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기)

사건번호:

2007다60417

선고일자:

200809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채권에 대한 압류 및 추심명령이 있는 경우, 제3채무자에 대하여 피압류채권에 대한 이행의 소를 제기할 당사자적격이 있는 자(=추심채권자) [2] 당사자적격에 관한 사항은 직권조사 사항인지 여부와 상고심에서의 주장, 입증 가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1] 민사소송법 제51조, 민사집행법 제229조 제2항 / [2] 민사소송법 제51조

참조판례

[1] 대법원 2000. 4. 11. 선고 99다23888 판결(공2000상, 1170) / [2] 대법원 1989. 10. 10. 선고 89누1308 판결(공1989, 1684), 대법원 1994. 9. 30. 선고 93다27703 판결(공1994하, 2822)

판례내용

【원 고】 【원고승계참가인,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7. 7. 24. 선고 2006나49682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직권으로 살펴본다. 1. 채권에 대한 압류 및 추심명령이 있으면 제3채무자에 대한 이행의 소는 추심채권자만이 제기할 수 있고 채무자는 피압류채권에 대한 이행소송을 제기할 당사자적격을 상실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대법원 2000. 4. 11. 선고 99다23888 판결 등 참조). 그리고 위와 같은 당사자적격에 관한 사항은 소송요건에 관한 것으로서 사실심의 변론종결시를 기준으로 법원이 이를 직권으로 조사하여 판단하여야 하고( 대법원 1994. 9. 30. 선고 93다27703 판결 등 참조), 비록 당사자가 사실심 변론종결시까지 이에 관하여 주장하지 아니하였다고 하더라도 상고심에서 새로이 이를 주장, 입증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대법원 1989. 10. 10. 선고 89누1308 판결 등 참조). 2. 피고의 상고이유보충서(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을 도과하여 제출된 것으로서, 법원의 직권 발동을 촉구하는 의미의 범위 내에서 살펴본다)의 주장 및 기록에 의하면, 원고는 이 사건 매매계약의 해제로 인한 계약금반환채권 및 손해배상채권(이하 통칭하여 ‘이 사건 채권’이라고 한다)에 기하여 피고를 상대로 이 사건 청구를 한 사실, 원심 소송계속 중이던 2006. 4. 25. 원고가 이 사건 채권을 원고 승계참가인에게 양도하고 같은 날 위 채권양도 사실을 피고에게 통지한 사실, 그런데 위 채권양도가 이루어지기 전인 2006. 3. 8. 원고의 채권자인 소외인이 원고의 피고에 대한 이 사건 채권에 관하여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 대전지방법원 공주지원 2006타채70)을 받았고 위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이 2006. 3. 15. 제3채무자인 피고에게 송달된 사실을 알 수 있다. 3. 앞서 본 바와 같은 법리에 기초하여 위와 같은 사실들 및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2006. 3. 15. 이 사건 채권에 관한 위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이 제3채무자인 피고에게 송달됨으로써 이 사건 채권에 기한 이행의 소는 추심채권자만이 제기할 수 있게 되고, 원고는 이 사건 채권에 기한 이행소송을 제기할 당사자적격을 상실하였다고 할 것이며, 그 후인 2006. 4. 25. 위 채권양도에 의하여 이 사건 채권은 그 동일성을 잃지 않고 원고로부터 원고 승계참가인에게 이전되었다고 할 것이므로, 결국 원고 승계참가인 역시 이 사건 채권에 기하여 피고에 대한 이행소송을 제기할 당사자적격이 없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원고 승계참가인의 당사자적격에 관한 판단은 이 사건 채권에 관한 위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의 존재에 관한 주장 및 그 자료가 당심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법원에 제출되었다고 하여 달리 볼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원고 승계참가인이 이 사건 채권에 기하여 피고에 대한 이행소송을 제기할 당사자적격이 있음을 전제로 하여 이루어진 원심판결은 결과적으로 잘못된 전제에 기한 것으로서 파기를 면할 수 없다고 할 것이다. 4.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양승태(재판장) 박시환 박일환(주심) 김능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돈 받을 권리, 누가 먼저 가져가나요? - 채권 추심과 압류의 경합

돈을 빌려준 사람(채권자)이 법원의 허가를 받아 채무자의 제3채무자에 대한 채권을 추심한 후에 다른 채권자가 같은 채권에 대해 압류를 하더라도, 이미 추심이 완료된 금액에는 압류의 효력이 미치지 않는다. 또한, 압류 대상 채무자를 변경하는 법원 결정(경정결정)은 제3채무자에게 송달된 때 효력이 발생한다.

#추심#압류#경정결정#효력발생시기

민사판례

돈 받을 권리 압류당하면 소송도 못할까? - 채권압류와 당사자적격

돈을 빌려준 사람(채권자)이 돈을 빌린 사람(채무자)에게 받을 돈을 다른 사람에게 압류당한 경우, 채무자는 돈을 갚아야 할 사람(제3채무자)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이는 소송을 제기할 자격(당사자적격)이 없기 때문입니다. 법원은 당사자적격 유무를 직접 조사해야 하며, 상고심에서도 이를 다툴 수 있습니다.

#채권압류#당사자적격#추심채권자#소송

민사판례

돈 받을 권리에 대한 압류, 또 압류할 수 있을까?

다른 사람의 돈을 받을 권리(채권)에 대한 추심권은 압류할 수 없다.

#추심권능#압류불가#절차상권한#재산적가치X

민사판례

돈 받을 권리, 여러 사람에게 나눠서 압류해도 된다!

여러 명의 채무자가 공동으로 갚아야 할 빚이 있는 경우, 그중 한 명의 재산에 압류가 들어왔다고 해서 다른 채무자들에게 빚을 청구할 권리가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채권압류#공동채무#제3채무자#압류채권자

민사판례

돈 받을 권리, 압류당하면 소송도 못하나요?

돈을 받을 권리(채권)가 압류되면, 원래 돈을 받을 사람(채무자)은 더 이상 그 돈을 받기 위한 소송을 할 수 없습니다. 소송은 압류한 사람(추심채권자)만 할 수 있습니다.

#채권압류#당사자적격#소송#추심채권자

상담사례

돈 받을 권리가 압류되었어도 소송할 수 있을까요? (가압류된 채권의 이행청구)

채권이 가압류되어도 채무자에게 돈을 갚으라는 소송(이행청구소송)은 가능하며, 이는 채권의 시효 중단 및 판결 확보를 통해 채권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데 중요하다.

#가압류#채권#이행청구#소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