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법인임원취·해임승인거부처분취소

사건번호:

2005두4823

선고일자:

200512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학교법인의 임원선임행위에 하자가 있다는 이유로 감독청의 취임승인처분의 취소 또는 무효확인을 구할 법률상 이익이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사립학교법 제20조, 행정소송법 제12조, 제35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7. 8. 18. 선고 86누152 판결(공1987, 1472), 대법원 1991. 6. 14. 선고 90누1557 판결(공1991, 1939), 대법원 1993. 4. 23. 선고 92누15482 판결(공1993하, 1576), 대법원 2002. 5. 24. 선고 2000두3641 판결(공2002하, 1540)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양형준외 1인 (소송대리인 변호사 조찬형외 1인) 【피고, 피상고인】 충청남도 천안교육청교육장 (소송대리인 한밭 법무법인 담당변호사 박주봉) 【피고보조참가인】 학교법인 천안중앙교육재단 【원심판결】 대전고법 2005. 4. 21. 선고 2004누1504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들이 부담한다. 【이유】1. 원고 양형준의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 사립학교법 제20조 제2항에 의한 학교법인의 임원에 대한 감독청의 취임승인은 학교법인의 임원선임행위를 보충하여 그 법률상의 효력을 완성케 하는 보충적 행정행위로서 그 자체만으로는 법률상 아무런 효력도 발생할 수 없는 것인바, 기본행위인 사법상의 임원선임행위에 하자가 있다는 이유로 그 선임행위의 효력에 관하여 다툼이 있는 경우에는 민사쟁송으로 그 선임행위의 무효확인을 구하는 등의 방법으로 분쟁을 해결할 것이지 보충적 행위로서 그 자체만으로는 아무런 효력이 없는 승인처분만의 취소 또는 무효확인을 구하는 것은 특단의 사정이 없는 한 분쟁해결의 유효적절한 수단이라 할 수 없어 소구할 법률상의 이익이 없다고 할 것이다 ( 대법원 1987. 8. 18. 선고 86누152 판결, 2002. 5. 24. 선고 2000두3641 판결 등 참조). 같은 취지에서, 이 사건 각 임원의 취·해임에 대한 승인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원고 양형준의 소가 부적법하다고 본 원심의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소의 이익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2. 원고 정완근의 상고에 대한 판단 원고 정완근은 상고이유서 제출기간 내에 상고이유서를 제출하지 아니하였고, 상고장에도 상고이유의 기재가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한 원고들이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담(재판장) 이강국(주심) 손지열 박시환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학교법인 임원 취임 승인 취소와 관련된 법률 이야기

이 판례는 학교법인 임원의 취임 승인 취소 소송에서 학교법인의 보조참가 적법성, 관할청의 시정요구 절차 준수 여부, 그리고 사정판결의 요건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학교법인#임원취임승인취소#보조참가#시정요구

일반행정판례

사립학교 임원 취임 승인 취소, 정당한가?

사립학교 임원 간 분쟁으로 학교 운영에 심각한 문제가 생겼을 때, 관할청은 임원의 취임 승인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취소는 신중해야 하며, 모든 상황을 고려하여 재량권을 남용해서는 안 됩니다. 이 사건에서는 교육청이 분쟁 해결을 위한 충분한 노력 없이 임원 취임 승인을 취소한 것이 부당하다고 판결했습니다.

#사립학교#임원 취임 승인 취소#재량권 남용#교육청

일반행정판례

사립학교 임원 취임 승인 취소, 정말 쉬운가요?

사립학교 임원이 법을 위반하거나 학교 운영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 경우, 교육부장관은 시정 요구 후에도 개선되지 않으면 취임 승인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는 교육부장관의 재량이지만, 그 재량권 남용 여부는 객관적인 기준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이 판례에서는 교육부의 잘못도 있었지만, 임원들의 책임을 완전히 면책할 수는 없고, 최종적으로는 교육부의 재량권 남용을 인정하여 취임 승인 취소 처분을 취소했습니다.

#사립학교#임원#취임승인취소#재량권남용

일반행정판례

사립학교 임원 취임 승인 취소, 무효 확인인가?

거짓으로 꾸민 이사회 회의록을 바탕으로 교육청의 임원 취임 승인을 받았다면, 그 승인은 처음부터 효력이 없는 것이므로 교육청이 나중에 승인을 취소하더라도 이는 위법한 행정처분을 취소하는 것이 아니라 무효임을 확인하는 것에 불과하다.

#허위 이사회 회의록#임원 취임 승인 무효#교육청 승인 취소#확인적 행정행위

일반행정판례

사립학교 임원 취임 승인과 교육위원회 권한 위임에 관하여

사립학교 임원 선임에 문제가 있을 때, 교육청의 취임 승인만 따로 취소해달라고 소송을 낼 수는 없으며, 교육위원회는 정부조직법이 아닌 지방자치법에 따라 권한을 위임해야 한다는 판결.

#사립학교#임원 취임 승인#교육위원회#권한 위임

일반행정판례

행정심판 청구기간과 임원취임 승인처분의 효력

행정처분에 대한 제3자의 심판청구기간과 이사 선임 결의의 하자를 이유로 임원취임 승인처분의 무효확인을 구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행정심판#청구기간#제3자#임원취임 승인처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