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6.10.29

특허판례

미완성 발명도 특허 심사에서 비교 대상이 될 수 있을까?

특허를 받으려면 새로운 기술이어야 합니다. 이 "새로움"을 판단하는 기준 중 하나가 바로 진보성입니다. 기존 기술보다 얼마나 더 발전했는지를 따지는 것이죠. 그런데 이 진보성을 판단할 때, 이미 존재하는 기술과 비교하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그렇다면 미완성된 발명도 비교 대상이 될 수 있을까요? 대법원은 "그렇다"라고 판단했습니다.

한 발명가가 외국어 학습용 음성 기록매체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습니다. 외국어 음성과 특정 기법음을 동시에 녹음하는 기술이었죠. 그런데 특허청은 이 발명이 기존에 공개된 기술과 비교했을 때 진보성이 부족하다며 거절했습니다. 기존 기술은 외국어 음성과 기법음을 동시에, 또는 특정 시점 전후에 녹음하는 기술이었는데, 특허청은 두 기술이 큰 차이가 없다고 본 것입니다.

발명가는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특히, 특허청이 비교 대상으로 삼은 기존 기술은 미완성된 발명이며, 이 기술 자체도 특허를 받지 못했는데, 어떻게 이를 기준으로 자신의 발명을 평가할 수 있느냐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발명가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미완성된 발명이라 하더라도 진보성 판단의 비교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이죠. (구 특허법 제6조 제2항, 현행 제29조 제2항 참조) 비록 특정 기술이 완성되지 않았거나 특허를 받지 못했다 하더라도, 이미 공개된 기술이라면 새로운 발명의 진보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즉, 미완성 발명에 대한 거절 사정이 확정되었다고 하더라도, 이와 비교하여 다른 발명의 진보성을 부인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판례는 특허 심사 과정에서 어떤 기술이 비교 대상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완성된 발명뿐 아니라 미완성 발명도 새로운 기술의 진보성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한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불완전한 선행기술도 특허 심사에 사용될 수 있을까?

특허의 진보성을 판단할 때 비교 대상이 되는 발명은 완벽하게 기술될 필요가 없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내용을 이해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특허#진보성#불완전 발명#선행발명

특허판례

특허, 얼마나 새로워야 받을 수 있을까? 발명의 진보성 판단 기준

LG전자가 개발한 음극선관 전자파 차폐 기술은 기존 기술과 비교하여 구성과 효과 면에서 모두 현저하게 진보되었으므로 특허로서의 진보성이 인정된다는 대법원 판결.

#음극선관#전자파 차폐#진보성#특허

특허판례

특허 심사 기준: 청구범위,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특허의 유효성을 판단할 때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을 기준으로 해야 하며, 다른 설명이나 도면으로 청구범위를 제한해서 해석하면 안 된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특허#특허청구범위 해석#진보성#특허법원

특허판례

특허 심사, 제대로 알고 받자! - 신규성과 진보성 이야기

특허청이 처음에는 발명의 진보성(기존 발명보다 얼마나 발전했는지)을 문제 삼아 거절했는데, 나중에 법원에서 신규성(아예 새로운 발명인지) 문제를 제기했더라도, 특허청은 신규성에 대한 의견 제출 기회를 주지 않았으므로 그 결정은 부당하다는 판례입니다.

#특허#거절이유#신규성#진보성

특허판례

새로운 발명, 얼마나 새로워야 특허가 될까? 진보성 판단 이야기

기존 조직거상용 이식물과 차별화된 새로운 기술이 적용된 이식물의 특허는 진보성이 인정되어 유효하다. 단순히 새로운 발명의 내용을 알고 있다는 전제 하에 기존 기술로 쉽게 만들 수 있는지 판단하는 것은 잘못된 접근이다.

#조직거상용 이식물#특허#진보성#유효

특허판례

특허 출원 심사, 얼마나 꼼꼼해야 할까? - 신규성, 진보성 판단 기준과 거절 이유 통지

이 판례는 특허 출원 발명의 신규성과 진보성을 판단할 때 인용되는 발명의 명확성 기준과, 특허 심판 절차에서 거절 이유가 변경될 경우 출원인에게 의견 제출 기회를 줘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신규성#진보성#인용발명#명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