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위반과 관련된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특히 검찰의 공소 제기와 법원의 판단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사건의 개요
피고인들은 군산비행장 앞에서 미군만행규탄대회를 개최했습니다. 이에 검찰은 다음 두 가지 혐의로 기소했습니다.
원심 법원의 판단
원심 법원은 두 번째 혐의(공공 안녕질서 위협 집회 주최)에 대해서는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피고인들의 집회가 사회적 불안을 야기할 정도로 위험하다고 볼 수 없다는 이유였습니다. 그러나 첫 번째 혐의(신고 없는 집회 개최)에 대해서는 따로 판단하지 않았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원심의 판단에 문제가 있다고 보았습니다. 왜냐하면 두 가지 혐의는 '상상적 경합' 관계에 있기 때문입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하나의 행위(집회 개최)가 여러 개의 죄(신고 없는 집회, 위험한 집회)에 해당될 수 있는 경우입니다. 이럴 때는 각각의 죄에 대해 모두 판단해야 합니다.
원심은 두 번째 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지만, 첫 번째 혐의, 즉 신고 없이 집회를 개최한 혐의에 대해서는 판단하지 않았습니다. 대법원은 이를 '공소가 제기된 사실에 관하여 판단을 유탈한 것'이라고 지적하며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원심 법원으로 돌려보냈습니다. 즉, 신고 없이 집회를 개최한 혐의에 대해서도 판단하도록 한 것입니다.
핵심 정리
관련 법조항
이번 판례는 법원이 공소사실을 어떻게 판단해야 하는지, 그리고 상상적 경합 관계에 있는 죄에 대해서는 어떤 식으로 접근해야 하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집회 및 시위의 자유는 중요한 권리이지만, 법률에 따라 적절하게 행사되어야 한다는 점도 함께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형사판례
경찰이 집회 개최를 미리 알고 있었거나 집회가 평화롭게 진행되었다 하더라도, 법에 따른 집회 신고 의무는 면제되지 않는다. 10명 이상이 모여 공동의 의견을 대외적으로 표명할 목적으로 일정 장소에 모이는 것은 집회 신고 대상이다.
형사판례
이 판례는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이하 집시법)상 '집회'의 의미, 옥외집회의 사전 신고 의무, 그리고 해산명령 불응죄 성립 요건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사전 신고 없이 진행된 기자회견 형태의 옥외집회도 집시법상 신고 대상이며, 해산명령 불응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경찰이 적법한 해산 절차를 준수해야 함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형사판례
집회가 신고 내용과 다르게 진행됐을 때, 불법 집회로 볼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 신고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볼 것인지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
형사판례
신고 없이 한 집회는 불법이며, 다른 곳에서의 집회 허가 거부가 긴급피난 사유는 아니다. 또한, 특정 단체를 위한 기금 모집은 법에 따라 규제된다.
형사판례
회사 구내 주차장처럼 일반인 출입이 제한된 옥외 장소에서 신고 없이 집회를 해도, 집회의 목적, 규모, 방법 등을 고려했을 때 주변에 피해를 줄 가능성이 없고 사회 통념상 문제가 없다면 처벌할 수 없다는 판례.
형사판례
이 판례는 집행유예 기간 중 관련된 다른 범죄(나머지 죄)에 대해 다시 집행유예를 선고할 수 있는지, 그리고 당국의 부당한 집회 금지에도 불구하고 집회 신고 의무가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