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피

사건번호:

2006마409

선고일자:

20070702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기피신청의 각하 또는 기각 결정에 대한 즉시항고를 항고심이 각하 또는 기각한 경우, 그에 대한 재항고의 법적 성격(=즉시항고)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47조 제2항, 제439조, 제442조, 제444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재항고인】 【원심명령】 대전고법 2006. 4. 11.자 2006라45 명령 【주 문】 재항고를 기각한다. 【이 유】재항고이유를 본다. 기피신청에 관한 각하 또는 기각 결정에 대하여는 즉시항고를 할 수 있고( 민사소송법 제47조 제2항), 재항고도 항고와 마찬가지로 통상항고와 즉시항고로 나누어지나 그 구분은 원래의 항고 자체가 통상항고인가 즉시항고인가에 의하는 것이 아니라 재항고의 대상이 되는 재판의 내용에 따르게 되므로 위와 같은 즉시항고를 항고심이 각하, 기각하였으면 그에 대한 재항고는 즉시항고로서의 성격을 가진다. 기록에 의하면, 신청인(재항고인, 이하 ‘신청인’이라 한다)이 한 청주지방법원 2006카기31 기피 신청사건에 관하여 제1심법원이 2006. 2. 10. 신청인의 신청을 각하하자, 신청인은 대전고등법원 2006라45호로 항고를 제기하였으나 항고법원은 같은 해 3. 20. 항고를 기각하였으며, 그 항고기각결정은 같은 달 29일 신청인에게 송달되었고, 이에 대하여 신청인이 같은 해 4. 10. 재항고장을 제출하였으나 항고법원 재판장은 재항고기간을 도과하였다는 이유로 같은 해 4. 11. 재항고장을 각하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이 사건 재항고장은 재항고기간을 도과하여 제출된 것이 명백하므로 원심이 이를 이유로 재항고장을 각하한 것은 적법한 조치로서 수긍되고, 거기에 재항고이유로서 주장하고 있는 위법을 찾아볼 수 없다. 그러므로 재항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김능환(재판장) 김용담 박시환(주심) 박일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법관 기피신청,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항소심 재판부 판사에 대한 기피신청이 기각되었을 때는 대법원에 재항고해야 하며, 기피신청 여부와 상관없이 본안 사건에 대한 판결이 선고되면 기피신청은 효력을 잃는다.

#항소심 판사 기피신청#기각#재항고#대법원

형사판례

재항고 기각 결정에 대한 재심청구는 할 수 없다!

유죄 판결이 확정된 경우에만 재심을 청구할 수 있는데, 재항고 기각 결정은 유죄 판결이 아니므로 재심 청구 대상이 아닙니다.

#재심#재항고 기각#유죄판결#불가능

민사판례

대법원 재판장의 재항고 기각 결정에 불복할 수 있을까?

하급심(지방법원, 고등법원)의 결정에 불복할 방법이 없을 때 헌법이나 법률 위반을 이유로 대법원에 특별항고를 할 수 있지만, 대법원 재판장이 재항고를 기각한 경우에는 특별항고를 할 수 없습니다.

#특별항고#대법원 재판장#재항고 기각#불복 불가

민사판례

판결 나온 후 법관 기피신청? 이미 늦었어요!

이미 판결이 선고된 후에는 해당 판사에 대한 기피신청은 효력이 없다.

#판결후 기피신청#효력없음#기피신청 기각#판결 선고 후 기피신청

민사판례

이미 판결 난 사건, 판사 기피신청은 무의미!

재판이 끝나고 판결까지 나온 후에 해당 재판을 한 판사를 기피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판결입니다. 같은 내용으로 기피신청을 반복하는 것도 허용되지 않습니다.

#종국판결#법관기피신청#효력없음#기피신청반복불허

생활법률

법원 결정에 불만있다고? 항고, 재항고, 즉시항고, 준항고, 특별항고 완벽 정리!

법원 결정에 불복 시, 최초 항고, 재항고(법률 위반 시 대법원), 즉시항고(1주일 이내), 준항고(수소법원 이의신청), 특별항고(헌법 위반 등 대법원) 등의 항고 제도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정해진 절차와 관할 법원에 따라 진행된다.

#항고#재항고#즉시항고#준항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