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에 있는 기계를 담보로 돈을 빌렸는데, 그 기계를 몰래 다른 곳으로 옮기면 어떻게 될까요? 생각보다 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공장근저당과 관련된 중요한 판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사건의 개요
어떤 사람이 공장에 있는 기계를 담보로 돈을 빌렸습니다. 이런 경우를 '공장근저당'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돈을 빌린 사람이 몰래 그 기계를 다른 곳으로 옮겨서 또 다른 담보로 사용하려고 했습니다. 이중으로 담보를 잡으려고 한 것이죠.
법원의 판단
법원은 이러한 행위가 권리행사방해죄에 해당한다고 판결했습니다. 돈을 빌려준 사람은 담보로 잡은 기계를 통해 돈을 회수할 권리가 있는데, 기계가 없어지면 그 권리를 행사할 수 없게 되기 때문입니다. 기계를 옮긴 행위 자체가 돈을 빌려준 사람의 권리 행사를 방해할 우려가 있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실제로 방해가 되었는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관련 법 조항: 형법 제323조
타인의 권리행사를 방해할 목적으로 자기의 물건 또는 타인의 물건을 손괴 또는 은닉 기타 방법으로 타인의 권리행사를 방해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7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이 사건에서는 기계를 옮긴 행위가 "은닉 기타 방법으로 타인의 권리행사를 방해"한 것에 해당한다고 본 것입니다.
핵심 정리
결론
공장근저당 설정된 기계는 함부로 옮기면 안 됩니다. 담보로 제공된 기계를 무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형사 처벌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형사판례
은행 빚을 갚기로 하면서 담보로 잡힌 기계를 함께 받았다면, 그 기계를 마음대로 팔아서는 안 된다는 판결. 멋대로 팔면 배임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상담사례
점유개정 방식의 기계 양도담보는 후순위 공장저당보다 우선하여 보호되지만, 경매 시 이의제기를 해야 권리를 지킬 수 있다.
상담사례
저당물을 무단으로 옮기면 저당권자는 직접 반환 청구는 어려우나, 방해배제청구권을 행사하여 원래 위치로의 반환을 요구할 수 있다.
민사판례
이미 다른 사람에게 양도담보로 넘겨진 기계를 나중에 공장저당의 목록에 포함시켰더라도, 공장저당권은 해당 기계에 효력이 없다. 즉, 양도담보권자가 우선권을 갖는다.
민사판례
공장저당권자가 자신의 동의 없이 공장에서 반출된 기계를 원래 위치로 되돌려 놓으라고 요구할 수 있다.
형사판례
타인의 권리행사를 방해할 목적으로 자신 소유의 물건을 숨기는 행위는, 실제로 권리행사가 방해되지 않았더라도 권리행사방해죄가 성립한다. 즉, 물건을 숨겨서 권리행사가 어려워질 '우려'만 있어도 죄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