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7.05.09

일반행정판례

군인의 현역복무 부적합 판정, 군 당국의 재량 존중해야

군인이 현역으로 복무하기에 적합한지 여부는 누가 판단할까요? 군인의 신분을 좌우하는 중요한 문제이기에 그 판단 기준과 과정에 대한 궁금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와 관련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한 단기 장교가 혼인 전 동거로 임신과 낙태를 경험하고 결별하게 된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 장교는 이후 현역복무 부적합 판정을 받고 전역 처분되었는데,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은 군인의 현역복무 적합 여부 판정은 참모총장이나 전역심사위원회 등 관계 기관의 자유재량에 속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군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명백한 법규 위반이 없는 한 군 당국의 판단을 존중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사건에서 법원은 해당 장교의 행위가 군인사법 제37조 제1항 제2호, 동법 시행령 제49조 제1항 제2호에 근거한 동법 시행규칙 제56조 제2항 제1호에 해당한다고 보았습니다. 즉, '사생활이 방종하여 군 복무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군의 위신을 손상하게 한 자'로 판단한 것입니다.

이러한 판단의 근거로 대법원 1980. 9. 9. 선고 80누291 판결이 참조되었습니다. 이 판례는 군의 현역복무 적합 여부 판단에 있어 군 당국의 재량을 존중해야 한다는 원칙을 확립한 중요한 판례입니다.

결론적으로 법원은 군 당국의 현역복무 부적합 판정이 명백한 법규 위반이 아니라는 점을 확인하고, 장교의 전역 처분이 정당하다고 판결했습니다. 이 사례는 군인의 현역복무 적합 여부 판단에 있어서 군 당국의 재량이 폭넓게 인정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군의관, 전역 거부 처분에 불복했지만 패소!

장기복무 의무장교로 임관한 군의관이 전역을 신청했으나, 군의관 부족 등의 이유로 전역이 거부된 처분은 정당하다고 본 판례입니다. 군인의 전역 허가 여부는 군 당국의 재량이며, 명백한 법규 위반이나 재량권 남용이 없는 한 존중되어야 합니다.

#군의관#전역거부#재량권#인력부족

일반행정판례

부하 여군장교 성희롱한 장교, 전역 처분 정당한가?

부하 여군 장교를 성희롱한 육군 대대장이 현역복무 부적합 판정을 받고 전역 처분된 것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으나 패소했습니다. 법원은 성희롱 행위가 현역복무 부적합 사유에 해당하며, 전역 처분은 정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성희롱#현역복무 부적합#전역#소송

일반행정판례

군종장교의 전역처분, 정당했을까? - 종단 변경과 복무 부적합

조계종 승려이자 해군 군종장교였던 원고가 혼인으로 조계종에서 제적된 후, 해군에서 현역복무 부적합 판정을 받고 전역 처분되었습니다. 이에 원고는 전역 처분이 부당하다며 소송을 제기했으나, 대법원은 군 당국의 판단이 정당하다고 판결했습니다.

#군종장교#현역복무부적합#전역처분#조계종

일반행정판례

군종장교, 종단 제적 후 종파 변경해도 현역복무 부적합 전역 가능

조계종 소속 군종장교가 종헌을 어기고 결혼하여 승적을 박탈당한 후, 군에서 현역복무 부적합 판정을 받고 전역 처분된 것은 정당하다고 대법원이 판결했습니다. 군의 현역복무 적합 여부 판단에 폭넓은 재량이 인정되며, 이 경우 장교의 품위 손상 등을 이유로 한 전역 처분은 신뢰보호원칙 위반 등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군종장교#승적박탈#현역복무부적합#전역

일반행정판례

현역복무 부적합 전역, 절차 제대로 지켜야 효력 인정!

현역복무 부적합으로 전역 처분을 할 때는 반드시 현역복무부적합자조사위원회의 조사를 거쳐야 하며, 조사위원회 위원은 이후 전역심사위원회 위원을 겸할 수 없다.

#현역복무부적합#전역처분#절차적 정당성#조사위원회

민사판례

장기복무 장교의 전역, 마음대로 할 수 있을까?

의무복무기간을 마친 장교라 하더라도 군의 필요에 따라 전역이 제한되거나 추가 복무를 해야 할 수도 있다.

#장기복무장교#전역 제한#추가 복무#판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