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법위반

사건번호:

2006도638

선고일자:

200604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공모공동정범에 있어서 공모관계의 성립 요건 [2] 관세범칙물을 소유 또는 점유한 사실이 없는 공범자에 대한 추징 가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형법 제30조 / [2] 형법 제48조, 관세법 제282조 제2항, 제3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98. 11. 24. 선고 98도2654 판결(공1999상, 81), 대법원 2004. 5. 28. 선고 2004도1465 판결(공2004하, 1129), 대법원 2006. 2. 23. 선고 2005도8645 판결(공2006상, 537) / [2] 대법원 1983. 5. 24. 선고 83도639 판결(공1983, 1038), 대법원 1984. 6. 12. 선고 84도397 판결(공1984, 1237)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법무법인 경원 담당변호사 전경능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5. 12. 30. 선고 2005노202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 후의 구금일수 중 95일을 본형에 산입한다. 【이 유】1. 2인 이상이 범죄에 공동가공하는 공범관계에서 공모는 법률상 어떤 정형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고, 2인 이상이 공모하여 어느 범죄에 공동가공하여 그 범죄를 실현하려는 의사의 결합만 있으면 되는 것으로서, 비록 전체의 모의과정이 없었다고 하더라도 수인 사이에 순차적으로 또는 암묵적으로 상통하여 그 의사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공모관계가 성립하고, 이러한 공모가 이루어진 이상 실행행위에 직접 관여하지 아니한 자라도 다른 공모자의 행위에 대하여 공동정범으로서의 형사책임을 진다( 대법원 1998. 11. 24. 선고 98도2654 판결, 2004. 5. 28. 선고 2004도1465 판결 등 참조). 같은 취지에서 원심은, 그 채용 증거들에 의하여, 그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피고인이 공소외 1, 2 등과 공모하여 세관장에게 신고하지 아니하고 8회에 걸쳐 장뇌삼 시가 합계 103,431,790원 상당을 수입하였다는 범죄사실을 유죄로 판단하였는바,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증거의 취사선택과 사실인정 및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이나 공동정범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2. 관세법상의 추징은 일반 형사법에서의 추징과는 달리 징벌적 성격을 띠고 있어 여러 사람이 공모하여 관세를 포탈하거나 관세장물을 알선, 운반, 취득한 경우에는 범칙자의 1인이 그 물품을 소유하거나 점유하였다면 그 물품의 범칙당시의 국내도매가격 상당의 가액전액을 그 물품의 소유 또는 점유사실의 유무를 불문하고 범칙자 전원으로부터 각각 추징할 수 있는 것이다( 대법원 1983. 5. 24. 선고 83도639 판결 참조). 같은 취지에서, 피고인이 밀수한 물품에 대한 국내도매가격 상당액의 추징을 명한 원심의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관세법상의 추징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 후의 구금일수 중 95일을 본형에 산입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담(재판장) 이강국(주심) 손지열 박시환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밀수 범죄, 여러 명이 가담하면 추징은 어떻게 될까?

여러 사람이 밀수에 가담한 경우, 밀수품의 가격 전액을 공범 각자에게 추징할 수 있습니다. 밀수품을 실제로 소유했는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밀수#공범#추징#전액

형사판례

여러 명이 함께 밀수를 저지른 경우, 공모와 물품 가격 계산은 어떻게 할까요?

여러 명이 함께 밀수를 공모했는지, 밀수품의 가격은 어떻게 계산하는지, 밀수를 시도하다가 미수에 그쳤을 때에도 벌금형을 부과할 수 있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밀수#공모#물품원가 계산#미수죄

형사판례

여러 명이 함께 범죄를 저지르면 모두 처벌받을까? - 공모공동정범 이야기

여러 사람이 직접 모의하지 않았더라도 순차적 또는 암묵적으로 서로 뜻이 통하여 범죄를 저지르기로 했다면, 범행을 직접 실행하지 않은 사람도 공동정범으로 처벌받습니다.

#공모공동정범#순차적/암묵적 공모#처벌#형법 제30조

형사판례

여러 명이 함께 범죄를 저지르면 어떻게 처벌될까요? (공모공동정범)

여러 사람이 함께 짜고 다단계 방식으로 사기를 친 사건과 마약을 투약한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공모(함께 범죄를 꾸미는 것)는 꼭 직접 만나서 모의하지 않더라도, 순차적 또는 암묵적으로 의사가 통하면 성립한다는 점과, 범죄의 특성상 피해자를 일일이 특정하기 어렵더라도 피고인의 방어권 행사에 지장이 없다면 공소사실이 특정되지 않았다고 볼 수 없다는 점을 명시했습니다.

#다단계 사기#마약 투약#공모#범의

형사판례

마약 범죄, 돈 벌었든 안 벌었든 추징!

향정신성의약품 관련 범죄에서 추징은 범죄수익을 환수하는 것이 아니라 범죄에 대한 징벌적인 의미를 가지므로, 실제 이득을 얻지 못했더라도 추징이 가능하고, 공범이 있는 경우 각각에게 전체 금액을 추징할 수 있습니다.

#향정신성의약품#추징#징벌적#공범

형사판례

여러 명이 범죄를 꾀했는데 나만 잡혔다고? - 공동정범에 대한 오해와 진실

여러 사람이 범죄를 함께 계획하고 그중 일부만 실행에 옮겼더라도, 계획에 참여한 모든 사람은 범죄를 저지른 정범으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단순히 옆에서 구경만 한 것이 아니라, 범죄 실행에 대한 공동의 의사를 가지고 함께 계획했다면 실행하지 않은 사람도 책임을 져야 합니다.

#공동정범#모의#실행행위 분담#형법 제30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