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절결정(특)

사건번호:

2007후2230

선고일자:

200812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출원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화학식 1의 이미다졸 유도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에스테르’는 생체 내에 투입되었을 때 원래의 화합물인 이미다졸 유도체의 활성형태를 그대로 가지는 것을 의미하므로, 특허청구범위 제1항은 그 청구항이 넓게 기재되어 있을 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지가 불분명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어서 특허청구범위 기재요건을 충족하였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특허법 제42조 제4항 제2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오리온 코포레이션 (소송대리인 변리사 박사룡) 【피고, 상고인】 특허청장 【원심판결】 특허법원 2007. 4. 19. 선고 2006허682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이 사건 출원발명(출원번호 제***-****-****90호)의 특허청구범위 제1항(이하 이 사건 제1항 발명이라 한다)은 ‘화학식 1의 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에스테르 또는 염’에 관한 것이어서, ‘화학식 1의 이미다졸 유도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에스테르’를 포함하는데, 어떤 특정한 화합물의 에스테르가 그 에스테르의 수나 종류에 따라 그 물리·화학적 성질 및 생체 내에 투입되었을 때의 약리효과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음은 피고의 주장과 같으나, 생체 내에 투입되었을 때 원래의 화합물을 분리·방출하지 않고 그 자체로 활성을 가지는 경우와 같이 원래의 화합물이 가지는 성질에 큰 변화를 일으키는 경우를 원래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에스테르라고 보기는 어려워서 원래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에스테르는 생체 내에 투입되었을 때 효소 작용 등에 의해 원래의 화합물을 분리·방출하여 원래의 화합물의 활성형태를 그대로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고 보아야 하므로, 이 사건 제1항 발명의 ‘화학식 1의 이미다졸 유도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에스테르’ 또한 생체 내에 투입되었을 때 원래의 화합물인 이미다졸 유도체의 활성형태를 그대로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 그렇다면 이 사건 제1항 발명은 그 청구항이 넓게 기재되어 있을 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지가 불분명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어서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다고 할 것이므로, 이 사건 제1항 발명이 특허청구범위 기재요건을 충족하였다고 본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다. 원심판결에는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특허청구범위 기재요건 판단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차한성(재판장) 고현철 김지형(주심) 전수안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특허 출원 시, 불명확한 표현은 안돼요!

특허를 받으려면, 발명의 핵심 내용을 담은 '특허청구범위'가 명확해야 합니다. 단순히 기능이나 효과만 적는 것이 아니라, 어떤 구조로 그 기능을 달성하는지 구체적으로 밝혀야 합니다.

#특허청구범위#명확성#기능적 표현#구조

특허판례

의약 용도 발명, 특허는 어떻게 받을까?

새로운 의약 용도 발명의 특허를 받으려면, 특허 청구 범위에는 약의 효과와 대상 질병을 명확히 적어야 하고, 상세한 설명에는 평균적인 전문가가 약의 효과를 재현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정보와 실험 데이터를 제시해야 합니다.

#의약 용도발명#특허 청구범위#상세한 설명#약효

특허판례

특허청구범위, 어디까지 보호받을 수 있을까? - "포함하는" 조성물 특허 해석

특허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적힌 내용을 기준으로 정해지는데, '포함하는'이라는 표현이 있다면 명시된 구성 요소 외에 다른 요소가 추가되어도 특허 보호범위에 포함된다는 판결입니다.

#특허청구범위#포함하는#진보성#보호범위

특허판례

칡 추출물, 의약 특허 받을 수 있을까? - 약리기전만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명확성

약의 효능을 구체적인 질병 이름 대신 작용 원리(약리기전)로만 설명했더라도, 상세한 설명을 통해 그 효능이 명확히 드러난다면 특허로 인정될 수 있다.

#특허#약리기전#의약용도#명확성

민사판례

특허 존속기간 연장된 의약품, 어디까지 보호될까?

특허 기간이 연장된 의약품의 경우, 오리지널 의약품과 유효성분, 치료효과, 용도가 동일하다면, 염의 종류가 달라도 특허권 침해로 인정될 수 있다.

#의약품 특허#특허권 존속기간 연장#유효성분#치료효과

특허판례

특허 출원 시 주의할 점: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특허청구범위의 일치

특허를 받으려면, 특허의 핵심 내용(특허청구범위)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적혀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공개되지 않은 내용에 대해 특허권을 주는 부당한 결과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특허청구범위#상세한 설명#뒷받침#특허법 제42조 제4항 제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