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이득금반환등

사건번호:

2003다52944

선고일자:

200402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집행선고의 실효로 인한 원상회복의무의 지연손해금에 대하여 상사법정이율을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가집행선고의 실효에 따른 원상회복의무는 상행위로 인한 채무 또는 그에 준하는 채무라고 할 수는 없으므로 그 지연손해금에 대하여는 민법 소정의 법정이율에 의하여야 하는 것이고 상법 소정의 법정이율을 적용할 것은 아니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215조 제2항 , 민법 제379조 , 상법 제54조

참조판례

대법원 1979. 9. 11. 선고 79다1203 판결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서울보증보험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최성곤) 【피고,상고인】 케이비부동산신탁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세종 담당변호사 이건웅 외 2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3. 9. 5. 선고 2002나62724 판결 【주문】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그 부분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유】 가집행선고 있는 판결에 기한 집행은 확정적인 것이 아니고 상소심에서 그 가집행의 선고 또는 본안판결이 바뀌지 않을 것을 해제조건으로 하여 발생하는 것이고, 추후 상소심에서 본안판결이 바뀌게 되면 가집행채권자는 가집행의 선고에 따라 지급받은 물건을 돌려줄 것과 가집행으로 말미암은 손해 또는 그 면제를 받기 위하여 입은 손해를 배상할 의무를 부담하게 된다. 그런데 이 원상회복 및 손해배상의무는 본래부터 가집행이 없었던 것과 같은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공평의 관념에서 나온 것으로서 그 가집행으로 인하여 지급된 것이 금전이라면 특단의 사정이 없는 한 가집행채권자는 그 지급된 금원과 그 지급된 금원에 대하여 지급된 날 이후부터 법정이율에 의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하여야 하는 것이지만, 가집행선고의 실효에 따른 원상회복의무는 상행위로 인한 채무 또는 그에 준하는 채무라고 할 수는 없으므로 그 지연손해금에 대하여는 민법 소정의 법정이율에 의하여야 하는 것이고 상법 소정의 법정이율을 적용할 것은 아니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원고가 가집행의 선고에 따라 피고에게 지급하였던 가지급금에 대하여 그 가집행선고부 본안판결이 상소심에서 취소되었음을 이유로 그 가지급금에 대한 상법 소정의 연 6%의 법정이율에 따른 지연손해금의 지급을 구하는 원고의 청구에 대하여, 원고가 가집행선고에 따라 가지급금으로 피고에게 지급한 것이 보험금임을 전제로 그 보험계약이 취소된 이상 피고는 원상회복의무로서 지급받은 보험금을 반환하여야 하고, 이는 상행위인 보험계약에 따라 직접 생긴 채무는 아니라고 하더라도 이와 동일하거나 변형된 권리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고 하여 그 가지급금의 반환에 대하여 상법 소정의 연 6%의 법정이율을 적용하였는바, 위에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이러한 원심판결에는 가집행선고의 실효에 따른 원상회복의무의 법적성질을 잘못 파악함으로써 상사법정이율의 적용범위에 관한 법리 등을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그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기원(재판장) 유지담 이강국 김용담(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가집행 판결 뒤집히면 돌려받는 돈, 이자는 어떻게 계산할까?

1심에서 승소하여 상대방에게 돈을 받았는데, 2심에서 패소하여 받았던 돈을 돌려줘야 할 경우, 돌려줄 돈에 붙는 이자(지연손해금)는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이 판례는 항소심 판결 선고일까지는 낮은 이자율(연 5%)을, 그 이후는 높은 이자율(연 20%)을 적용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가집행#금액반환#지연이자#이자율

민사판례

가집행 판결 뒤집히면 돌려받은 돈, 이자는 어떻게 계산할까?

1심에서 승소하여 돈을 받았지만, 항소심에서 패소하여 돈을 돌려줘야 할 경우, 이 반환금은 부당이득이지만 국제사법상 '당사자 간 법률관계'에 의한 것이 아니므로, 국제사법에 따른 준거법이 아닌 한국 민사소송법을 적용한다는 판결입니다.

#가집행선고#실효#반환금#부당이득

민사판례

가집행 후 판결 뒤집히면 돈 돌려받을 수 있을까?

1심에서 승소하여 돈을 받았지만, 항소심에서 판결이 뒤집히거나 금액이 줄어든 경우, 1심에서 받았던 돈과 그에 대한 이자를 돌려줘야 한다.

#가집행#판결변경#가지급금반환#지연이자

민사판례

가집행과 상환이행, 그리고 지연이자

항소심에서 가집행 판결이 난 후 상고심 진행 중 당사자들이 판결 내용대로 서로 돈을 주고받았더라도, 이는 최종 합의가 아니라 강제집행을 피하거나 진행하기 위한 행위로 해석해야 한다. 따라서 상고심에서 판결이 뒤집히면 이전에 주고받은 돈과 관련된 권리관계도 다시 따져봐야 한다. 또한, 채무자가 돈을 갚을 의무가 있는지, 얼마나 갚아야 하는지 다투는 것이 합리적인 경우에는 높은 이자(연 25%)를 적용해서는 안 된다.

#가집행#판결 확정 전 이행#확정적 합의#지연이자

민사판례

돈 빌려줬는데 갚으라는 소송에서 이자가 문제?! 지연손해금 이자율, 제대로 알고 청구하세요!

돈을 갚으라는 소송에서 채무자가 빚의 존재 자체나 금액에 대해 다투는 것이 타당한 경우, 1심에서 승소했더라도 2심에서 패소하면 1심 판결 선고 전까지는 높은 지연이자(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에서 정한 이율)를 받을 수 없다.

#지연이자#소송#1심 승소#2심 패소

민사판례

항소심에서 금액이 줄어들면 이자도 줄어들까? 지연손해금 계산은 어떻게?

항소심에서 피고의 항소가 일부 인정되어 배상액이 줄어든 경우, 1심 판결부터 항소심 판결까지 높은 이자율(소송촉진 특례법상 이율)이 아니라 낮은 이자율(민법상 이율)을 적용해야 할 수 있다는 판례입니다. 피고가 금액에 대해 정당하게 다퉜다고 인정되면, 낮은 이자율을 적용하는 것이 맞습니다.

#지연손해금#이자율#항소심#감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