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명도

사건번호:

2005다74320

선고일자:

200603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10조 제2항의 ‘최초의 임대차 기간’의 의미

판결요지

참조조문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10조 제2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05.11.25. 선고 2005나1045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10조 제2항은 ‘임차인의 계약갱신요구권은 최초의 임대차 기간을 포함한 전체 임대차 기간이 5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만 행사할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는바, 위 법률규정의 문언 및 임차인의 계약갱신요구권을 전체 임대차 기간 5년의 범위 내에서 인정하게 된 입법 취지에 비추어 볼 때 ‘최초의 임대차 기간’이라 함은 위 법 시행 이후에 체결된 임대차계약에 있어서나 위 법 시행 이전에 체결되었다가 위 법 시행 이후에 갱신된 임대차계약에 있어서 모두 당해 상가건물에 관하여 최초로 체결된 임대차계약의 기간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 원심이, 위 법 시행 이후 갱신된 임대차계약에 관하여는 갱신일로부터 5년간 임차인의 계약갱신요구권이 인정되고,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한 임대차계약은 위 기간 내에 행해진 계약갱신요구권의 행사에 의하여 적법하게 갱신되었다는 피고의 주장에 대하여, 피고가 이 사건 부동산을 1993.경 최초로 임차하여 계속 점유·사용하여 오고 있으므로 위 최초 임차일로부터 5년이 이미 경과한 시점에서 피고는 더 이상 원고에게 계약갱신을 요구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은 위 법리에 따른 것으로서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판단유탈이나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10조 제2항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인 피고가 부담하기로 관여 대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양승태(재판장) 강신욱(주심) 고현철 김지형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상가 임대차 10년 보장, 언제부터 적용될까요?

2018년 10월 16일 이전에 체결된 상가 임대차계약은 개정된 상가임대차보호법(10년 보장)의 적용을 받지 않아, 임차인의 갱신요구권은 최대 5년까지만 보장됩니다. 이미 5년을 채운 계약은 법 개정 이후에도 10년까지 연장되지 않습니다.

#상가임대차보호법#개정#10년 보장#5년

상담사례

5년 동안 맘 편히 장사하세요! 상가 갱신청구권, 이것만 알면 끝!

상가 임차인은 계약 시작일로부터 최대 5년까지 갱신청구권을 행사하여 계약 연장이 가능하며, 만료 6개월~1개월 전에 갱신을 요청해야 한다.

#상가#갱신청구권#5년#계약연장

민사판례

상가 임대차 갱신, 10년 보장은 언제부터? 그리고 미래의 임대료 청구는 가능할까?

2018년 상가임대차보호법 개정 후 갱신 요구권 행사 범위와 계약 종료 후 장래 차임 청구 가능성에 대한 판결입니다. 5년 계약 기간 만료 후에는 개정법의 10년 갱신 요구권이 적용되지 않으며, 임차인이 상가를 비워주지 않을 경우 장래 차임에 해당하는 부당이득 반환 청구를 미리 할 수 있는지 여부는 추가 심리가 필요하다는 판결입니다.

#상가임대차보호법#갱신요구권#10년#5년

생활법률

10년 지킴이! 상가임차인의 든든한 방패, 계약갱신요구권 완전 정복!

상가임대차보호법은 임차인에게 최대 10년까지 계약 갱신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며, 임대인은 정당한 사유 없이 이를 거절할 수 없습니다.

#상가임대차보호법#계약갱신요구권#10년#임대인

민사판례

상가 임대차, 5년 넘어도 괜찮을까? 그리고 건물주는 내 영업을 보호해 줄 의무가 있을까?

상가 임대차 계약에서 자동 갱신되는 경우에도 5년 제한을 받지 않으며, 임대인은 임차인의 영업을 방해하는 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는 판결.

#상가임대차#계약갱신#5년제한#법정갱신

상담사례

5년 넘게 장사했는데, 계약 갱신은 된 걸까요? (상가 임대차 갱신)

5년 이상 상가 임대 후 건물주로부터 갱신 거절 통지를 받지 않았다면, 법정갱신되어 계약이 자동 갱신된 것으로 본다.

#상가 임대차#갱신#5년#갱신요구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