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5.08.27

민사판례

농업용 비닐피복기 특허침해, 핵심은 '기술사상의 핵심'!

오늘은 농업용 비닐피복기 특허침해 소송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기술적으로 조금 복잡한 부분이 있지만, 최대한 쉽게 풀어서 설명해 드릴게요!

사건의 개요

A는 자신이 특허를 낸 농업용 비닐피복기의 특허권을 B 영농조합법인이 침해했다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B가 만든 비닐피복기가 A의 특허와 유사하다는 것이죠. 특히, '복토안내기' 부분이 문제가 되었습니다. A는 B의 비닐피복기에 있는 '복토안내기'가 자신의 특허에 있는 '양측분기관부'와 사실상 같다고 주장했습니다.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B의 제품이 A의 특허를 정말로 침해했는지 여부입니다. 특히, B의 제품이 A의 특허와 완전히 똑같지는 않기 때문에 '균등침해' 여부가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되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B의 제품이 A의 특허를 침해한다고 판단했습니다. 비록 일부 구성요소에 차이가 있더라도, 전체적인 '기술사상의 핵심'이 동일하고, 변경된 부분이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생각해 낼 수 있는 정도라면 특허침해로 본다는 것이죠.

더 자세히 설명하면, 법원은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했습니다.

  1. 과제의 해결원리: A의 특허와 B의 제품은 모두 '비닐피복 작업의 자동화'라는 동일한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2. 작용효과: A 특허의 '앞바퀴'와 B 제품의 '스키날'은 비록 형태는 다르지만, 비닐피복기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3. 통상의 기술자의 인식: '스키날'은 바퀴 사용이 어려운 환경에서 흔히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통상의 기술자라면 '앞바퀴' 대신 '스키날'을 사용하는 것을 쉽게 생각해 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법원은 B의 제품이 A의 특허를 침해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B의 제품은 A의 특허와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지만, 핵심적인 기술사상이 같고 변경된 부분이 사소하기 때문에 특허침해에 해당한다는 것입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특허법 제97조 (특허권의 효력)
  • 특허법 제126조 (침해의 정의)
  • 특허법 제128조 (균등침해)
  • 대법원 2014. 7. 24. 선고 2012후1132 판결
  • 대법원 2014. 7. 24. 선고 2013다14361 판결

이 판례는 특허침해, 특히 균등침해를 판단할 때 '기술사상의 핵심'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단순히 구성요소의 차이만 볼 것이 아니라, 발명의 본질적인 목적과 효과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해야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특허 침해 판단, 핵심은 '기술사상'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할 때, 특허받은 발명과 비교 대상 발명이 완전히 동일하지 않더라도, 기술적인 핵심이 같고 쉽게 변경 가능한 차이만 있다면 침해로 인정될 수 있다는 균등론에 대한 판례입니다.

#특허 침해#균등론#과제 해결 원리 동일#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효과

형사판례

실용신안권 침해? 핵심은 '동일성'과 '균등성'에 있다!

실용신안권 침해죄가 성립하려면 침해 대상 물건이 등록된 실용신안과 완전히 똑같거나 매우 유사해야 하는데, 이 판결에서는 침해 대상 물건의 구체적인 기술 구성이 밝혀지지 않아 실용신안권 침해를 인정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실용신안권 침해#균등관계#기술 구성#침해 대상 물건

특허판례

특허 침해? 부분만 같다고 다 침해는 아니에요!

특허는 발명의 각 구성요소가 결합된 전체 기술에 대한 권리를 보호하는 것이지, 각 구성요소를 따로따로 보호하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할 때는 특허받은 발명의 모든 구성요소를 고려해야 하며, 일부 구성요소가 이미 알려진 기술이라도 다른 구성요소와 어떻게 결합하여 새로운 기술적 효과를 내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특허 침해#발명 구성요소#전체 기술#새로운 기술적 효과

민사판례

특허 침해, 어디까지 인정될까? - 균등침해와 그 판단 기준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할 때, 똑같이 만들지 않았더라도 비슷하게 만들어 특허의 핵심 아이디어를 베꼈다면 침해로 볼 수 있는데, 이를 "균등침해"라고 합니다. 이 판례는 균등침해가 성립하기 위한 세부적인 조건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특허침해#균등침해#과제해결원리#작용효과

민사판례

김 자르는 기계, 특허 침해일까? 균등론에 대한 이야기

김 자르고 담는 기계에 대한 특허침해 소송에서, 비슷한 기능을 하는 다른 회사 기계가 특허를 침해했다고 대법원이 판결했습니다. 핵심 기술 아이디어가 같고, 차이점은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변형이라는 것이 판결 이유입니다.

#김자르는기계#특허침해#균등침해#대법원판결

특허판례

특허권 침해라고 주장하려면, 제대로 된 발명을 걸고 넘어져야 합니다!

특허권자가 자신의 특허 권리범위를 확인해달라는 소송을 낼 때, 상대방이 실제로 사용 중인 제품과 소송에서 다투는 제품이 서로 다르면 소송을 할 실익이 없다는 판결입니다.

#특허권 침해#확인의 이익#권리범위확인심판#실제 사용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