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리범위확인(실)

사건번호:

2007후4182

선고일자:

200907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확인대상고안은 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칭이 “교량용 탄성받침대”인 등록고안의 출원 전에 공지된 그 판시의 비교대상고안 1, 2로부터 극히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고안에 해당하지 않고, 등록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제3항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구 실용신안법(2001. 2. 3. 법률 제641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9조(현행 제25조 참조), 제50조(현행 제33조, 특허법 제135조 참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원심판결】 특허법원 2007. 9. 14. 선고 2007허3776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확인대상고안은 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칭을 “교량용 탄성받침대”로 하는 이 사건 등록고안(등록번호 제232756호)의 출원 전에 공지된 그 판시의 비교대상고안 1, 2로부터 극히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고안에 해당하지 않고, 이 사건 등록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제3항(이하 ‘이 사건 제3항 고안’이라 한다)과 이용관계에 있어서 이 사건 제3항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다. 피고가 들고 있는 실용신안권의 권리범위의 해석 및 확정방법에 관한 대법원 판례들은 이 사건과 사안을 달리하여 원용하기에 적절하지 아니하고, 그 밖에 피고가 들고 있는 상고이유도 원심의 판단을 독자적인 견해에서 비난하는 것이어서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양창수(재판장) 양승태 김지형(주심) 전수안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신규성 없는 고안, 실용신안권 침해일까?

이미 알려진 기술을 약간 변형한 정도의 실용신안은 새로운 발명으로 인정받을 수 없고, 따라서 이를 모방했다고 해서 실용신안권 침해로 처벌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실용신안#신규성#권리침해#대법원

특허판례

텐트 설치 편하게 하는 '그 장치', 특허 침해일까?

텐트 설치를 쉽게 하기 위해 탄성매체를 사용하는 고안에서, 스프링을 사용한 고안이 고무밴드를 사용한 등록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판결. 즉, 핵심 기술은 '탄성매체를 이용한 설치 편의'이지, 탄성매체의 종류(스프링 vs. 고무밴드)가 아니라는 의미.

#텐트#설치 편의#탄성매체#스프링

특허판례

스프링 위치, 실용신안 침해 여부를 가르다!

어떤 제품에 스프링을 어떻게 설치할지를 설명하는 실용신안의 권리 범위를 판단할 때, 단순히 출원서에 적힌 글자 그대로의 의미만 보는 것이 아니라, 제품 설명서와 그림까지 함께 봐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스프링이 "연결부재에 삽입"된다고만 적혀 있었는데, 설명서와 그림을 보니 연결부재의 "외부"에 삽입되는 것을 의도한 것으로 해석되었습니다.

#실용신안#권리범위#스프링#삽입

특허판례

전동 체인블럭, 베끼기는 안돼요! - 고안의 신규성과 진보성

기존 체인블럭에 부품을 조금 다르게 배치한 것은 단순한 설계변경일 뿐, 새로운 기술적 효과가 없으므로 신규성과 진보성을 인정할 수 없어 특허가 무효라는 판결.

#전동식 체인블럭#특허 무효#신규성 부정#진보성 부정

특허판례

이동식 학습판, 특허권 침해 아니다!

이동용 학습판(칠판)에 보호필름을 부착하여 마커펜 잉크로 인한 변색을 방지하고 학습판의 수명을 연장하는 기술이 기존 기술과 비교하여 진보성이 인정되어 실용신안권 침해가 아니라고 판결.

#이동용 학습판#실용신안권 침해#보호필름#변색 방지

특허판례

내 디자인 도용?! 특허 침해인지 아닌지 알아보자!

특허받은 고안(등록고안)과 비슷한 다른 고안이 특허의 보호 범위에 들어가는지 판단할 때, 중요한 구성요소들이 모두 있어야 합니다. 일부만 같고 중요한 부분이 빠져있다면 특허 침해가 아닙니다.

#등록고안#권리범위#구성요소#특허침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