매입 등의 행위가 공정거래법상 부당지원행위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과징금 부과가 적법한지 여부에 대한 판결입니다.
민사판례
대형마트가 납품업체에게 직원(협력사원)을 파견하여 자기 매장에서 일하게 하는 것을 강요하는 것은 불공정거래행위이며, 납품업체는 대형마트에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일반행정판례
대기업 지주회사가 금융·보험 회사를 손자회사로 지배하는 행위는 법으로 금지되어 있지만, 이를 어겼을 때 부과할 과징금 계산 기준이 법에 명시되어 있지 않아 과징금을 부과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