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이의

사건번호:

2007마629

선고일자:

20080626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개발제한구역 내 건축물의 용도변경행위에 대하여 건축법 위반으로 이행강제금을 부과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구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2005. 7. 13. 법률 제759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1조(현행 제12조 참조), 구 건축법(2005. 11. 8. 법률 제769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4조(현행 제19조 참조), 제69조 제1항(현행 제79조 제1항 참조), 제83조(현행 제80조 참조)

참조판례

대법원 2006. 5. 30.자 2005마850 결정, 대법원 2007. 9. 13.자 2007마627 결정

판례내용

【재항고인】 【원심결정】 의정부지법 2007. 4. 27.자 2005라173 결정 【주 문】 재항고를 기각한다. 【이 유】 재항고이유를 본다. 구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2005. 7. 13. 법률 제759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특별조치법’이라 한다) 소정의 개발제한구역 내에 위치한 건축물의 용도변경행위에 관하여는 특별조치법뿐만 아니라 건축법도 적용되어, 관할 행정청은 건축법 제69조 제1항에 의하여 시정명령을 할 수 있고, 그 시정명령에 위반한 경우에는 구 건축법(2005. 11. 8. 법률 제769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건축법’이라 한다) 제83조에 의하여 이행강제금을 부과할 수 있다 ( 대법원 2006. 5. 30.자 2005마850 결정, 대법원 2007. 9. 13.자 2007마627 결정 등 참조). 기록에 의하면, 재항고인은 관할 관청에 대한 신고 없이 개발제한구역 내에 있는 이 사건 동물 및 식물 관련시설 777㎡ 중 711㎡를 창고로 무단 용도변경하여 사용하여 오다가 남양주시장으로부터 구 특별조치법 제11조 및 구 건축법 제14조의 규정을 위반하였다는 이유로 시정명령을 받고도 정해진 기간 내에 이를 이행하지 아니한 사실이 인정되고, 한편 구 건축법 제14조 제3항 제6호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4조 제4항에 의하면 동물 및 식물 관련시설은 “기타 시설군”에 속하고 창고시설은 “산업시설군”에 속하여 서로 속하는 시설군이 상이하여, 동물 및 식물 관련시설을 창고로 용도를 변경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관할 관청에 대한 신고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원심이 구 건축법 제83조 제1항, 제69조 제1항을 적용하여 재항고인에게 이행강제금을 부과한 제1심의 판단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다만 그 이행강제금 액수가 과다하다는 이유로 이를 감액한 것은 정당하다. 원심결정에는 재항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직권탐지주의 위반, 심리미진, 사실오인, 법령적용의 위반 등으로 재판에 영향을 미친 헌법ㆍ법률ㆍ명령 또는 규칙의 위반이 없다. 그러므로 재항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차한성(재판장) 고현철 김지형(주심) 전수안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개발제한구역 내 무단 용도변경, 이행강제금 부과는 정당할까?

개발제한구역 안에서 건물 용도를 허가 없이 바꾸거나 무단으로 증축하면 이행강제금을 부과할 수 있다.

#개발제한구역#무단용도변경#증축#이행강제금

일반행정판례

개발제한구역 내 불법 건축물, 이행강제금 부과하려면 매번 시정명령 내려야 할까?

개발제한구역에서 불법 건축물 등에 대한 이행강제금을 부과하려면 2010년 2월 7일 이후에 발부된 시정명령이 있어야 한다. 이행강제금을 반복 부과할 때 매번 새로운 시정명령이 필요하지는 않다.

#개발제한구역#이행강제금#시정명령#2010년 2월 7일

일반행정판례

개발제한구역 내 위법 건축물, 이행강제금 부과하려면? 꼭 알아야 할 절차!

개발제한구역에서 위법행위로 이행강제금을 부과할 때, 매번 시정명령을 새로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이행강제금 제도가 도입된 이후의 시정명령만이 이행강제금 부과의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개발제한구역#이행강제금#시정명령#반복부과

일반행정판례

건물 용도변경, 무조건 이행강제금 내야 할까?

건물 용도 변경 시, 변경 방식에 따라 지구단위계획 위반을 이유로 이행강제금을 부과할 수 있는지 여부가 달라진다. 허가나 신고가 필요한 큰 용도 변경은 이행강제금 부과가 가능하지만, 신고 없이 또는 간단한 신고만으로 가능한 작은 용도 변경은 이행강제금 부과 대상이 아니다.

#지구단위계획#용도변경#이행강제금#건축법

형사판례

개발제한구역 내 무단 형질변경, 처벌은 어떻게?

개발제한구역 안에서 허가 없이 땅의 모양을 바꾸는 행위를 했을 때,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국토이용법)'이 아니라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개발제한구역법)'을 위반한 것이므로, 국토이용법 위반으로 처벌할 수 없다.

#개발제한구역#무단 형질변경#국토이용법 위반#개발제한구역법

생활법률

개발제한구역에서 마음대로 짓다간 큰일 나요! (feat. 불법 건축물)

개발제한구역 내 건축은 허가 또는 신고 대상이며, 무허가/신고 위반 시 시정명령, 이행강제금, 과태료, 벌금 또는 징역 등의 처벌을 받는다.

#개발제한구역#건축#허가#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