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절결정(상)

사건번호:

2003후2942

선고일자:

200411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6호에서 정한 '간단하고 흔히 있는 표장만으로 된 상표'의 판단 기준 [2] 출원상표 " "는 정육각형의 도형 안에 'R'과 'M'을 하이픈(-)으로 연결한 'R-M'을 위치시켜 새로운 이미지를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간단하고 흔히 있는 표장만으로 된 상표'라고 보기 어렵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등록출원한 상표가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6호의 '간단하고 흔히 있는 표장만으로 된 상표'에 해당하여 등록을 받을 수 없는지 여부는 거래의 실정, 그 표장에 대한 독점적인 사용이 허용되어도 좋은가 등의 사정을 참작하여 구체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2] 출원상표 " "는 정육각형의 도형 안에 'R'과 'M'을 하이픈(-)으로 연결한 'R-M'을 위치시켜 새로운 이미지를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간단하고 흔히 있는 표장만으로 된 상표'라고 보기 어렵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6호 / [2]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6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바스프 코팅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소송대리인 변리사 권성택 외 1인) 【피고,상고인】 특허청장 【원심판결】 특허법원 2003. 11. 20. 선고 2003허4733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유】원심은, " "으로 구성된 이 사건 출원상표의 각 구성부분인 정육각형의 도형이나 그 안의 영문자 'R', 'M' 및 이들 영문자를 연결하고 있는 '하이픈(-)'은, 그 자체로서는 모두 간단하고 흔하여 식별력이 있다고 보기 어려우나, 이 사건 출원상표는 정육각형의 도형 안에 'R'과 'M'을 하이픈(-)으로 연결한 'R-M'을 위치시켜 새로운 이미지를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이로써 수요자가 누구의 업무에 관련된 상품을 표시하는 것인가를 식별하기에 충분하므로, 이 사건 출원상표는 전체로서 관찰할 때 간단하고 흔히 있는 표장만으로 된 상표라고 보기 어렵다는 취지로 판단하였다. 등록출원한 상표가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6호의 '간단하고 흔히 있는 표장만으로 된 상표'에 해당하여 등록을 받을 수 없는지 여부는 거래의 실정, 그 표장에 대한 독점적인 사용이 허용되어도 좋은가 등의 사정을 참작하여 구체적으로 판단하여야 하는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인정, 판단은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표의 식별력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으며, 상고이유에서 들고 있는 대법원 판결은 사안이 달라 이 사건에서 원용하기에 적절하지 아니하다. 따라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변재승(재판장) 강신욱 박재윤(주심) 고현철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상자 모양 상표, 과연 등록 가능할까? - 상품 형상과 식별력의 줄다리기

상자 모양 도형에 "S-PAC"이라는 글자가 결합된 상표는 상자라는 상품 자체의 형상을 보여주는 표시이므로 상표로서 등록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상표에는 상품의 출처를 구별하는 기능이 있어야 하는데, 이 상표는 그 기능을 제대로 할 수 없다고 본 것입니다.

#상표#상자 형상#S-PAC#등록거절

특허판례

K-Y 상표, 너무 흔해서 등록 못해? 🤔

알파벳 K와 Y를 붙임표(-)로 연결한 "K-Y"와 한글 "케이-와이"는 너무 간단하고 흔해서 상표로 등록될 수 없다는 판결.

#K-Y#케이-와이#상표#등록거절

특허판례

영문자 't' 하나로 만든 상표, 과연 흔할까요?

알파벳 't' 하나만으로 구성된 상표라도, 디자인적인 변형을 통해 '닻' 모양처럼 보이게 한다면 일반적인 't'와 구별되는 특별현저성을 인정받아 상표 등록이 가능하다는 판결.

#알파벳 t#상표#특별현저성#디자인 변형

특허판례

상표 등록, 아무 그림이나 붙인다고 되는 게 아니에요!

단순한 C와 R 조합 그림과 "INDUSTRIES"라는 단어를 결합한 상표는 상품 출처를 구분하기 어려워 상표 등록이 거절되었습니다.

#상표#식별력#등록거절#CR 조합

일반행정판례

GQ, 그냥 GQ가 아니라고요! 상표권 분쟁 승리!

G와 Q 두 글자를 단순히 나열한 것이 아니라 모양과 색깔을 변형하여 독특한 조형미를 갖춘 경우, 상표 등록이 가능하다.

#상표#알파벳 조합#디자인 변형#조형미

특허판례

옷 브랜드 이름, 멋으로 쓴 글씨체도 상표가 될 수 있을까?

글자를 변형하여 만든 상표(기술적 문자상표)가 도형화된 정도가 너무 커서 일반인이 글자로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 해당 상표는 일반적인 표현으로 볼 수 없으므로 상표 등록이 가능하다.

#문자상표#도형화#식별력#상표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