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1.04.29

형사판례

필로폰 범죄, 추징금은 어떻게 계산될까?

마약 범죄는 사회적으로 큰 해악을 끼치는 중대한 범죄입니다. 마약 범죄에 대한 처벌은 징역이나 벌금뿐 아니라 범죄로 얻은 이익을 환수하는 추징도 포함되는데요, 필로폰(메트암페타민) 관련 범죄에서 추징금은 어떻게 계산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트는 대법원 2023. 9. 14. 선고 2023도7497 판결을 바탕으로, 필로폰 추징금 산정 방식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핵심은 '범죄 행위'에 따라 달라지는 추징금 산정 기준!

필로폰 추징금 계산의 핵심은 어떤 범죄 행위를 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단순히 필로폰의 양만 가지고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매매알선, 교부, 투약 등 범죄 유형에 따라 다른 기준을 적용합니다.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매매알선: 실제 거래된 가격
  • 교부: 소매가격
  • 투약: 1회 투약분 가격

쉽게 말해서, 필로폰을 판매하려고 알선했다면 실제로 얼마에 팔려고 했는지, 누군가에게 그냥 주었다면 시중에서 얼마에 팔리는지, 스스로 투약했다면 1회 투약할 때 드는 비용을 기준으로 추징금을 계산하는 것입니다.

관련 법조항과 판례

이러한 추징금 산정 방식의 법적 근거는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제67조입니다. 그리고 이 법조항의 해석과 적용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은 대법원 2013. 7. 25. 선고 2013도5971 판결에서 확립되었습니다. 이 판례에서는 필로폰 추징금 산정 시 범죄 행위 유형에 따른 기준 적용을 명확히 했습니다.

실제 판결 사례 살펴보기

2023도7497 판결에서는 피고인이 필로폰을 무상으로 받아 투약, 매매, 무상교부하고 일부는 압수된 사건이었습니다. 법원은 압수된 필로폰은 몰수하고, 나머지 필로폰에 대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기준에 따라 각각 투약, 매매, 교부에 해당하는 가액을 산정하여 추징했습니다. 즉, 투약한 부분은 1회 투약분 가격으로, 판매한 부분은 실제 거래 가격으로, 무상으로 준 부분은 소매가격으로 계산하여 추징금을 정한 것입니다.

결론

필로폰 관련 범죄에서 추징금은 단순히 필로폰의 양이 아니라, 범죄 행위 유형에 따라 매매알선은 실제 거래가격, 교부는 소매가격, 투약은 1회 투약분 가격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이는 마약 범죄로 얻은 이익을 철저히 환수하여 범죄를 예방하고 사회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법 원칙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마약 판매 대금, 무조건 추징! 징벌적 성격이라고?

마약 판매로 얻은 돈은 범죄자가 실제로 이득을 봤는지와 상관없이 전액 추징해야 한다. 이는 범죄에 대한 징벌적인 조치이기 때문이다.

#마약#판매대금#전액추징#몰수

형사판례

마약 몰수하면 가액 추징 안 된다?

마약을 압수했으면, 압수한 마약의 가격만큼은 추징할 수 없다.

#마약#압수#추징#불가

형사판례

마약 몰수, 두 번 추징할 수 없다!

마약 소지자로부터 마약을 압수했다면, 그 마약을 거래한 다른 사람에게 마약 가액을 추징할 수 없다.

#마약#몰수#가액 추징#불가

형사판례

마약 범죄, 돈 안 벌었어도 추징! 얼마나?

마약류 관리법 위반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경우, 범죄로 얻은 이익이 없더라도 징벌적 차원에서 추징을 명할 수 있으며, 추징 금액은 재판 선고 시점의 마약 가격을 기준으로 합니다.

#마약류관리법위반#추징#징벌적#마약가격

형사판례

마약 범죄, 돈 벌었든 안 벌었든 추징!

향정신성의약품 관련 범죄에서 추징은 범죄수익을 환수하는 것이 아니라 범죄에 대한 징벌적인 의미를 가지므로, 실제 이득을 얻지 못했더라도 추징이 가능하고, 공범이 있는 경우 각각에게 전체 금액을 추징할 수 있습니다.

#향정신성의약품#추징#징벌적#공범

형사판례

히로뽕 투약과 추징금, 어디까지 내야 할까?

히로뽕을 소지하고 그 중 일부를 투약한 경우, 소지한 히로뽕 전체 가액에 대해서만 추징하고, 투약한 부분에 대해서는 별도로 추징하지 않는다.

#히로뽕#추징#이중처벌#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