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8.10.09

민사판례

정직, 직위해제 기간은 연차휴가 계산에 포함될까?

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징계를 받아 정직 또는 직위해제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기간 동안은 회사에 나가지 않아도 되지만, 급여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죠. 그렇다면 이 기간은 연차휴가 계산에 어떻게 반영될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핵심은 정직이나 직위해제 기간은 연차휴가를 주기 위한 출근일수 계산에는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좀 더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과거 근로기준법(2003년 9월 15일 법률 6974호로 개정되기 전) 제59조(현행 제60조 참조)는 1년간 개근한 근로자에게는 10일, 9할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는 8일의 유급휴가를 주도록 규정했습니다. 그런데 '개근'이나 '9할 이상 출근'이 정확히 무엇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없었습니다.

법원은 연차유급휴가의 목적이 근로자에게 휴식을 제공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있다고 보았습니다. 정직이나 직위해제 기간 동안 근로자는 비록 근로자 신분은 유지하지만 실제로 일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이 기간을 연차휴가를 위한 출근일수에 포함시키는 것은 휴가의 취지에 맞지 않습니다.

그래서 회사는 취업규칙에서 정직이나 직위해제 기간을 소정 근로일수에는 포함시키지만, 연차휴가 계산을 위한 출근일수에는 포함하지 않도록 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법원은 이러한 취업규칙이 근로기준법에 위배되거나 근로자에게 불리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이 판례(대법원 1996. 6. 11. 선고 95누6649 판결, 서울중앙지법 2008. 5. 15. 선고 2007나33353 판결)는 정직이나 직위해제 기간 동안 근로자가 실제로 일하지 않았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 기간을 연차휴가 계산에 포함하지 않더라도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본 것입니다.

즉, 회사는 정직이나 직위해제 기간을 근무한 것으로 보지 않고 연차휴가 일수를 계산할 수 있다는 것이죠. 이는 근로자의 실질적인 휴식을 보장하기 위한 법원의 해석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부당해고 기간도 연차휴가 수당 계산에 포함될까?

부당하게 해고된 기간도 연차휴가수당을 계산할 때 근무한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해고기간 동안 실제로 일하지 않았더라도, 해고가 부당했기 때문에 마치 일한 것처럼 계산해서 연차휴가수당을 줘야 한다는 것입니다. 심지어 부당해고 기간이 1년 전체일지라도 마찬가지입니다.

#부당해고#연차휴가수당#계산 포함#대법원 판결

민사판례

직장폐쇄와 연차휴가, 쟁점 정리!

이 판례는 직장폐쇄 기간과 노조 전임 기간이 연차휴가 계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직장폐쇄의 적법성 여부에 따라 계산 방법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명확히 제시합니다.

#연차휴가#직장폐쇄#노조전임#소정근로일수

민사판례

주말에도 쉬고 싶다면? 연차휴가와 퇴직금에 대한 궁금증 해결!

이 판례는 연월차 휴가를 토요일 휴무로 대체하려면 반드시 근로자 대표와 서면 합의해야 하며, 정기적·계속적으로 지급되는 영업 인센티브는 퇴직금 계산의 기준이 되는 평균임금에 포함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연월차휴가#토요일휴무대체#서면합의#영업인센티브

민사판례

퇴직 전 미사용 연차수당, 퇴직금 계산에 포함될까?

퇴직 전 미사용한 연차휴가에 대한 수당은 퇴직금 계산 시 포함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퇴직 전 3개월의 근무 기간에 연차 발생 기준 기간이 포함되어야만 퇴직금에 포함됩니다. 또한, 1년을 채우지 못하고 퇴직한 경우, 연차 발생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근무일수에 비례한 연차수당도 받을 수 없습니다.

#연차휴가#퇴직금#평균임금#3개월

민사판례

일하지 않아도 연차휴가수당 받을 수 있을까? 업무상 재해와 연차휴가, 그리고 휴업급여에 대한 이야기

업무상 재해로 쉬는 기간도 연차휴가 계산에 포함되며, 그 해에 출근 못 했더라도 전년도 출근율 충족 시 연차휴가수당을 청구할 수 있다. 회사가 이를 제한하는 규칙은 무효다.

#업무상 재해#휴업기간#연차휴가#연차휴가수당

민사판례

파업, 육아휴직과 연차휴가,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파업이나 육아휴직처럼 법으로 보장된 권리 행사 기간은 연차휴가 계산 시 출근한 것으로 보지 않지만, 그렇다고 결근으로 처리해서도 안 됩니다. 이 기간을 제외하고 출근율과 연차휴가 일수를 계산해야 합니다.

#파업#육아휴직#연차휴가#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