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

사건번호:

2005다10470

선고일자:

200707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선정당사자의 선정 요건 [2] 다수자 사이에 공동의 이해관계가 없는 자가 선정당사자로 선정되어 청구를 인낙한 경우, 선정자가 스스로 선정행위를 하였다면 위 선정당사자 자격의 흠이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1항 제3호의 재심사유에 해당하지 않게 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1] 공동의 이해관계가 있는 다수자는 선정당사자를 선정할 수 있는바, 이 경우 공동의 이해관계란 다수자 상호 간에 공동소송인이 될 관계에 있고 또 주요한 공격방어방법을 공통으로 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다수자의 권리·의무가 동종이며 그 발생원인이 동종인 관계에 있는 것만으로는 공동의 이해관계가 있다고 할 수 없어 선정당사자의 선정을 허용할 것이 아니다. [2] 다수자 사이에 공동소송인이 될 관계에 있기는 하지만 주요한 공격방어방법을 공통으로 하는 것이 아니어서 공동의 이해관계가 없는 자가 선정당사자로 선정되었음에도 법원이 그러한 선정당사자 자격의 흠을 간과하여 그를 당사자로 한 판결이 확정된 경우, 선정자가 스스로 당해 소송의 공동소송인 중 1인인 선정당사자에게 소송수행권을 수여하는 선정행위를 하였다면 그 선정자로서는 실질적인 소송행위를 할 기회 또는 적법하게 당해 소송에 관여할 기회를 박탈당한 것이 아니므로, 비록 그 선정당사자와의 사이에 공동의 이해관계가 없었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사정은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1항 제3호가 정하는 재심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봄이 상당하고, 이러한 법리는 그 선정당사자에 대한 판결이 확정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선정당사자가 청구를 인낙하여 인낙조서가 확정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라 할 것이다.

참조조문

[1] 민사소송법 제53조 / [2] 민사소송법 제53조, 제451조 제1항 제3호

참조판례

[1] 대법원 1997. 7. 25. 선고 97다362 판결(공1997하, 2678) / [2] 대법원 1992. 12. 22. 선고 92재다259 판결(공1993상, 551)

판례내용

【원고(준재심피고), 상고인】 원고 종중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형선) 【피고(준재심원고), 피상고인】 망 소외 1의 소송수계인 피고 1외 18인(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신촌외 1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5. 1. 18. 선고 2003나61599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판단한다. 공동의 이해관계가 있는 다수자는 선정당사자를 선정할 수 있는바, 이 경우 공동의 이해관계란 다수자 상호 간에 공동소송인이 될 관계에 있고 또 주요한 공격방어방법을 공통으로 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다수자의 권리·의무가 동종이며 그 발생원인이 동종인 관계에 있는 것만으로는 공동의 이해관계가 있다고 할 수 없어 선정당사자의 선정을 허용할 것이 아니다( 대법원 1997. 7. 25. 선고 97다362 판결 등 참조). 그런데 다수자 사이에 공동소송인이 될 관계에 있기는 하지만 주요한 공격방어방법을 공통으로 하는 것이 아니어서 공동의 이해관계가 없는 자가 선정당사자로 선정되었음에도 법원이 그러한 선정당사자 자격의 흠을 간과하여 그를 당사자로 한 판결이 확정된 경우, 그와 같은 사정이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1항 제3호가 정하는 재심사유인 ‘법정대리권·소송대리권 또는 대리인이 소송행위를 하는 데에 필요한 권한의 수여에 흠이 있는 때’에 해당하는지에 관하여 보건대, 위 재심사유에 해당하기 위해서는 무권대리인이 대리인으로서 본인을 위하여 실질적인 소송행위를 하였거나 또는 대리권의 흠으로 인하여 본인이나 그의 소송대리인이 실질적인 소송행위를 할 수 없었던 경우가 아니면 안 된다고 할 것인바 ( 대법원 1992. 12. 22. 선고 92재다259 판결 등 참조), 위와 같은 경우 선정자가 스스로 당해 소송의 공동소송인 중 1인인 선정당사자에게 소송수행권을 수여하는 선정행위를 하였다면 그 선정자로서는 실질적인 소송행위를 할 기회 또는 적법하게 당해 소송에 관여할 기회를 박탈당한 것이 아니므로, 비록 그 선정당사자와의 사이에 공동의 이해관계가 없었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사정은 위 재심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봄이 상당하고, 이러한 법리는 그 선정당사자에 대한 판결이 확정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선정당사자가 청구를 인낙하여 인낙조서가 확정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라 할 것이다.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준재심의 대상인 수원지방법원 89가합5730 소유권이전등기 청구사건은 원고(준재심피고, 이하 ‘원고’라고만 한다) 종중이 ‘용인시 남사면 북리 (지번 1 생략) 임야(이하 ‘이 사건 임야’라고 한다)는 1970. 12. 11.에, 같은 리 (지번 2 생략) 임야는 1971. 1. 21.에 각 소유권보존등기 명의인들에게 명의신탁한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이 사건 임야에 대하여는 그 등기명의인들인 소외 1, 소외 2{피고(준재심원고, 이하 ‘피고’라고만 한다) 19와 동명이인}, 소외 3, 소외 4, 피고 19 및 등기명의인 망 소외 5의 상속인인 피고 13, 14, 15, 16, 17, 18을 상대로, 위 (지번 2 생략) 임야에 대하여는 그 등기명의인 또는 상속인들인 소외 6 등 25명을 상대로 각 1989. 5. 22.자 명의신탁 해지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절차의 이행을 구한 것인데, 그 사건에서 공동피고들 전부가 소외 6을 선정당사자로 선정하였고, 위 소외 6이 원고 종중의 청구를 인낙한 사실을 알 수 있다. 원심은 이와 같은 사실관계를 기초로 하여, 준재심대상 사건 중에서 이 사건 임야에 대한 부분과 (지번 2 생략) 임야에 대한 부분은 단지 소송의 목적이 된 권리가 동종이고 발생원인이 동종인 것에 불과하며 주요한 공격방어방법을 공통으로 하는 경우에는 해당하지 아니하여 공동의 이해관계가 있다고 볼 수 없으므로, (지번 2 생략) 임야 부분에 관한 공동피고들 중 1인인 소외 6이 이 사건 임야 부분에 관한 피고들의 선정당사자가 되어 이 사건 임야에 관한 원고 종중의 청구를 인낙하였다면 이 사건 임야 부분에 관한 피고들로서는 소송절차에 관여할 기회가 배제된 것이어서 법정대리권·소송대리권 또는 대리인이 소송행위를 하는 데에 필요한 권한의 수여에 흠이 있는 경우에 준하여 재심사유에 해당된다고 판단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준재심대상 사건에서 선정당사자 소외 6과 이 사건 임야 부분에 관한 피고들 사이에 공동의 이해관계가 없어 선정당사자로서의 자격에 흠이 있다는 원심의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되나(다만, 원심이 공동의 이해관계 유무를 판단함에 있어, 준재심대상 사건에서 전혀 거론되지 않았던 사정인 원고 종중과 소외 7씨 형조참의공파 종중 사이의 소유권 분쟁을 근거로 들고 있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점을 덧붙여 둔다), 당시 이 사건 임야 부분에 관한 피고들이 스스로 위 소외 6을 선정당사자로 선정하였음이 인정되는 이 사건에 있어서, 원심이 위와 같은 선정당사자 자격의 흠도 재심사유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것은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1항 제3호가 정하는 재심사유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것이고, 이러한 위법이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임은 명백하다. 그러므로 원고의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황식(재판장) 김영란 이홍훈 안대희(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여러 사람이 함께 소송할 때, 누가 항소할 수 있을까? (당사자 선정과 항소)

