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처분결정에대한재항고

사건번호:

2007트13

선고일자:

20080812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소년보호사건에서 항고제기기간 내에 항고이유를 제출하지 않은 항고인에게 항고법원이 별도로 항고이유 제출 기회를 주어야 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소년법 제43조 제2항, 제31조, 소년심판규칙 제44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보호소년】 【보 호 자】 보호소년의 모 【재항고인】 보호자 【원심결정】 의정부지법 2007. 10. 25.자 2007크7 결정 【주 문】 재항고를 기각한다. 【이 유】 재항고이유를 본다. 소년법 제43조 제2항은 ‘항고를 제기할 수 있는 기간은 7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제31조는 ‘소년보호사건의 심리에 필요한 사항은 대법원규칙으로 정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제정된 소년심판규칙 제44조는 ‘항고장에는 항고의 이유를 간결하게 명시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따라서 소년보호사건의 경우 제1심의 보호처분에 대하여 항고를 제기함에 있어서는 그 항고장에 항고이유를 기재하거나, 적법한 항고제기기간 내에 항고이유를 기재한 서면을 제출하여야 하고, 이와 별도로 항고법원이 항고인에게 항고이유의 제출 기회를 부여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위 법리 및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제1심법원의 보호처분에 대하여 항고를 제기하고서도 적법한 항고제기기간 내에 항고이유를 제출하지 아니한 항고인에 대하여 항고이유의 제출 기회를 부여하지 않은 채 그 항고를 기각한 원심의 조치는 정당하고, 달리 원심결정에 법령을 위반한 위법도 없다. 그러므로 재항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대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이홍훈(재판장) 김영란(주심) 안대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항소이유서, 언제 제출된 걸로 볼까요?

항소이유서는 법원의 공식 접수나 처리 절차를 거치기 전이라도, 법원에 도착하여 사회통념상 존재가 확인될 수 있는 상태에 있으면 제출된 것으로 인정됩니다.

#항소이유서#도착#효력발생#접수 전

민사판례

사법보좌관 결정에 대한 이의신청과 항고, 기간을 꼭 지켜야 할까?

법원 사무를 돕는 사법보좌관의 결정에 이의를 제기하고, 이의가 받아들여지지 않아 항고(더 높은 법원에 재판을 다시 해달라고 요청)할 때, 항고이유서(항고하는 이유를 적은 서류)는 법원이 정해준 기간 안에만 내면 되고, 정해진 기간보다 늦게 냈다는 이유만으로 항고를 무효로 할 수는 없다는 판결입니다.

#사법보좌관#결정#이의신청#항고

민사판례

재항고 기간 내 이유서 제출하지 않으면 각하!

법원이 간접강제 결정에 불복하여 즉시항고를 기각한 경우, 그 기각 결정에 불복하여 재항고를 하려면 10일 이내에 재항고이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이를 지키지 않으면 재항고는 각하됩니다.

#재항고#각하#재항고이유서#제출기한

민사판례

항고이유서 제출기간 넘겼다고 무조건 항고 각하? 꼭 그렇지만은 않아요!

법원이 정한 항고이유서 제출기간(10일)을 어길 경우, 항고가 기각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본 판례는 당사자가 **본인의 책임이 아닌 사유**로 기간을 지키지 못했다면 법원이 이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항고이유서#제출기간#연장#불변기간

형사판례

가정폭력 보호처분 항고,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가정폭력 사건에서 법원의 보호처분에 불복하여 항고할 때, 일반 형사사건의 항고 절차와는 다른 규칙이 적용된다는 판결입니다. 즉, 가정폭력 사건의 항고는 가정폭력처벌법에 따라 처리되어야 하며, 일반 형사소송법의 항고 기각 규정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가정폭력#보호처분#항고#절차

상담사례

항소, 어디에 제출해야 할까요? - 항소 기간과 법원에 대한 오해 풀기

1심 판결에 불복하여 항소하려면 2주 이내에 1심 판결을 내린 법원에 항소장을 제출해야 하며, 잘못된 법원에 제출하면 항소는 효력이 없다.

#항소#항소기간(2주)#항소장 제출처(1심 법원)#잘못된 제출(효력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