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불승인처분취소

사건번호:

2007두6991

선고일자:

200710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구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4조 제1호에 정한 ‘업무상 재해’의 의미 및 근로자의 출·퇴근 중에 발생한 재해를 업무상 재해로 인정하기 위한 요건 [2] 업무상 재해에 관하여 공무원과 일반근로자의 재해 기준을 다르게 하는 것이 헌법상 평등의 원칙에 위배되는지 여부(소극) [3] 회사의 지시에 따른 연장근무 후 근로자 소유의 오토바이를 이용하여 퇴근한 과정은 사업주의 지배·관리하에 있었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하여 업무상재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구 산업재해보상보험법(2007. 4. 11. 법률 제8373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4조 제1호(현행 제5조 제1호 참조) / [2] 구 산업재해보상보험법(2007. 4. 11. 법률 제8373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4조 제1호(현행 제5조 제1호 참조),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규칙 제35조 제4항, 공무원연금법 제25조, 공무원연금법 시행규칙 제14조, 헌법 제11조 제1항 / [3] 구 산업재해보상보험법(2007. 4. 11. 법률 제8373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4조 제1호(현행 제5조 제1호 참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9. 12. 24. 선고 99두9025 판결(공2000상, 325), 대법원 2005. 9. 29. 선고 2005두4458 판결(공2005하, 1698), 대법원 2007. 9. 28. 선고 2005두12572 전원합의체 판결(공2007하, 1685) / [2] 대법원 1995. 3. 14. 선고 94누15523 판결(공1995상, 1638), 헌법재판소 1993. 9. 27. 선고 93헌마45 결정(헌공3, 351)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근로복지공단 【원심판결】 대구고법 2007. 3. 16. 선고 2006누1716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판단한다. 구 산업재해보상보험법(2007. 4. 11. 법률 제8373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산재보험법’이라 한다) 제4조 제1호 소정의 ‘업무상의 재해’라 함은 근로자와 사업주 사이의 근로계약에 터잡아 사업주의 지배·관리하에서 당해 근로업무의 수행 또는 그에 수반되는 통상적인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업무에 기인하여 발생한 재해를 말한다. 그런데 비록 근로자의 출·퇴근이 노무의 제공이라는 업무와 밀접·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하더라도, 일반적으로 출·퇴근 방법과 경로의 선택이 근로자에게 유보되어 있어 통상 사업주의 지배·관리하에 있다고 할 수 없고, 산재보험법에서 근로자가 통상적인 방법과 경로에 의하여 출·퇴근하는 중에 발생한 사고를 업무상 재해로 인정한다는 특별한 규정을 따로 두고 있지 않은 이상, 근로자가 선택한 출·퇴근 방법과 경로의 선택이 통상적이라는 이유만으로 출·퇴근 중에 발생한 재해가 업무상의 재해로 될 수는 없다. 따라서 출·퇴근 중에 발생한 재해가 업무상의 재해로 되기 위하여는 사업주가 제공한 교통수단을 근로자가 이용하거나 또는 사업주가 이에 준하는 교통수단을 이용하도록 하는 등 근로자의 출·퇴근 과정이 사업주의 지배·관리하에 있다고 볼 수 있는 경우라야 하고 ( 대법원 1999. 12. 24. 선고 99두9025 판결, 대법원 2005. 9. 29. 선고 2005두4458 판결, 대법원 2007. 9. 28. 선고 2005두12572 전원합의체 판결 등 참조), 공무원과 일반 근로자의 재해 기준을 같이하지 않는다고 하여 헌법상의 평등의 원칙에 위배된다고 할 수 없다( 대법원 1995. 3. 14. 선고 94누15523 판결, 헌법재판소 1993. 9. 27. 선고 93헌마45 결정 참조).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적법하게 채택한 증거들에 의하여 판시사실을 인정한 다음, 비록 원고가 소외 회사의 지시에 따른 연장근무를 마친 후 퇴근하다가 이 사건 사고를 당한 사정을 참작하더라도, 원고가 그 소유의 오토바이를 이용하여 퇴근한 과정은 사업주인 소외 회사의 지배·관리하에 있었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하여 이 사건 상병이 업무상 재해에 해당한다는 원고의 주장을 배척한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은 업무상 재해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일환(재판장) 김용담(주심) 박시환 김능환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야간근무 출근길 오토바이 사고, 산재 인정받을 수 있을까?

회사가 제공하는 통근버스를 이용할 수 없고, 대중교통 이용도 사실상 불가능하여 오토바이로 야간 출근을 하던 중 사고를 당한 경우, 업무상 재해로 인정된 사례입니다.

#야간출근#오토바이사고#업무상재해#통근버스

일반행정판례

출퇴근길 사고, 산재 될까요? 안될까요?

개인 오토바이로 출근하다 교통사고를 당했을 경우, 회사가 제공한 교통수단이 아니므로 산업재해로 인정되지 않는다.

#오토바이 출퇴근#산재 불인정#개인 교통수단#회사 지배·관리 부재

일반행정판례

출퇴근길 사고, 산재 인정받을 수 있을까?

회사에서 제공하는 통근버스를 탈 수 없어 개인 오토바이로 출퇴근하다 사고가 났더라도, 회사가 기름값을 보태줬다는 사정만으로는 산재로 인정받기 어렵다는 판결.

#출퇴근사고#오토바이#산재불인정#기름값지원

상담사례

출근길 교통사고, 산재 될까요? 안타까운 사연과 함께 알아보는 산재 기준

자가용으로 출퇴근 중 발생한 교통사고는 회사의 지배·관리 하에 있지 않으므로 일반적으로 산재 인정이 어렵다.

#출퇴근길 교통사고#산재#개인차량#회사 지배·관리

일반행정판례

출퇴근길 사고, 산재 처리 될까요?

회사가 제공한 교통수단을 이용하거나, 회사가 특정 교통수단 이용을 지시한 경우 등 회사의 지배・관리 하에 출퇴근 중 발생한 사고만 업무상 재해로 인정된다. 단순히 회사와 집 사이를 오가다 발생한 사고는 출퇴근 방법과 경로 선택이 근로자에게 있으므로 원칙적으로 업무상 재해로 보지 않는다.

#출퇴근 사고#업무상 재해#회사 지배・관리#교통수단 제공

일반행정판례

야근 후 퇴근길 사고, 산재 인정될까?

회사 업무 때문에 밤늦게까지 일하고 퇴근하다 교통사고로 사망한 경우, 회사가 퇴근 방법을 사실상 강제했다면 산업재해로 인정될 수 있다.

#심야퇴근#교통사고#산재#사실상 강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