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권침해금지등

사건번호:

2004다29194

선고일자:

200502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특허발명과 대비되는 발명이 특허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지 여부의 판단 기준 [2] 특허발명과 대비되는 발명의 구성요소들이 특허발명의 구성요소와 모두 동일하거나 균등관계에 있다고 보아, 대비되는 발명이 특허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원심의 판단을 수긍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특허법 제97조 , 제135조 / [2] 특허법 제97조 , 제135조

참조판례

[1] 대법원 2000. 7. 28. 선고 97후2200 판결(공2000하, 1954), 대법원 2001. 6. 15. 선고 98후836 판결(공2001하, 1651), 대법원 2001. 8. 21. 선고 98후522 판결(공2001하, 2110), 대법원 2001. 9. 7. 선고 2001후393 판결(공2001하, 2197), 대법원 2002. 8. 23. 선고 2000후3517 판결(공2002하, 2245), 대법원 2002. 9. 6 선고 2001후171 판결(공2002하, 2452)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박충호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다래 담당변호사 박승문 외 3인) 【피고,상고인】 영양제과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태평양 담당변호사 강용현 외 2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4. 5. 11. 선고 2003나45771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이 사건 특허발명(특허번호 제213858호)이 단순히 공지공용의 기술로 구성된 것이라고 볼 수 없다고 판단하였는바,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심리미진이나 채증법칙위배로 인한 사실오인 또는 특허의 신규성과 특허법 제29조의 해석적용에 관한 법령위반이나 판례위반 등의 위법이 없다. 2. 특허발명과 대비되는 발명이 특허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수 있기 위해서는 특허발명의 각 구성요소와 구성요소 간의 유기적 결합관계가 특허발명과 대비되는 발명에 그대로 포함되어 있어야 하고, 대비되는 발명에서 구성요소의 치환 내지 변경이 있더라도, 양 발명에서 과제의 해결원리가 동일하며, 그러한 치환에 의하더라도 특허발명에서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내며, 그와 같이 치환하는 것을 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용이하게 생각해 낼 수 있을 정도로 자명하다면, 대비되는 발명이 특허발명의 출원시에 이미 공지된 기술 내지 공지기술로부터 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용이하게 발명할 수 있었던 기술에 해당하거나, 특허발명의 출원절차를 통하여 대비되는 발명의 치환된 구성요소가 특허청구범위로부터 의식적으로 제외된 것에 해당하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대비되는 발명의 치환된 구성요소는 특허발명의 대응되는 구성요소와 균등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아, 대비되는 발명은 여전히 특허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보아야 하는 것이다( 대법원 2001. 9. 7. 선고 2001후393 판결, 2002. 8. 23. 선고 2000후3517 판결 등 참조). 같은 취지에서 원심은, 이 사건 특허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중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뒷받침되는 특허청구범위 제3항, 제6항의 권리범위가 피고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물품에 미치는지 여부에 관하여, 그 채용 증거들에 의하여 그 판시와 같은 사실들을 인정한 다음, 이 사건 특허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3항과 피고의 제조방법은 떡(생지) 층과 떡소 층을 이루는 원료물질과 구성비 및 그 제조공정 등에 일부 차이가 있으나, 양 발명은 모두 초콜릿 외피 층, 떡(생지) 층, 떡소 층이라는 3층 구조로 이루어진 떡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수분 함량이 낮은 물질로 떡소 층을 만들어 떡(생지) 층으로 수분이 이행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떡의 거죽에 초콜릿을 입혀 수분 증발을 방지함으로써 떡이 딱딱해지는 것과 상하는 것을 장기간 방지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기본적인 구성요소들 사이의 유기적 결합관계와 과제의 해결원리 및 작용효과가 동일하며, 피고의 제조방법에서 떡소의 구성성분은 식물성 유지(쇼트닝, 코코아버터, 아몬드페이스트), 당류(백설탕, 포도당), 분말크림(유청분말, 분말유크림), 유화제(레시틴) 및 기타 첨가제(아몬드 향)이고, 그 수분 함량이 2% 이내인데, 특허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3항의 떡소인 땅콩크림도 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기재에 의하면 식물성 유지(쇼트닝, 땅콩버터), 당류(분당, 포도당), 분말크림(크리마-1), 유화제(레시틴) 및 기타 첨가제(바닐라 향)이고, 수분 함량은 2% 이내로서, 양 발명의 떡소는 물리적 상태와 주된 구성성분이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동일한 작용효과를 달성하는 물질로서 그 배합비율에서의 다소간의 차이는 그 분야의 평균적 기술자가 통상적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정도에 해당하며, 떡(생지)의 일부 재료로 사용하는 찰옥수수전분(피고의 제조방법)은 찹쌀과 멥쌀의 차이와 마찬가지로 옥수수전분(특허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3항)에 비하여 아밀로펙틴의 함량이 많아 점성이 크다는 특징이 있을 뿐이며 두 재료 모두 그 기술분야에서 떡의 주성분인 미분(米粉)의 일부를 대용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식품이므로 그 분야의 평균적 기술자가 옥수수전분을 찰옥수수전분으로 바꿔 사용하는 것에 어려움이 없고 그로 인하여 떡의 보존기간 등에 관한 작용효과에도 특별한 차이가 없으므로, 결국 양 발명의 대응되는 구성요소들은 모두 동일하거나 균등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이므로, 피고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제품(떡)은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인 특허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3항과 그 방법으로 제조한 떡에 관한 특허청구범위 제6항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취지로 판단하였다.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위배 또는 특허청구의 권리범위의 해석에 관한 법령위반 등의 위법이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한 피고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유지담(재판장) 배기원 이강국(주심) 김용담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꼬막 채취기, 특허권 침해 논란 종결!

