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재건축정비사업시행인가처분일부취소

사건번호:

2006두11149

선고일자:

200704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65조 제2항 후단 규정의 입법 취지 및 위 규정 중 ‘그가 새로이 설치한 정비기반시설’의 의미

판결요지

참조조문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65조 제2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반포주공3단지재건축주택정비사업조합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임수외 4인) 【피고, 피상고인】 서울특별시 서초구청장 (소송대리인 변호사 고승덕)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6. 6. 1. 선고 2005누24133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판단한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65조 제2항은, 시장·군수 또는 주택공사 등이 아닌 사업시행자가 정비사업의 시행으로 새로이 설치한 정비기반시설은 그 시설을 관리할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무상으로 귀속되고(이하 ‘전단 규정’이라 한다), 정비사업의 시행으로 인하여 용도가 폐지되는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소유의 정비기반시설은 그가 새로이 설치한 정비기반시설의 설치비용에 상당하는 범위 안에서 사업시행자에게 무상으로 양도된다(이하 ‘후단 규정’이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위 규정 중 특히 후단 규정은, 민간 사업시행자에 의해 새로 설치된 정비기반시설이 전단 규정에 따라 관리청에 무상으로 귀속됨으로 인해 야기되는 사업시행자의 재산상 손실을 고려하여, 그 사업시행자가 새로 설치한 정비기반시설의 설치비용에 상당하는 범위 안에서 정비사업의 시행으로 용도가 폐지되는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소유의 정비기반시설을 그 사업시행자에게 무상으로 양도되도록 하여 위와 같은 재산상의 손실을 합리적인 범위 안에서 보전해 주고자 하는 데 그 입법 취지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후단 규정의 입법 취지와 함께 동일한 법령에서의 용어는 법령에 다른 규정이 있는 등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동일하게 해석·적용되어야 하는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용도 폐지되는 기존 정비기반시설이 사업시행자에게 무상 양도될 수 있는 범위를 정하는 후단 규정의 ‘그가 새로이 설치한 정비기반시설’이란 전단 규정의 ‘사업시행자가 정비사업의 시행으로 새로이 설치한 정비기반시설’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양자는 같은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지, 이와 달리 사업시행자가 새로이 설치한 정비기반시설 중 관련법에 따라 당연히 그 설치의무가 인정되는 정비기반시설은 제외되는 것으로 제한적으로 해석할 이유는 없다. 그런데도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이유만으로 후단 규정의 ‘그가 새로 설치한 정비기반시설’에 민간 사업시행자가 관련법에 따라 당연히 설치할 의무가 있는 정비기반시설은 포함되지 않는다고 해석하고, 이러한 전제하에 원고가 새로이 설치할 이 사건 도로는 관련법에 의해 원고에게 그 설치의무가 부과된 것이어서 그 설치비용은 용도 폐지되는 기존 정비기반시설을 무상으로 양도받을 수 있는 신설 정비기반시설의 설치비용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는바, 이러한 원심의 판단에는 후단 규정의 해석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으로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일환(재판장) 김용담(주심) 박시환 김능환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재개발 시 새로 설치하는 정비기반시설과 기존 시설의 관계

재개발 사업으로 새로 설치한 정비기반시설(도로, 공원 등)은 국가나 지자체에 무상으로 귀속되는데, 그 대신 기존에 국가나 지자체가 소유했던 정비기반시설을 사업시행자에게 무상으로 양도합니다. 이 판례는 새로 설치한 시설과 기존 시설이 겹치는 경우, 무상양도 범위를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재개발#정비기반시설#무상양도#중복

일반행정판례

재개발할 때 기존 공원시설, 그냥 가져갈 순 없다!

재건축 사업시행자가 기반시설 설치의 대가로 용적률 완화 등의 혜택을 받았더라도, 법에서 정한 용도 폐지되는 기존 기반시설을 무상으로 양도받을 권리는 그대로 유지된다. 행정청과 사업시행자 간의 합의로 이 권리를 포기하게 할 수 없다.

#재건축#기반시설 무상양도#용적률 완화#도시정비법 제65조 제2항

일반행정판례

재건축 시 기반시설 무상양도, 꼭 같은 용도여야 할까? + 사업시행 인가 조건 이야기

재건축 사업 시행으로 새로 설치되는 정비기반시설은 국가/지자체에 무상귀속되지만, 용도 폐지되는 기존 시설은 재건축조합에 무상양도됩니다. 이때 무상양도 범위는 새로 설치되는 시설의 종류와 상관없이 설치비용을 기준으로 하며, 지자체는 재량에 따라 사업시행 인가에 여러 조건을 붙일 수 있습니다.

#재건축#정비기반시설#무상양도#사업시행인가

민사판례

재건축조합의 기반시설 기부채납, 무상귀속 되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재건축 사업으로 새로 만드는 도로, 공원 등 기반시설은 원칙적으로 국가나 지자체에 무상으로 귀속되는데, 이 판례는 기반시설 귀속에 대한 법 적용 시점과 요건을 명확히 했습니다. 특히, 법 시행 전에 사업 승인을 받았더라도, 정식적인 도시계획 절차를 거쳐 기반시설 설치가 결정된 경우에만 무상 귀속 의무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재건축#기반시설#기부채납#무상귀속

민사판례

재건축 시 하수도 이설 비용, 누가 부담해야 할까? - 정비기반시설 설치비용 정산과 부당이득 반환

재건축 사업으로 새로 하수도를 설치할 경우, 그 비용은 새 정비기반시설 설치비용에 포함되므로, 지자체는 이를 제외하고 정산금을 부과할 수 없다. 설령 사업 인가 조건에 하수도 이설 비용을 사업시행자가 부담하도록 정했더라도 마찬가지다.

#재건축#하수도 이설 비용#정비기반시설#정산금

민사판례

재건축 시 기반시설 비용, 누가 부담해야 할까?

재건축조합이 옛날 법에 따라 사업승인을 받았을 때 새로 만든 공공보도는, 도시계획에 따라 정식으로 기반시설로 정해진 경우에만 국가나 지자체에 무상으로 귀속된다는 판결.

#재건축조합#공공보도#무상귀속#도시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