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수금

사건번호:

2006다28775

선고일자:

200609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선정당사자 본인에 대한 부분의 소가 취하되거나 판결이 확정된 경우, 선정당사자가 그 자격을 상실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민사소송법 제53조의 선정당사자는 공동의 이해관계를 가진 여러 사람 중에서 선정되어야 하므로, 선정당사자 본인에 대한 부분의 소가 취하되거나 판결이 확정되는 등으로 공동의 이해관계가 소멸하는 경우에는 선정당사자는 선정당사자의 자격을 당연히 상실한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53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주식회사 정리금융공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최낙준) 【피고(선정당사자), 상고인】 【원심판결】 전주지법 2006. 4. 28. 선고 2005나6382 판결 【주 문】 상고를 각하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선정당사자) 2가 부담한다. 【이 유】직권으로 본다. 민사소송법 제53조 소정의 선정당사자는 공동의 이해관계를 가진 여러 사람 중에서 선정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선정당사자 본인에 대한 부분의 소가 취하되거나 판결이 확정되는 등으로 공동의 이해관계가 소멸하는 경우에는 선정당사자는 선정당사자의 자격을 당연히 상실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기록에 의하면, 원고는 피고 1, 피고(선정당사자) 2 등 8인을 상대로 하여 이 사건 소를 제기하였는데, 위 8인은 제1심에서 피고(선정당사자) 2를 선정당사자로 선정하여 소송을 수행하게 한 사실, 제1심에서 원고의 청구를 전부 인용하는 판결이 선고되었는바, 피고(선정당사자) 2는 선정자 피고 1에 대한 부분만 항소를 제기하였고, 선정당사자 본인 및 나머지 선정자에 대한 부분은 항소를 제기하지 아니하여 제1심판결이 그대로 확정된 사실이 인정되는바, 위 인정 사실에 의하면, 제1심판결 중 피고(선정당사자) 2 본인에 대한 부분이 확정되어 공동의 이해관계가 소멸함으로써 피고(선정당사자) 2는 피고 1에 대한 선정당사자의 지위를 상실하였다고 할 것이므로, 피고(선정당사자) 2가 피고 1에 대한 선정당사자의 지위에서 제기한 이 사건 상고는 부적법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고를 각하하고, 상고비용은 피고(선정당사자) 2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지형(재판장) 고현철(주심) 양승태 전수안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선정당사자의 자격 상실 시점과 부적법한 상소의 효과

여러 사람의 이익을 위해 소송을 대표하는 선정당사자는 본인 소송 부분이 확정되더라도 다른 사람의 소송을 대리할 자격을 유지한다.

#선정당사자#소송자격 유지#항소#확정

일반행정판례

선정당사자 자격 상실 후 소송 진행?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여러 사람을 대표하는 선정당사자가 소송에서 빠지면 소송은 중단되고, 나머지 사람들이 소송을 이어받아야 합니다. 그런데 법원이 이 절차 없이 소송을 진행하고 판결까지 내렸다면 그 판결은 잘못된 것입니다.

#선정당사자#자격상실#소송중단#소송수계

민사판례

여러 명의 세입자, 한 명의 대표를 세워 소송할 수 있을까? - 선정당사자 제도

여러 명의 임차인이 같은 임대인에게 보증금 반환 소송을 제기할 때, 소송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대표자를 선정할 수 있습니다. 단, 모든 임차인들이 동일한 쟁점(임대인이 누구인지)에 대해 다투는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보증금 반환 소송#다수 임차인#대표자 선정#공동 이해관계

민사판례

여러 사람이 함께 소송할 때, 누가 항소할 수 있을까? (당사자 선정과 항소)

여러 사람이 공동의 이익을 위해 소송할 때 대표자를 선정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대표자가 소송을 진행하지만, 대표자의 권한은 언제든 철회될 수 있고, 특히 대표자 본인에 대한 소송이 끝나면 대표자격을 잃게 됩니다. 따라서 나머지 사람들은 직접 항소할 수 있습니다.

#선정당사자#대표자 소송#항소#묵시적 철회

민사판례

소송 중 당사자 사망과 선정당사자의 범위

소송 중 당사자가 사망했는데도 모르고 판결이 났을 경우, 그 판결은 무효가 아니라 절차상 위법이며, 상속인이 나중에 소송을 이어받아 상고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여러 사람이 소송 당사자를 선정했을 때는 특별한 약정이 없으면 그 선정 효력은 소송 끝까지 유지됩니다.

#소송#당사자 사망#선정당사자#수계

민사판례

여러 명이 함께 소송할 때 대표를 잘못 뽑았다고 무조건 재심은 안돼요!

여러 사람이 소송을 함께 진행할 때 대표자를 선정할 수 있는데, 이 대표자에게 소송을 맡길 자격이 없었더라도, 소송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스스로 그 대표자를 뽑았다면 재심 사유가 되지 않는다는 판결입니다.

#선정당사자#공동이해관계#인낙#재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