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무효(실)

사건번호:

2007후3585

선고일자:

200909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실용신안법에서 정한 ‘진보성이 있는 고안’의 의미 [2] 명칭이 “가구용 패널의 에지밴드 절단장치”인 등록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제1항은 통상의 기술자가 비교대상고안인 ‘두 개의 제2절단장치’와 등록고안의 명세서에 공지된 종래기술인 ‘제1절단장치 및 제2절단장치로 이루어진 에지밴드 절단장치’의 결합에 의하여 극히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는 것이어서 진보성이 부정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실용신안법 제4조 제2항 / [2] 실용신안법 제4조 제2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94. 12. 23. 선고 93후2080 판결(공1995상, 676), 대법원 1995. 12. 12. 선고 94후1787 판결(공1996상, 395), 대법원 2006. 2. 23. 선고 2005후2441 판결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원심판결】 특허법원 2007. 7. 25. 선고 2006허8866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한이 경과한 후에 제출된 준비서면 등의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안에서)를 본다. 실용신안법이 정하는 고안은 특허법에서 말하는 발명과 달리 창작의 고도성을 요구하지는 않으므로 공지공용의 기술을 결합한 고안이라도 그 고안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물품의 형상, 구조 또는 조합의 신규성에 의하여 산업상 이용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의 창작이 어느 정도 존재한다면 이는 새로운 공업적 고안이라 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도 결합 전에 각 기술이 가지고 있던 작용효과의 단순한 집합이 아니라 결합 전에 비하여 보다 증진된 작용효과가 인정되고 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라 한다)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없을 때 비로소 이를 진보성이 있는 고안이라고 할 것이다( 대법원 2006. 2. 23. 선고 2005후2441 판결 참조).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명칭을 “가구용 패널의 에지밴드 절단장치”로 하는 이 사건 등록고안(등록번호 제373115호)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제1항(이하 ‘이 사건 제1항 고안’이라 하고, 나머지 청구항도 같은 방식으로 부르기로 한다)의 구성요소 1인 ‘제1절단장치 및 제2절단장치로 이루어진 에지밴드 절단장치’는 이 사건 등록고안의 명세서에 공지된 종래기술로 기재된 구성이고, 구성요소 2인 ‘제1, 2 가이드레일, 제1, 2 이송실린더, 제1, 2 슬라이드블록 및 에지절단수단으로 구성된 제2절단장치’는 원심 판시 비교대상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그 명칭만 달리할 뿐 기능과 작용효과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 나타나 있으며, 구성요소 3인 ‘제2절단장치를 제1절단장치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설치하는 구성’은 위 종래기술인 ‘제1절단장치 및 제2절단장치로 이루어진 에지밴드 절단장치’와 비교대상고안의 ‘두 개의 제2절단장치’를 결합하면서 제1, 2절단장치의 설치위치만을 변경한 것에 불과하고 그러한 변경으로 인하여 작용효과상 별다른 차이도 인정되지 아니하므로, 이 사건 제1항 고안은 통상의 기술자가 비교대상고안과 위 종래기술의 결합에 의하여 극히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는 것이어서 그 진보성이 부정된다. 그리고 이 사건 제1항 고안을 인용하는 종속항인 이 사건 제2항 및 제3항 고안에서 부가 또는 한정한 구성 모두 통상의 기술자가 극히 용이하게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사건 제2항 및 제3항 고안 역시 그 진보성이 부정된다.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이 사건 등록고안의 진보성이 부정된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고안의 진보성 판단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차한성(재판장) 김영란 이홍훈(주심)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어항 정수기 고안, 진보성 인정 못 받아

어항용 정수기를 어항 벽면에 부착하는 방식을 약간 변경한 것은 새로운 기술적 사상의 창작으로 볼 수 없으므로, 실용신안권을 받을 수 없다.

#어항 정수기#부착 방식 변경#진보성 부족#실용신안 거절

특허판례

벽면 테이블 고안, 진보성 인정 못 받아

접이식 테이블이 달린 벽면 구조에 광고면을 추가하는 것은 기존 기술의 단순한 조합으로 진보성이 없다는 판결.

#벽면 테이블#실용신안#진보성 부정#광고면

특허판례

인조합판 고안, 진보성 인정 못 받아

새로운 인조 합판 제작 기술이 기존 기술에서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변형에 불과하여 특허로 인정되지 않은 사례.

#인조 합판#진보성 부정#특허 거절#기존 기술

특허판례

발명의 진보성 판단, 어떻게 할까요?

이 판례는 특허의 진보성을 판단할 때 어떤 기준을 적용해야 하는지, 특히 여러 선행기술을 결합하여 진보성을 부정하려면 어떤 요건을 충족해야 하는지를 보여줍니다. 단순히 선행기술의 각 구성요소를 조합한다고 해서 진보성이 부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조합에 대한 암시나 동기가 있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그러한 결합에 이를 수 있다고 인정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특허#진보성#선행기술#결합

특허판례

컨베이어 시스템 팔레트 전원공급장치, 진보성 인정될까?

기존 컨베이어 팔레트 전원공급장치의 스파크 발생 문제를 개선한 새로운 고안이 진보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법원은 하급심이 새로운 고안의 효과를 제대로 심리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환송했습니다.

#컨베이어#팔레트#전원공급장치#스파크

특허판례

얀 공급기 장치 특허, 진보성 인정 어려워

여러 선행 기술을 조합한 실 공급 장치 특허가 진보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특허 무효 판결이 내려졌습니다. 기존 기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당시 기술자라면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조합이라는 것이 판결의 핵심입니다.

#실 공급 장치#특허#진보성 부정#선행 기술 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