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정지처분취소등

사건번호:

2002두12342

선고일자:

200304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의료법시행규칙 제33조 제1항에서 정한 허용범위를 넘는 의료광고가 곧바로 구 의료법 제46조 제1항의 과대광고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는지 여부(소극) [2] 한의원과 내과의원을 각자 별도로 운영하면서도 같은 건물 내에 있다는 것만으로 2개의 의료기관 개설을 안내하는 1장의 광고전단지에 '양·한방 협진 검사 안내'라는 문구 등을 넣어 광고한 것은 구 의료법 제46조 제1항에서 금지하는 과대광고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구 의료법(2002. 3. 30. 법률 제668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3조의3에 따라 행정처분의 세부적 기준을 정한 의료관계행정처분규칙 제4조에 의한 [별표] 행정처분기준 2. 나. (17)은 '법 제46조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의료업무에 관하여 과대광고를 한 때'에 대하여는 업무정지 1월을 규정하고 있는 반면에, (19)는 '법 제46조 제4항 및 규칙 제33조 제2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광고한 때'에 대하여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있을 뿐, 같은 법 제46조 제4항 및 같은법시행규칙 제33조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광고한 때에 대한 처분기준은 두고 있지 아니하여, 같은 법 제46조 제1항 위반행위와 같은 조 제4항 및 같은법시행규칙 제33조 제1항 위반행위에 대한 각 제재의 내용과 강도를 달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위 각 규정의 내용을 살펴보더라도 같은법시행규칙 제33조 제1항에 정한 허용범위를 넘는 의료광고가 곧바로 같은 법 제46조 제1항의 과대광고에 해당한다고는 볼 수 없다. [2] 한의원과 내과의원을 각자 별도로 운영하면서도 같은 건물 내에 있다는 것만으로 2개의 의료기관 개설을 안내하는 1장의 광고전단지에 '양·한방 협진 검사 안내'라는 문구 등을 넣어 광고한 것은 구 의료법(2002. 3. 30. 법률 제668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6조 제1항에서 금지하는 과대광고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구 의료법(2002. 3. 30. 법률 제6686호로 개정되기 전의것) 제46조 제1항, 제4항, 제53조의3, 의료법시행규칙 제33조 제1항, 의료관계행정처분규칙 제4조 [별표] 2. 나. (17), (19) / [2] 구 의료법(2002. 3. 30. 법률 제668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6조 제1항, 제4항, 의료법시행규칙 제33조 제1항, 의료관계행정처분규칙 제4조 [별표] 2. 나. (17), (19)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영천시장 【원심판결】 대구고법 2002. 11. 22. 선고 2002누1039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1. 가.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우선, 그 채용 증거에 의하여 그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뒤, 의료법시행규칙 제33조 제1항에 정한 허용범위를 넘는 의료광고는 그 점만으로도 구 의료법(2002. 3. 30. 법률 제668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46조 제1항의 과대광고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고, 원고와 원심공동원고가 그 판시와 같이 진료내용이나 각종 검사방법 등을 전단지나 현수막을 통하여 광고한 것은 의료법시행규칙 제33조 제1항에 정한 허용범위를 벗어난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구 의료법 제46조 제1항은 "의료법인·의료기관 또는 의료인은 의료업무에 관하여 허위 또는 과대한 광고를 하지 못한다."고, 같은 조 제4항은 "의료업무에 관한 광고의 범위 기타 의료광고에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고 각 규정하고 있고, 위 제4항에 따라 의료법시행규칙 제33조 제1항이 허용되는 의료광고의 범위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구 의료법 제53조의3에 따라 행정처분의 세부적 기준을 정한 의료관계행정처분규칙 제4조에 의한 [별표] 행정처분기준 2. 나. (17)은 '법 제46조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의료업무에 관하여 과대광고를 한 때'에 대하여는 업무정지 1월을 규정하고 있는 반면에, (19)는 '법 제46조 제4항 및 규칙 제33조 제2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광고한 때'에 대하여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있을 뿐, 법 제46조 제4항 및 규칙 제33조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광고한 때에 대한 처분기준은 두고 있지 아니하여, 구 의료법 제46조 제1항 위반행위와 같은 조 제4항 및 의료법시행규칙 제33조 제1항 위반행위에 대한 각 제재의 내용과 강도를 달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위 각 규정의 내용을 살펴보더라도 의료법시행규칙 제33조 제1항에 정한 허용범위를 넘는 의료광고가 곧바로 구 의료법 제46조 제1항의 과대광고에 해당한다고는 볼 수 없으므로, 이 점에 관한 원심의 판단은 수긍하기 어렵다. 나. 그러나 원심이 채용한 증거 등 기록에 의하면, 원고와 원심공동원고가 그 건물의 1, 2층을 각각 사용하면서 독립된 의료기관을 운영하고 있고 의료장비도 각각 구입하여 비치한 관계로 각자의 의료장비를 이용하여 각 그 해당 분야에 관하여 각자 개별적으로 각종 검사와 진료를 할 수 있을 뿐 한의원과 내과의원을 하나의 의료기관으로 설립하여 공동으로 운영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으므로, 원고와 원심공동원고가 다른 일방에게 그의 해당 분야에 관한 검사와 진료를 받아보도록 권유하는 정도의 협조밖에 할 수 없는데도, 원고와 원심공동원고가 각자 독립된 두 개의 의료기관의 개설을 안내하는 광고전단지를 배포하면서 1장으로 된 광고지에 '양·한방 협진 검사 안내'라는 난을 만들고 그 곳에 '양·한방 종합검진' 등의 문구와 아울러 각종 진료내용과 검사 내용을 기재한 것은, 의료지식이 부족한 일반 환자로 하여금 그 두 개의 의료기관 중 어느 한 곳에만 가면 마치 병원급 의료기관에서 각 진료분야별 전문의들이 조직적이고 유기적인 협조체제 아래 각종 질병에 관하여 종합적인 검사와 진료가 행해지는 것처럼, 한의사와 내과의사의 긴밀하고 유기적인 협조 아래 한방과 양방의 종합적인 검사와 진료를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오인하게 할 염려가 있다고 할 것이므로, 원고와 원심공동원고의 그와 같은 광고행위는 구 의료법 제46조 제1항에서 금지하는 과대광고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다. 따라서 원심이 원고의 광고행위를 구 의료법 제46조 제1항에서 금지하는 과대광고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결론은 옳은 것으로 수긍이 가고, 앞서 본 바와 같은 원심의 법리오해는 그 판결의 결론에는 영향이 없다고 할 것이다. 2. 기록에 비추어 알 수 있는 여러 사정들 즉, 비록 의료기관의 검사방법이나 각종 클리닉에 대한 광고허용범위를 벗어난 광고가 그 지역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빈번히 행해지고 있기는 하지만, 원고가 광고허용범위를 벗어난 광고에서 더 나아가 과대광고를 함으로써 환자의 의료기관 선택에 혼란을 야기한 점, 의료행위를 대상으로 한 광고의 경우에는 일반 국민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관계로 허위 또는 과대광고를 엄격히 규제해야 할 공익상의 필요가 큰 점, 피고는 원고에 대한 의료업 정지처분이 국민보건에 큰 위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고 개원한지 오래 되지 아니한 원고가 입게 될 경제적 불이익을 고려하여 업무정지 1월에 갈음하는 과징금 부과처분을 한 것으로 보이는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원심이 의료관계행정처분규칙 제4조는 행정기관 내부의 사무처리준칙을 정한 것에 불과할 뿐 법규적 효력이 없다는 전제 아래, 그 판시와 같은 이유를 들어 이 사건 처분에 재량권을 일탈 또는 남용한 위법이 없다고 한 판단도 옳은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관련 법령에 대한 해석을 그르치는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재식(재판장) 변재승 강신욱 고현철(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한의원 광고, 어디까지 허용될까? 과장 광고와 의료법 위반

