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7.09.03

민사판례

회사 정리 절차 폐지 결정에 대한 불복과 이해관계인 집회 통지

회사가 재정적 어려움에 처했을 때, 법원의 관리 아래 회생을 도모하는 절차를 회사정리절차라고 합니다. 하지만 회생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법원은 이 절차를 폐지할 수 있습니다. 이번 판례는 이러한 회사정리절차 폐지 결정에 불복하는 방법관련된 이해관계인 집회의 통지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1. 회사정리절차 폐지 결정에 대한 불복 방법

회사정리절차 폐지 결정에 불만이 있는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요? 흔히 소송에서 항소 후 상고를 하는 것처럼 생각할 수 있지만, 회사정리절차 폐지 결정의 경우에는 재항고가 아닌 특별항고를 해야 합니다.

이는 회사정리법 제280조 제1항민사소송법 제420조에 근거한 것으로, 항고심 결정에 대해서는 재항고가 허용되지 않고 특별항고만 가능하다는 것이 대법원의 입장입니다. (대법원 1997. 3. 4.자 96마2170 결정, 1989. 7. 25.자 88마266 결정 등 참조)

2. 이해관계인 집회 통지의 문제

회사정리절차 폐지 결정을 내리기 전, 법원은 이해관계인들의 의견을 듣기 위해 집회를 열어야 합니다. 구 회사정리법 제277조 (1996. 12. 12. 법률 제518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는 이 집회 기일을 공고해야 하고, 알고 있는 이해관계인들에게는 개별적으로 송달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었습니다.

이 사건에서는 법원이 회사 관리인에게 집회 기일 통지를 하지 않았다는 문제가 제기되었습니다. 비록 관리인에게 통지를 하지 않은 것은 적절한 사무 처리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법원이 집회 기일을 적법하게 공고했다면 문제가 없다는 것이 대법원의 판단입니다. 왜냐하면 회사정리법 제15조에 따라 공고는 모든 관계인에 대한 송달의 효력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즉, 개별 통지를 받지 못했더라도 공고를 통해 알 수 있었으므로, 절차상 문제는 없다는 것입니다. 또한, 해당 집회에서 이해관계인들의 의견이 충분히 수렴되었다는 사실도 판단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 판례를 통해 회사정리절차 폐지 결정에 불복하려면 특별항고를 해야 하며, 이해관계인 집회는 공고를 통해 효력이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회사정리절차와 관련된 문제에 직면했을 때, 이러한 법적 절차와 판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회사 정리 절차 폐지 결정에 대한 불복, 어떻게 해야 할까요?

회사 정리 절차 폐지 결정에 불복하려면 특별항고를 해야 하며, 법원이 일부 채권자에게 통지하지 않았더라도 다른 절차가 제대로 진행되었다면 정리 절차 폐지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판례입니다. 또한, 회사 관리인은 송달 누락을 이유로 특별항고할 수 없습니다.

#회사정리절차#폐지결정#특별항고#송달누락

민사판례

회사 정리 절차 폐지 결정에 대한 불복과 정리계획안 심리 부적합 사유

회사 정리 절차를 폐지하기로 한 법원 결정에 불복하려면 재항고가 아닌 특별항고를 해야 하며, 정리계획안이 관계인 집회에 부칠 만한 것이 못 된다는 것은 법률 위반, 공정성·형평성 결여, 수행 불가능성, 가결 가능성 없음 등을 의미합니다.

#회사정리절차#폐지결정#불복방법#특별항고

민사판례

회사 정리 과정 중 계획 변경,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회사 정리 절차 중 정리계획을 변경할 때, 변경 시점(정리계획 인가 전/후)에 따라 절차와 효력이 다르며, 인가 후 변경에 대한 법원 결정은 즉시항고 외에는 다툴 수 없다.

#회사정리#정리계획 변경#인가 전 변경#인가 후 변경

민사판례

회사 정리 계획 변경 시 동의 간주에 관한 판결 해설

회사 정리계획 변경 시, 종전 계획에 동의했던 채권자가 변경계획 관련 회의(관계인집회)에 참석하지 않으면, 변경계획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단순히 다른 방식으로 반대 의사를 표현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회사정리계획 변경#채권자 동의 간주#관계인집회 참석#반대 의사 표시

민사판례

회사정리계획, 채무초과 판단 시점, 그리고 재산평가는 어떻게?

이 판례는 회사정리계획 인가 결정에 불만이 있는 경우 특별항고만 가능하며, 회사 재산 평가는 기업의 계속을 전제로 해야 한다는 것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주주의 의결권은 회사가 채무초과 상태인지에 따라 결정되며, 채무초과 여부는 정리절차 개시 시점을 기준으로 판단한다는 점을 밝히고 있습니다.

#회사정리계획#인가결정#불복방법#특별항고

민사판례

회사 정리 계획 변경, 관계인 집회 불참 시 동의 간주는 합헌?

회사 정리 계획 변경 시, 변경된 계획에 대한 관계인 집회에 참석하지 않은 사람은 변경 계획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하는 법 조항(구 회사정리법 제270조 제2항)은 헌법에 위반되지 않는다.

#회사정리#계획변경#불참자 동의간주#합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