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재 채취를 위해서는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특히 산림 지역에서 골재를 채취할 경우 더욱 까다로운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그런데 사금 채굴 허가를 받아놓고 실제로는 모래와 자갈만 채취했다면 어떻게 될까요? 최근 대법원 판례를 통해 이와 관련된 흥미로운 사건을 살펴보겠습니다.
한 골재 회사 대표가 자신의 땅(실제로는 하천)에서 골재를 채취하기 위해 사금광업권허가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그는 사금은 전혀 채굴하지 않고, 오로지 모래와 자갈만 채취했습니다.
겉보기에는 광업권 허가도 받았고, 산림훼손허가도 받았으니 문제가 없어 보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이러한 행위가 산림법 위반이라고 판결했습니다.
왜 그럴까요? 핵심은 허가받은 목적과 실제 행위가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사금 채굴을 위해 허가를 받았으면 사금을 채굴해야지, 모래와 자갈만 채취하는 것은 허가받은 범위를 벗어난 행위라는 것입니다.
즉, 토석채취 허가 없이 모래와 자갈을 채취한 것으로 간주되어 산림법 위반에 해당한다는 것이죠. 광업권 허가나 산림훼손허가를 받았다고 해도, 허가받은 목적 외의 행위를 한다면 법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관련 법조항:
이 판례는 허가의 목적과 실제 행위의 일치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줍니다. 산림 자원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관련 법규를 준수하고, 허가받은 목적에 맞는 행위를 해야 한다는 점을 꼭 기억해야 하겠습니다.
형사판례
규사 광업권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광업권 구역 내에서 골재 채취 허가 없이 모래를 채취할 수는 없습니다. 광물 채굴과 관련 없이 골재를 채취할 경우 골재채취법 위반입니다.
형사판례
광산에서 광물 채굴 허가를 받았더라도, 광물 대신 쇄골재(건축 자재용 자갈)를 캐내려면 별도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광물 채굴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나오는 골재는 괜찮지만, 의도적으로 골재를 채취하는 것은 불법이다.
일반행정판례
광업권이 설정된 지역과 겹치는 하천 구역에서 골재를 채취하려면, 채광 계획 인가 여부와 관계없이 광업권자의 동의를 얻어야 합니다. 하지만, 골재 채취 사업의 공익성이 광업권자의 사업보다 현저히 크다면 예외적으로 동의 없이 허가가 가능합니다.
형사판례
과거에 채취해서 쌓아둔 골재라도 오랜 시간 방치되어 주변 환경과 일체화되면서 다시 자연 상태로 돌아간 경우, 이를 다시 옮기려면 골재채취법에 따라 허가를 받아야 한다.
형사판례
골재채취법이 시행되었지만, 관련 시행령이 아직 만들어지지 않았더라도 허가 없이 골재를 채취하면 불법입니다.
일반행정판례
산림에서 토석 채취는 환경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법으로 정한 제한지역이 아니더라도 공익을 위해 허가를 거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