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4.09.24

형사판례

회사 세금 체납, 대표이사도 책임져야 할까?

회사가 세금을 내지 않으면 대표이사도 책임을 져야 할까요? 당연히 그렇습니다! 회사가 세금을 체납하면 대표이사도 처벌받을 수 있다는 대법원 판례를 소개합니다.

회사 세금 체납, 대표이사도 처벌 가능

회사는 법인격을 가진 독립적인 존재이지만, 실제로 회사를 운영하고 세금 납부 등의 업무를 처리하는 것은 대표이사입니다. 따라서 회사가 세금을 체납한 경우, 대표이사는 조세범처벌법 제3조에 따라 행위자로서 조세범처벌법 제10조의 책임을 면할 수 없습니다. (대법원 1976. 4. 27. 선고 75도2551 판결, 대법원 1992. 11. 10. 선고 92도2324 판결, 대법원 1999. 7. 15. 선고 95도2870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

고발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져야

조세범처벌법 위반으로 고발할 때, 법인과 대표이사를 한꺼번에 고발할 수 있을까요? 아닙니다. 조세범처벌법 제6조는 조세 범칙 행위에 대해 국세청장 등의 고발을 기다리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때 고소·고발 불가분의 원칙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법인과 대표이사는 개별적으로 고발되어야 합니다. (대법원 1962. 1. 11. 선고 4293형상883 판결, 대법원 1971. 11. 23. 선고 71도1106 판결, 대법원 1973. 9. 25. 선고 72도1610 판결 참조)

고발장에 대표이사 정보 기재만으로는 고발 아님

고발장에 법인명과 함께 대표이사의 인적 사항을 기재했다면, 대표이사도 고발된 것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고발장에 피고발인을 법인으로 명시하고 대표이사의 인적 사항을 기재했더라도, 이는 대표이사 개인에 대한 고발로 볼 수 없습니다. 대표이사 개인을 고발하려면, 명확하게 대표이사를 피고발인으로 기재해야 합니다. (대법원 1962. 1. 11. 선고 4293형상883 판결 참조)

즉, 회사의 세금 체납은 대표이사 개인의 책임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법인과 대표이사에 대한 고발은 별도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허위 세금계산서, 대표이사 처벌은? 회사만 처벌 가능할까?

이 판례는 세금계산서를 허위로 발급받아 부가가치세 신고를 한 사건에서, 국세청의 통고처분과 고발, 그리고 검찰의 공소제기가 어떤 효력을 가지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특히, 법인 대표이사였던 피고인에게 통고처분이 적법하게 이루어졌는지, 고발이 유효한지, 그리고 고발 내용과 공소사실이 일치하는지 여부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허위세금계산서#통고처분#고발#공소제기

일반행정판례

회사 세금 문제, 대표에게 언제까지 책임을 물을 수 있을까?

회사 세금 고지서를 적법하게 전달하지 않고 공시송달한 것은 잘못이며, 이를 근거로 대표자를 2차 납세의무자로 지정한 것도 무효입니다. 하지만 대표자에게 부과된 기타소득세는 절차상 문제가 있더라도 무효는 아니며, 취소 사유에 해당합니다. 또한, 세금 체납을 이유로 한 대표자 출국금지는 적법합니다.

#세금#공시송달#2차납세의무#기타소득세

세무판례

대표이사가 회사 세금 문제로 소송을 걸었는데… 뭔가 이상하다?

회사 대표이사가 회사에 대한 세금 부과처분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하면서 실수로 소장의 청구취지에 자신의 이름을 기재한 경우, 법원은 당사자에게 석명(설명을 요구함)하여 정확한 소송 당사자를 확인해야 하며, 단순히 소장의 기재만을 보고 소송을 각하해서는 안 된다는 판결입니다.

#석명권#당사자확인#소장#세금부과처분취소소송

세무판례

회사 돈 횡령한 대표이사, 세금은 누가 내야 할까?

회사 대표이사가 회사 돈을 횡령했지만, 회사가 적극적으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등 횡령금 회수 노력을 보였기 때문에 회사 돈이 사외로 유출된 것으로 볼 수 없다는 판결. 따라서 횡령액을 대표이사의 소득으로 봐서 부과한 세금은 부당하다. 또한, 횡령으로 발생한 손해배상채권은 대손충당금 설정 대상이 아니다.

#대표이사 횡령#사외유출#소득세#주민세

세무판례

회사 돈, 대표가 썼다면? 세금은 누가 내야 할까?

회사 돈을 개인적으로 사용한 대표이사에게 소득세를 부과할 수 있는지, 그리고 관련 법률 조항의 위헌 결정이 소득세 부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세금 부과 근거가 위헌으로 판결되었더라도, 다른 법률 조항을 근거로 세금을 부과할 수 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법인#대표이사#자금유용#소득세

세무판례

회사 돈, 내 돈인가? 대표이사의 소득세 납부 책임

회사 장부를 조작해 수익을 빼돌려 개인적으로 사용한 대표이사에게 소득세를 부과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소득을 어떤 종류의 소득으로 보아야 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표이사#횡령#소득세#근로소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