한의원 인터넷 홈페이지에 '국내 최초', '국내 최상품' 등의 문구를 사용한 광고는 과대광고에 해당하며, 법 개정으로 약효 광고 처벌 조항이 삭제된 경우에는 신법을 적용해야 한다. 또한, 의료기관 명칭에 종별 명칭과 혼동할 우려가 있는 명칭을 사용한 경우, 처벌 규정이 없다면 처벌할 수 없다.

#한의원#과대광고#약효광고#의료기관 명칭

형사판례

성형 쇼핑몰 운영자, 의료법 위반 유죄 확정! 허위 광고와 환자 알선은 별개의 죄

인터넷 성형 쇼핑몰을 운영하며 병원 시술 상품을 판매하고 수수료를 받은 행위는 의료법 위반에 해당하며, 이전에 허위 광고로 처벌받았더라도 별개의 범죄로 처벌할 수 있다는 대법원 판결.

#성형쇼핑몰#의료법 위반#수수료#환자 유인

형사판례

건강보조식품 과대광고, 어디까지 처벌될까요?

질병 치료 효과가 있다고 광고한 건강보조식품 판매업자에게 유죄 판결. 식품 광고에서 의약품과 혼동할 우려가 있는 표현을 사용하면 과대광고로 처벌받을 수 있음.

#건강보조식품#과대광고#처벌#유죄

형사판례

의사 처방 약, 광고해도 괜찮을까?

의사나 한의사의 처방에 따라 환자에게 직접 조제되는 약은 약사법 광고 규제 대상이 아닙니다. 이러한 약제 광고는 의료광고로 분류되어 의료법의 적용을 받습니다.

#한의원#홈페이지#약제 효능#약사법 위반

형사판례

식품 판매원의 질병 치료 효능 설명, 광고일까? 아닐까?

식품 판매자가 특정 구매자에게 식품이 질병 치료에 효능이 있다고 설명하고 상담하는 행위는 식품위생법상 금지하는 '의약품과 혼동할 우려가 있는 광고'에 해당하지 않는다.

#식품#질병 치료 효능 설명#광고#식품위생법

형사판례

건강보조식품 광고, 함부로 하면 안 돼요!

건강보조식품이라도 광고에서 질병 치료 효과를 표방하면 약사법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

#건강보조식품#질병치료효과 광고#약사법 위반#의약품 오인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