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철이 다가오면 여러 가지 규칙을 잘 알아야 합니다. 특히 금품과 관련된 부분은 더욱 조심해야 하는데요. 누군가에게 돈을 전달하는 단순한 심부름을 했을 경우에도 처벌받을 수 있을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돈 심부름, 단순히 전달만 했다면 처벌 X
공직선거법은 선거의 공정성을 위해 금품 제공을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돈을 전달하는 심부름만 했다면 무조건 처벌되는 것은 아닙니다. 법원은 심부름꾼이 돈의 배분 대상, 방법, 액수 등에 대한 판단이나 재량 없이 단순히 보관하거나 전달만 한 경우에는 처벌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판단이나 재량이 있었다면 처벌 O
반대로 심부름꾼이 돈의 배분 등에 대한 어느 정도의 판단이나 재량을 가지고 있었다면, 설령 돈이 자신에게 귀속되지 않더라도 처벌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누구에게 얼마를 줄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이 있었다면 단순 심부름을 넘어선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관련 법조항 & 판례
사례 분석
한 선거운동원이 후보자의 지시를 받아 여러 사람에게 돈을 전달한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 운동원은 누구에게 얼마를 줄지 등을 스스로 결정한 것이 아니라 후보자의 지시에 따라 단순히 돈을 전달하기만 했습니다. 법원은 이 운동원을 단순 심부름꾼으로 보고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결론
선거와 관련된 금품 제공은 매우 민감한 문제입니다. 단순 심부름이라도 상황에 따라 처벌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돈의 배분 등에 대한 판단이나 재량이 주어졌다면 더욱 조심해야 합니다. 혹시라도 관련된 상황에 처했다면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형사판례
선거 후보자의 배우자가 선거운동원이 아닌 제3자에게 선거자금을 전달한 경우, 그 제3자가 자금을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한 재량권을 가지고 있었다면, 이는 선거법 위반(금품 제공)에 해당한다.
형사판례
후보자 배우자가 선거사무원에게 유권자에게 줄 돈을 건넨 행위가 선거법상 기부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결입니다. 다수의견은 기부행위에 해당한다고 판단했고, 반대의견은 단순 교부행위일 뿐 기부행위는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형사판례
선거에 출마하려는 사람이 선거운동 관련자에게 돈을 빌려준 것처럼 위장하여 돈을 제공한 경우, 실제로 선거운동에 사용될 목적이 없었더라도, 선거의 공정성을 해칠 수 있다면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처벌될 수 있다.
형사판례
선거 후보자가 직접 선거구민에게 식사를 제공하거나 선거비용을 지출한 행위는 불법이며, 설령 후보자가 불법인 줄 몰랐거나 나중에 회계책임자가 승인했더라도 죄가 된다.
형사판례
선거기간 중 여러 사람에게 나눠주려고 돈이나 선물을 따로따로 포장하거나 나눠 놓는 등 '구분'해서 가지고 다니는 것만으로도 불법이 될 수 있다.
형사판례
돈을 댄 사람과 실제 기부행위를 한 사람이 다를 경우 누구를 기부행위자로 볼 것인가, 그리고 당내 경선에서 돈을 주고받는 행위도 선거법 위반인가에 대한 대법원 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