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수대기배출시설폐쇄명령취소

사건번호:

2003두8289

선고일자:

200412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폐수배출시설 설치허가 및 대기배출시설 설치신고 수리로 간주되는 기존의 처분을 실질적으로 취소 또는 변경하는 처분의 효력을 더 이상 다툴 수 없게 되고 그 처분에 부가된 조건에 따라 그 유효기간이 경과된 경우, 그 처분의 효력이 소멸되었다는 사실에 근거한 폐수배출시설과 대기배출시설 폐쇄명령은 적법한 것이라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구 수질환경보전법(2004. 2. 12. 법률 제716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1조 제1항 , 대기환경보전법 제21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주식회사 포천섬유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영일) 【피고,피상고인】 포천시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3. 6. 20. 선고 2002누15312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1. 제1심판결 이유를 인용한 원심은, 그 판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원고 공장의 건축면적은 413.3㎡로서, 1990. 1. 13. 법률 제4212호로 제정된 공업배치및공장설립에관한법률 부칙 제3조의 위임에 의하여 제정된 상공자원부 고시 제1993-93호 '조건부등록공장 및 무등록공장 등록요령'에 의한 추가등록 대상 공장에 포함되고, 나아가 원고 공장의 업종 형태는 '직물 및 편조 원단 염색 가공'으로서 '공해업종'에 해당하고 원고가 공장등록신청을 하면서 3년 이내에 현 소재지의 공장을 폐쇄하고 양문산업단지로 이전하겠다는 취지의 이전서약서를 제출한 바 있으므로, 원고의 공장은 추가등록 대상 공장 중에서도 이전조건부등록공장에 해당된다고 판단하였다. 관계 법령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이러한 원심의 사실인정과 판단은 옳은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채증법칙 위반 또는 심리미진으로 사실을 오인하거나 관계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리고 원고의 공장이 위와 같이 이전조건부등록공장에 해당되고 그 등록이 피고의 위법한 행정지도로 인한 것이라고 볼 자료가 없으므로, 이 점을 다투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 2. 수질환경보전법 부칙 제4조 제1항과 대기환경보전법 부칙 제4조 제1항은 각 "이 법 시행당시 종전의 환경보전법 제15조 제1항 또는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배출시설의 설치 또는 변경에 대한 허가를 받은 자는 제10조 제1항 또는 제2항의 규정에 의한 허가를 받은 것으로 본다."고 규정되어 있는바, 원고의 공장에 대하여는 1983. 3. 9. 구 환경보전법(1990. 8. 1. 법률 제4257호로 폐지) 제15조 제1항의 규정에 따라 피고로부터 배출시설 설치허가를 받은 바 있었으므로, 이 사건 폐수배출시설에 대하여는 수질환경보전법 제10조 제1항에 의한 설치허가를 받은 것으로, 대기배출시설에 대하여는 대기환경보전법 제10조 제1항에 의한 설치신고가 수리된 것으로 간주된다고 할 것이다. 그런데 기록에 의하면, 원고는 1997. 10. 24. 피고에 대하여 "1999. 6. 30.까지 현 소재지의 공장을 폐쇄하고 양문산업단지로 공장을 이전하겠다."는 취지의 공장이전서약서를 제출하였고, 피고는 통상산업부 고시 제1997-118호 '임진강유역 조건부등록공장의 조건이행기한 연장 및 정리에 관한 사항'에 따라 1997. 12. 2. 같은 취지의 조건을 붙여 이전조건부 공장등록증을 교부하였으며, 1998. 4. 14. 유효기간을 1999. 6. 30.까지로 하여 수질환경보전법에 따른 폐수배출시설 설치허가 및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른 대기배출시설 설치신고 수리를 한 사실을 알 수 있는바, 이에 의하면, 피고는 그 1998. 4. 14.자 폐수배출시설 설치허가 및 대기배출시설 설치신고 수리처분으로써 종전의 폐수배출시설 설치허가 및 대기배출시설 설치신고 수리로 간주되는 처분을 실질적으로 취소 또는 변경하였다고 봄이 상당하고, 이러한 종전의 설치허가 및 설치신고 수리로 간주되는 처분의 취소 또는 변경이 당연무효라고 볼 수 없으며, 또 원고가 그 각 처분에 대해 소정의 기간 내에 불복한 바도 없다. 따라서 그 새로운 설치허가 및 설치신고 수리처분에 부가된 조건에 따라 그 유효기간이 경과됨으로써 그 설치허가 및 설치신고 수리처분의 효력도 소멸되었다고 할 것이므로, 이러한 사실에 기초를 두고 수질환경보전법 제21조 제1항, 대기환경보전법 제21조 제1항에 근거하여 한 이 사건 폐수배출시설과 대기배출시설 폐쇄명령은 적법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원심의 판단은 다소 미흡한 점이 있기는 하나, 결국 이러한 취지로서 옳은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채증법칙 위반 또는 심리미진으로 사실을 오인하거나 관계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강신욱(재판장) 변재승 박재윤 고현철(주심)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공장 이전 명령 불이행에 따른 허가 취소, 정당할까?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배출시설을 기한 내 이전하지 않아 허가가 취소되었는데, 회사의 어려움보다 환경보호라는 공익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허가 취소가 정당하다고 본 판례입니다.

#배출시설#이전명령#허가취소#공익

일반행정판례

중고차 매매업자, 사업장 이전 약속 안 지켜 사업정지 처분 받아

약속을 어기고 사업장을 이전하지 않은 중고차 매매업자에게 행정청이 사업정지 처분을 내린 사건에서, 청문 절차 없이 처분한 것이 정당하고 재량권 남용도 아니라고 본 판례.

#중고차#사업정지#청문절차 생략#재량권 남용

일반행정판례

공장 폐쇄 명령, 정말 정당할까? -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과 토지이용규제

법 개정으로 특정대기유해물질 배출시설로 분류된 기존 시설이라도, 허가를 받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바로 폐쇄명령을 내릴 수는 없고, 기존 건축물에 대한 특례 규정 적용 여부를 먼저 검토해야 한다.

#대기오염#배출시설#폐쇄명령#특정대기유해물질

형사판례

건설폐기물 처리시설 이전, 언제 허가받아야 할까?

건설폐기물 처리업자가 허가받은 장소 외에 다른 곳에 처리시설을 설치하는 것은 '소재지 변경'으로 보고, 실제 영업을 시작하기 *전이라도* 변경허가를 받아야 한다. 하지만 이 판례에서는 피고인이 영업 전에 허가받으면 된다고 생각한 것에 정당한 이유가 있다고 보아 무죄를 선고했다.

#건설폐기물#처리시설#소재지 변경#변경허가

일반행정판례

공장 재가동? 신설? 이전촉진지역 내 공장 건축허가 분쟁 이야기

이전촉진지역(공장 이전을 장려하는 지역) 안에 있던 폐공장을 철거 후 새로 짓는 것은 단순 수리나 증축이 아니라 새로운 공장을 설립하는 것으로 보고, 관련 법에 따른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이전촉진지역#폐공장#재건축#공장 신설

일반행정판례

자연녹지지역 공장 폐쇄 명령, 정당한가? - 대기환경규제 강화와 기존 공장의 권리

기존 아스콘 공장이 법 개정으로 특정대기유해물질 배출시설에 해당하게 되어 허가를 받지 않았더라도, 토지이용규제 관련 특례조항 적용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폐쇄 명령을 내린 것은 잘못이라는 판결.

#아스콘 공장#폐쇄명령#대법원#특례조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