여러 사람이 공동의 이익을 위해 소송할 때 대표자를 선정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대표자가 소송을 진행하지만, 대표자의 권한은 언제든 철회될 수 있고, 특히 대표자 본인에 대한 소송이 끝나면 대표자격을 잃게 됩니다. 따라서 나머지 사람들은 직접 항소할 수 있습니다.

#선정당사자#대표자 소송#항소#묵시적 철회

민사판례

여러 사람의 대표, 선정당사자! 그 자격은 언제까지 유지될까?

여러 사람의 공동 이익을 위해 소송을 대표하는 '선정당사자'는 본인에 대한 소송 부분이 종료되면 대표 자격을 잃는다.

#선정당사자#자격 상실#공동 이익#소송 종료

민사판례

재심, 그냥 아무나 할 수 있는 게 아니라고? 상대방 대표권 문제로 재심하려면 알아둬야 할 것!

재심 사유 중 하나인 상대방의 대표권 흠결(예: 소송 당사자를 대표할 권한이 없는 사람이 대표한 경우)을 주장하려면, 그 흠결을 지적해서 자신에게 실질적인 이득이 있어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단순히 대표권에 문제가 있다는 것만으로는 재심을 청구할 수 없습니다.

#재심#상대방 대표권 흠결#실질적 이익#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3호

민사판례

여러 사람이 함께 소송할 때, 대표자의 합의는 모두에게 효력이 있을까?

여러 사람이 소송할 때 대표로 선정한 선정당사자가 소송 상대방과 합의하면, 대표 선정에 참여한 모든 사람에게 그 합의 효력이 미친다. 개별적인 동의는 필요하지 않다.

#선정당사자#합의#효력#공동소송

일반행정판례

선정당사자 자격 상실 후 소송 진행?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여러 사람을 대표하는 선정당사자가 소송에서 빠지면 소송은 중단되고, 나머지 사람들이 소송을 이어받아야 합니다. 그런데 법원이 이 절차 없이 소송을 진행하고 판결까지 내렸다면 그 판결은 잘못된 것입니다.

#선정당사자#자격상실#소송중단#소송수계

민사판례

여러 명의 세입자, 한 명의 대표를 세워 소송할 수 있을까? - 선정당사자 제도

여러 명의 임차인이 같은 임대인에게 보증금 반환 소송을 제기할 때, 소송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대표자를 선정할 수 있습니다. 단, 모든 임차인들이 동일한 쟁점(임대인이 누구인지)에 대해 다투는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보증금 반환 소송#다수 임차인#대표자 선정#공동 이해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