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2003다69119
선고일자:
200404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기존의 물품대금 채무를 정산하면서 그 채무액을 감액하여 주고 이를 분할 변제할 수 있도록 그 변제방법과 변제기일을 새로이 약정한 것만으로는 경개계약이 체결되었다 할 수 없고, 기존의 물품대금 채권은 단지 금액이 감액되고 변제기만 연장된 채 그 동일성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고 한 사례
[1] 민법 제500조
【원고,피상고인】 윤옥례 【피고,상고인】 김우섭 외 1인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천지인 담당변호사 신석중)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3. 12. 2. 선고 2002나30055 판결 【주문】 원심판결의 피고들 패소 부분 중 변제기가 1997. 11. 30.과 1998. 2. 28.로 약정된 합계 2,000만 원의 정산금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에 관한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피고들의 나머지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원심은 그 채택 증거를 종합하여, '신호정밀공업사'라는 금속가공업을 운영하는 피고 박관호는 조립금속제품제조업을 운영하는 원고로부터 금속제품을 공급받고 그 물품대금의 지급을 위하여 원고에게 1996. 8.경부터 1996. 10.경까지 액면금 합계 33,650,617원 상당의 약속어음 3장을 발행하여 주었으나 그 약속어음 3장 모두가 그 지급기일에 지급 거절된 사실, 이에 피고 박관호는 자기 명의로는 사업을 계속할 수 없는 처지에 이르게 되자 피고 김우섭의 동의를 받아 원고에게 피고 김우섭 명의의 '신성산업'이라는 상호로 계속 거래할 것을 요청하였고, 원고는 위 요청을 받아들여 피고들에게 1996. 12.경부터 1997. 5.말경까지 5차례에 걸쳐 합계 37,642,413원 상당의 금속제품을 추가로 공급하였으며, 한편 원고는 물품대금으로 1997. 2.경부터 1997. 5.경까지 합계 40,804,655원을 지급받은 사실, 그 후 피고들은 1997. 7. 24. 원고로부터 마지막으로 17,823,650원 상당의 금속제품을 공급받으면서 원고와 사이에 위 물품대금 17,823,650원과 그 이전의 미지급 물품대금 26,423,443원('신호정밀공업사' 및 '신성산업'의 물품대금 잔액)을 더한 총 물품대금 44,247,093원에 대하여 피고들이 30,000,000원만을 지급하는 것으로써 모두 정산하기로 하되 1997. 11. 30.과 1998. 2. 30.(1998. 2. 28.의 오기로 보인다.) 및 1998. 5. 30. 3차례에 걸쳐 각 1,000만 원씩을 원고에게 지급하기로 약정(이하 '이 사건 정산 약정'이라 한다)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위 40,804,655원을 지급함으로써 원고와 사이의 물품거래가 종료되고 그 대금 채무가 모두 변제되었으며 그 이후의 거래나 정산 약정이 있었음을 부인하는 피고들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아니하였다.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원고와 피고들 사이에 물품거래가 있었던 사실과 1997. 7. 24. 원고와 피고들 사이에 이 사건 정산 약정이 있었던 사실을 인정한 조치는 수긍이 가고, 거기에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이 부분 상고이유는 받아들일 수 없다. 2. 또한,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들에게 이 사건 정산 약정에 기한 책임을 묻고 있음이 분명하므로, 피고 김우섭에 대하여 명의대여자로서의 책임이 인정되었음을 전제로 하여 주장하는 피고 김우섭의 상고이유의 주장은 더 나아가 살펴볼 필요도 없이 이유 없다. 3. 한편, 원심은 이 사건 물품대금 채권은 민법 제163조 제6호에 의하여 거래종료일로부터 기산하여 3년의 단기소멸시효가 완성되었다는 피고들의 항변에 대하여, 원고와 피고들이 1997. 7. 24. 계속적 거래관계를 종료하면서 기존의 물품대금 채무를 정산하여 원고가 피고들에 대하여 그 채무액을 감액하여 주고 3회에 분할하여 변제할 수 있도록 그 변제방법 및 변제기일을 새로이 약정한 것은 경개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보아야 하고, 이러한 경개는 상인인 원고와 피고들이 그 영업을 위하여 한 상행위로 추정되므로 이에 의하여 새로이 발생한 채권은 상사채권으로서 5년의 상사시효의 적용을 받게 되는데, 이 사건 소는 거래 종료일로부터 5년이 경과되기 전인 2001. 