두 가지 꼬막 채취기의 구조와 작동 방식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특허 침해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제조 금지 가처분 신청을 기각한 판결입니다.

#꼬막 채취기#특허 침해 소송#피고 승소#구조 차이

특허판례

남의 기술 베껴 특허? 안돼요! 무효입니다!

다른 사람의 영업비밀을 활용하여 단순히 일부 변경만 한 발명은 진정한 창작으로 볼 수 없어 특허로 인정되지 않으며, 해당 특허는 무효입니다.

#영업비밀#특허무효#진정한 창작#단순변형

특허판례

물건 발명 특허권, 제조방법까지 따져야 할까?

물건 발명 특허에서는 제조 방법이 아니라 최종 제품의 구성이 중요하다. 따라서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할 때, 제품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보다는 최종 제품이 특허받은 물건과 같은 구성을 갖는지가 핵심이다.

#물건 발명#특허 침해#제조 방법#최종 제품 구성

특허판례

떡 안에 크림, 특허는 어디까지? 특허청구범위 해석의 중요성

특허의 유효성을 판단할 때,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보다 지나치게 넓으면 안 된다는 판례입니다. 즉, 특허로 보호받으려는 범위가 실제 발명 내용보다 과장되어서는 안 됩니다.

#특허청구범위#상세한 설명#불일치#무효

특허판례

제조방법으로 특정되는 물건 발명, 그 특허는 어떻게 판단할까요?

물건 발명의 특허를 판단할 때, 제조방법이 함께 기재되어 있더라도 최종적으로 만들어진 물건 자체의 신규성과 진보성을 중심으로 판단해야 한다. 제조방법은 물건의 특징을 설명하는 보조 수단일 뿐이다.

#물건 발명#특허 요건#제조방법#신규성

특허판례

특허 침해, 물건인가 방법인가? - 생산 방법 특허와 제품의 관계

특허받은 생산방법으로 만든 물건도 특허권의 보호를 받는다. 따라서, 특정 생산방법으로 만든 물건이 특허받은 생산방법의 범위에 속하는지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특허#생산방법#물건#권리범위확인심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