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를 운영하다 보면 자금 문제로 어쩔 수 없이 백지수표를 발행해야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그런데 만약 수표 금액이 부당하게 채워져 부도가 난다면, 그 책임은 어디까지일까요? 오늘은 백지수표 부도와 관련된 법적 책임 범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어떤 회사 대표가 1억 원까지 채워 넣을 수 있는 백지수표를 발행했습니다. 하지만 수표를 받은 사람은 약속을 어기고 2억 3천만 원이 넘는 금액을 채워 넣었고, 결국 수표는 부도 처리되었습니다. 검찰은 수표를 발행한 대표를 부정수표단속법 위반으로 기소했습니다.
쟁점
백지수표에 적힌 금액이 부당하게 채워져 부도가 났을 때, 수표를 발행한 사람이 부정수표단속법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을까요? 만약 처벌받는다면, 그 책임 범위는 어디까지일까요? 채워진 금액 전체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할까요, 아니면 처음에 약속한 금액까지만 책임을 져야 할까요?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부정수표단속법 제2조 제2항을 근거로 다음과 같이 판단했습니다.
즉, 이 사건의 경우 회사 대표는 처음에 약속했던 1억 원에 대해서만 부정수표단속법 위반 책임을 지고, 나머지 금액에 대해서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초과된 금액을 채워 넣은 사람은 유가증권위조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핵심 정리
이처럼 백지수표를 발행할 때는 금액을 명확히 정하고, 상대방이 약속을 어길 가능성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혹시라도 이와 비슷한 상황에 처하게 된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법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좋습니다.
형사판례
금액이 비어있는 백지수표를 받은 사람이 약속된 금액보다 훨씬 큰 금액을 채워넣는 등 악용하더라도, 원래 수표를 발행한 사람은 약속된 금액 범위 내에서는 부정수표단속법 위반의 책임을 져야 한다.
형사판례
돈이 없다는 걸 알면서도 백지수표를 발행하면 부정수표 단속법 위반죄가 될 수 있지만, 특별한 상황에서는 죄가 안 될 수도 있다는 판결입니다. 특히, 백지수표가 실제로 유통될 가능성이 없고, 나중에 돈을 받으려 할 때는 이미 계좌가 막혀있을 것이 분명한 경우 등이 그렇습니다. 또한 백지수표에 적힌 금액이 발행인이 허락한 금액보다 크다면, 발행인은 허락한 금액까지만 책임을 집니다.
형사판례
이미 발행된 백지수표에 금액이나 발행일을 나중에 채워 넣는 것은 새로운 수표 발행으로 보지 않는다.
민사판례
금액이 비어있는 백지어음을 발행할 때는 금액 기재 권한의 범위를 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어음을 받은 사람이 부정한 방법으로 금액이 채워진 것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음에도 받았다면, 어음 발행인은 정해진 금액 범위 내에서만 책임을 진다.
형사판례
백지수표에 허용된 금액보다 더 많은 금액을 채워넣었다고 해서 수표 발행인에게 부정수표단속법 위반죄를 물을 수는 없으며, 돈을 빌릴 당시에는 갚을 능력이 있었더라도 나중에 갚지 못하게 되었다면 사기죄로 처벌할 수 없다는 판례입니다.
형사판례
약속어음 발행인에게서 어음 할인을 위임받은 사람이 백지어음에 금액을 적었다가 할인을 못 받게 되자, 어음을 발행인에게 돌려주기 위해 금액을 지웠는데, 이는 권한 내의 행위이므로 유가증권변조죄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