3. 28. 제기되었다는 이유로, 이 사건 청구가 여전히 물품대금청구임을 전제로 3년의 단기소멸시효를 주장하는 피고들의 항변은 이유 없다고 하여 이를 배척하였다. 그러나 원심의 이 부분 판단은 수긍하기 어렵다. 경개라 함은 기존채무의 중요 부분을 변경하여 기존채무를 소멸케 하고 이와 동일성이 없는 신 채무를 성립시키는 계약이라 할 것인데, 원심 판시와 같이 기존의 물품대금 채무를 정산하면서 그 채무액을 감액하여 주고 이를 분할 변제할 수 있도록 그 변제방법과 변제기일을 새로이 약정한 것만으로는 경개계약이 체결되었다 할 수 없고, 또 그 과정에서 원심의 인정 사실에서 드러나는 바와 같이 피고 박관호의 단독 채무 부분(1996. 8.부터 1996. 10.경까지의 어음발행 거래 부분)에 대하여 그 이후의 나머지 거래에 관한 공동채무자인 피고 김우섭이 이에 대한 연대채무자로 추가되었다 하더라도 달리 볼 수는 없다 할 것이다( 대법원 1966. 9. 6. 선고 66다1186 판결 참조). 따라서 이 사건에서 기존의 물품대금 채권은 위 정산 약정에도 불구하고 단지 금액이 감액되고 변제기만 연장된 채 그 동일성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는 것이지 위 정산 약정으로 인하여 물품대금 채권이 별개의 어떤 다른 채권으로 새롭게 전환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므로, 이 사건 소멸시효의 기간은 원래의 물품대금 채권임을 전제로 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이 사건 정산 약정으로 인하여 원래의 물품대금 채권이 소멸하고 그와 별개의 새로운 상사채권이 성립하였음을 전제로 피고들의 단기소멸시효 항변을 배척하고 말았으니, 이러한 원심의 판단에는 경개계약이나 채권의 소멸과 성립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 할 것이다. 다만, 이 사건 정산 약정에 의하여 소멸시효의 기산일은 연장된 변제기의 익일부터라 할 것인데, 새롭게 조정된 변제기 중 1998. 5. 30.에 지급하기로 된 10,000,000원 부분에 대하여는 피고들이 주장하는 3년의 단기소멸시효기간이 도과되기 전에 제소되었음이 역수상 명백하여 피고들의 항변을 배척한 원심의 결론은 정당하므로, 원심의 위 법리오해의 위법은 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즉 1997. 11. 30.과 1998. 2. 28.에 각 변제기가 도래하는 합계 20,000,000원 부분에 대하여만 판결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할 것이다. 따라서 이 부분 상고이유의 주장은 그 범위 안에서 이유 있어 받아들이기로 한다. 4. 그러므로 원심판결의 피고들 패소 부분 중 변제기가 1997. 11. 30.과 1998. 2. 28.로 약정된 합계 2,000만 원의 정산금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에 관한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ㆍ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며, 피고들의 나머지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재윤(재판장) 조무제 이용우(주심) 이규홍
민사판례
새로운 계약(경개)을 통해 기존 계약을 대체하려 했지만, 새로운 계약이 무효가 된 경우, 특정 조건이 명시적으로 합의되지 않았다면 기존 계약은 여전히 유효하다.
상담사례
회생절차에서 빚 갚는 날짜를 미루는 합의(변제기 유예)는 채무승인으로 간주되어 소멸시효가 중단됩니다.
민사판례
돈을 빌려주고 받는 관계에서 새로운 약정(경개)으로 기존 빚 관계를 바꿨더라도, 서로 합의하면 새로운 약정을 없애고 원래 빚 관계로 되돌릴 수 있다. 하지만, 새로운 약정 내용을 이행하지 못했다고 해서 새로운 약정 자체를 해제할 수는 없다.
상담사례
폐업 후 유사 회사 설립 시, 원칙적으로 구 회사의 채무는 신설 회사에 승계되지 않으나, 채무 면탈 목적이 입증되면 신설 회사에 청구 가능하며, 채권자취소소송이나 대표이사에게 손해배상 청구 등의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상담사례
빚을 새 빚으로 갈아타면(경개), 새 빚을 안 갚아도 원래 빚은 소멸되어 되살릴 수 없고, 새 빚 불이행에 대한 다른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상담사례
이미 지난 빚 변제일 이후에 약속어음을 발행했다면, 어음 만기일까지 변제를 미룰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