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고인은 복표(복권의 일종) 발행 등을 금지하는 법률을 위반한 혐의로 재판을 받게 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피고인 측 변호인은 해당 법률 조항이 헌법에 위배된다고 주장하며 위헌법률심판 제청을 신청했습니다.
쟁점이 된 법: 복표발행,현상기타사행행위단속법 제5조, 제9조
관련 헌법 조항: 헌법 제12조 제1항 (죄형법정주의)
무엇이 문제일까요?
피고인 측은 '죄형법정주의' 위반을 주장했습니다. 죄형법정주의란, 어떤 행위가 범죄이고 어떤 처벌을 받는지는 법률로 명확하게 정해져 있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모호하게 규정된 법률로 처벌받는다면, 국민들은 어떤 행위가 범죄인지 예측하기 어렵고, 법 집행의 자의성도 커지기 때문입니다.
쉽게 말해, 복권 판매를 금지하는 법 조항이 너무 모호해서, 어떤 행위가 정확히 금지되는지, 어떤 경우에 처벌받는지 알기 어렵다는 것이죠. 이러한 모호함은 헌법에 보장된 죄형법정주의에 어긋난다는 것이 피고인 측 주장입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피고인 측 주장에 "상당한 이유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복권 판매 금지 법률이 헌법에 위배될 가능성을 인정한 것입니다. 따라서 해당 법률 조항의 위헌 여부를 가리기 위해 헌법재판소에 위헌법률심판을 제청했습니다. 최종적인 위헌 여부는 헌법재판소의 심판을 거쳐 결정될 것입니다.
형사판례
돈이 없다는 걸 알면서도 수표를 발행하는 행위를 처벌하는 부정수표단속법 조항들이 헌법에 위반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법원은 해당 조항들이 헌법에 위반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형사판례
헌법재판소가 위헌이라고 결정한 법을 적용하여 유죄 판결을 내린 것은 잘못되었다는 대법원 판결.
형사판례
광고 기능을 갖춘 '광고복권'이라도 복표의 핵심 요건을 충족하면 형법상 복표에 해당하며, 따라서 무허가로 발매하면 복표발매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
형사판례
선거 관련 허위사실 공표 행위를 처벌하는 공직선거법 조항들이 죄형법정주의의 명확성 원칙, 과잉금지 원칙, 자기부죄금지 원칙에 위배되는지 여부에 대한 판결입니다. 법원은 해당 조항들이 위헌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형사판례
선거법 위반에 대한 처벌 조항과 기부행위 금지 조항이 헌법에 위반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사건에서, 대법원은 해당 조항들이 헌법에 위반되지 않는다고 판결했습니다.
민사판례
헌법재판소는 국회에서 만든 법률의 위헌 여부만 심판할 수 있고, 관습법은 심판 대상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