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세등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2006두4967

선고일자:

200812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소득세법 제20조 제1항 제1호에 정한 ‘근로소득’의 의미 [2] 법인이 주주에 대한 대여금 및 가지급금 채권과 주주의 법인에 대한 주식 양도대금채권을 상계함으로써 주주가 얻은 경제적 이익은 소득세법 제20조 제1항 제1호에 정한 ‘근로소득’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소득세법 제20조 제1항 제1호 / [2] 소득세법 제20조 제1항 제1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겸 상고인】 【피고, 상고인 겸 피상고인】 용산세무서장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두레 담당변호사 김재구외 8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6. 2. 16. 선고 2005누12932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각자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피고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소득세법 제20조 제1항 제1호는 갑종근로소득의 하나로 그 (가)목에서 ‘근로의 제공으로 인하여 받는 봉급·급료·보수·세비·임금·상여·수당과 이와 유사한 성질의 급여’를 규정하고 있는바, 이러한 근로소득은 지급형태나 명칭을 불문하고 성질상 근로의 제공과 대가관계에 있는 일체의 경제적 이익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근로의 대가 외에도 근로를 전제로 그와 밀접히 관련되어 근로조건의 내용을 이루고 있는 급여도 포함된다 할 것이다 ( 대법원 1972. 4. 28. 선고 71누222 판결, 대법원 2007. 10. 25. 선고 2007두1934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채용 증거를 종합하여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주식회사 대선산업, 주식회사 대선건설 및 주식회사 대선씨엔디(이하 ‘이 사건 3개 법인’이라 한다)가 이 사건 3개 법인의 주주에 불과한 원고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대여금 및 가지급금 채권과 원고의 이 사건 3개 법인에 대한 이 사건 주식 양도대금 채권을 상계함으로써 원고가 얻은 경제적 이익은 소득세법 제20조 제1항 제1호 (가)목 소정의 근로소득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는바,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근로소득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상고이유에서 지적하고 있는 대법원판결들은 이 사건과는 사안을 달리하는 것이어서 이 사건에 원용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2. 원고의 상고에 대하여 원고가 제출한 상고장에 상고이유의 기재가 없고 또 법정기간 내에 상고이유서를 제출하지 아니하였다(원고가 제출한 상고이유서는 기간 경과 후인 2006. 4. 12.에 접수되었다). 3. 결 론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각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양창수(재판장) 김영란 이홍훈(주심) 안대희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회사 주식 받았는데, 근로소득일까요? 증여일까요? 상장이익에 대한 증여세는 어떻게 계산할까요?

회사 대표이사가 경영성과 보상으로 최대주주로부터 회사 주식을 받은 경우, 이는 근로소득에 해당하며, 주식 상장으로 얻은 이익에 대한 증여세 계산 시 할증률 적용 기준 시점은 주식 상장일로부터 3개월이 되는 날이다.

#경영성과보상#주식#근로소득#증여세

세무판례

주식 양도 전 회사에 돈 빌려준 게 탈세일까?

주주가 주식을 팔기 전에 특수관계에 있는 회사에 돈을 빌려줘서 회사가 부동산과다보유 법인에서 벗어나 양도소득세를 내지 않게 되었더라도, 이는 부당행위계산으로 볼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주식 양도#금전 대여#부당행위계산 부인#부동산과다보유 법인

세무판례

모회사가 준 성공보수, 근로소득일까 기타소득일까?

국내 자회사 직원이 외국 모회사의 주식 매각을 도와 성공보수를 받은 경우, 이는 근로소득에 해당한다.

#주식매각#성공보수#근로소득#기타소득

세무판례

주식 빌려줬는데 내 주식으로 세금 매긴다고?! 주식 대차계약과 대주주 판단

주식 대차계약으로 빌려준 주식은 빌려준 사람(대주)의 소유로 보지 않으므로, 대주주 여부를 판단할 때 계산에 포함하지 않는다.

#주식 대차계약#소유권#대주주#양도소득세

세무판례

금고 대표의 불법 차입금, 회사 수익으로 봐야 할까?

상호신용금고 대표이사가 법적 절차를 어기고 불법으로 돈을 빌려 유용했더라도, 그 돈은 일단 회사에 들어온 이상 회사 수익으로 봐야 하며, 사용처가 불분명하면 대표이사의 상여로 처분해야 한다는 판결.

#상호신용금고#대표이사#불법차입#법인수익

세무판례

회사 돈, 임원에게 줬다면? 세금 문제 정리!

세무서가 법인의 돈이 부당하게 임원이나 주주에게 흘러간 것으로 보고 세금을 부과했는데, 소송 중에 세금 부과 사유를 바꾸는 것이 허용되는지, 그리고 주주가 회사에서 돈을 빌렸다가 갚은 경우에도 세금을 매길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익금사외유출#소득세#징수처분#과세사유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