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기)등

사건번호:

2007다90241

선고일자:

200806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집합건물의 어느 부분이 공용부분인지 전유부분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 [2] 상가건물 전체와 그 1층 부분의 구조, 외관, 용도 등에 비추어 그 상가건물 1층 소재 점포 내 벽체 중 건물 내 복도 부분과 접해 있던 유리 벽체 부분이 위 점포의 전유부분이지 공용부분이 아니라고 한 원심의 판단을 수긍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0조 제1항 / [2]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0조 제1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89. 10. 27. 선고 89다카1497 판결(공1989, 1782), 대법원 1995. 2. 28. 선고 94다9269 판결(공1995상, 1447)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원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다산 담당변호사 김춘희) 【피고, 피상고인】 피고 (소송대리인 변호사 박지훈) 【원심판결】 수원지법 2007. 11. 28. 선고 2007나268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집합건물에 있어서 수개의 전유부분으로 통하는 복도, 계단 기타 구조상 구분소유자의 전원 또는 그 일부의 공용에 제공되는 건물부분은 공용부분으로서 구분소유권의 목적이 되지 않으며, 건물의 어느 부분이 구분소유자의 전원 또는 일부의 공용에 제공되는지의 여부는 소유자들 간에 특단의 합의가 없는 한 그 건물의 구조에 따른 객관적인 용도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대법원 1995. 2. 28. 선고 94다9269 판결 참조). 원심은, 성남시 분당구 (번지 생략) 현대제일상가 건물 전체와 그 1층 부분의 구조, 외관, 용도 등에 비추어 보면 피고 소유의 위 상가건물 1층 7호 점포 내 벽체 중 건물 내 복도 부분과 접해 있던 유리 벽체 부분은 위 7호 점포의 전유부분이지 공용부분이 아니라고 판단하였는바, 앞서 본 법리와 원심이 채택한 증거를 종합하여 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집합건물의 전유부분과 공용부분의 판단 기준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이와 관련하여 원고가 상고이유에서 들고 있는 대법원판결들은 이 사건과는 사안을 달리하여 이 사건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것들이다. 따라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일환(재판장) 양승태(주심) 박시환 김능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우리 상가, 내 가게 벽은 어디까지일까? - 전유부분과 공용부분

아파트처럼 여러 집이 모여 있는 건물에서 내 집과 네 집의 경계는 언제, 어떻게 정해지는가?

#아파트##경계#건축물대장

민사판례

상가 1층 앞 유리벽, 함부로 출입문 만들면 안될까요?

상가 건물 1층 앞면 유리벽은 공용부분이며, 일부 점포 소유자들이 개별 출입문을 설치했더라도 다른 점포 소유자들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은 없다.

#상가#공용부분#유리벽#출입문

민사판례

우리 가게 앞 복도, 내 맘대로 쓸 수 있을까? - 상가 소유권과 공용 공간 사용에 대한 이야기

집합건물(상가)에서 개별 점포 소유자의 권리는 공용 부분인 통로에도 미치며, 소유권 행사를 방해하는 방화벽 철거를 요구할 수 있다.

#상가#공용통로#방화벽#철거소송

민사판례

아파트 복도 내 맘대로 쓸 수 있을까? - 공용부분과 전유부분 이야기

아파트 복도처럼 여러 사람이 함께 쓰는 공용부분은 개인 소유가 될 수 없고, 나중에 용도를 바꾸거나 등기부에 전유부분으로 등록했다고 해도 마찬가지다.

#아파트#복도#공용부분#사유화

민사판례

상가 구분소유권, 어디까지 인정될까? - 경계벽 제거된 점포들의 이야기

상가 구분점포가 법에서 정한 요건을 갖춰 건축물대장에 등록되고 등기까지 마쳐졌다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구분소유권이 있다고 추정된다. 또한, 인접한 구분점포 사이의 경계벽이 제거되었더라도 위치와 면적 특정이 가능하고 복원이 용이하다면 구분소유권은 유효하다.

#상가#구분점포#구분소유권#경계벽 제거

민사판례

아파트 공용부분 변경, 내 마음대로 할 수 있을까?

아파트나 상가 같은 집합건물의 공용부분을 변경하거나, 변경된 공용부분의 원상회복을 요구할 때는 단독적인 행동이 아니라 전체 구분소유자들의 의견을 모아 관리단집회 결의를 거쳐야 한다. 특히, 변경이나 원상회복이 다른 구분소유자들에게 손해를 끼칠 가능성이 있다면 더욱 그렇다.

#집합건물#공용부분#변경#원상회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