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등장애업무방해

사건번호:

2008도11187

선고일자:

200903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불특정 다수인의 업무처리에 사용되는 컴퓨터 등을 대상으로 범한 컴퓨터 등 장애 업무방해죄에 대한 공소사실의 특정 정도 [2] 컴퓨터 등 장애 업무방해죄에 관한 공소사실에 ‘컴퓨터 사용자들의 컴퓨터 사용에 관한 업무’라고 기재한 것만으로는 피해자나 방해된 업무의 내용을 알 수 없어 그 공소사실이 특정되지 않았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형법 제314조 제2항,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4항 / [2] 형법 제314조 제2항,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4항, 제327조 제2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08. 11. 14. 선고 2006노3668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형법 제314조 제2항은 ‘컴퓨터 등 정보처리장치 또는 전자기록 등 특수매체기록을 손괴하거나 정보처리장치에 허위의 정보 또는 부정한 명령을 입력하거나 기타 방법으로 정보처리에 장애를 발생하게 하여 사람의 업무를 방해한 자’를 처벌하도록 규정함으로써, 피해자의 업무를 그 보호객체로 삼고 있는바, 불특정 다수인이 그 업무처리를 위하여 사용하는 컴퓨터 등 정보처리장치 등을 대상으로 하여 위 조항 소정의 범죄가 저질러진 경우에는 최소한 그 컴퓨터 등 정보처리장치 등을 이용한 업무의 주체가 구체적으로 누구인지, 나아가 그 업무가 위 조항의 보호객체인 업무에 해당하는지를 심리·판단할 수 있을 정도로 특정되어야만 하고, 이에 이르지 못한 경우에는 공소사실로서 적법하게 특정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이 사건 공소사실 중 컴퓨터 등 장애 업무방해의 점에 관한 공소사실의 요지는 “피고인들이 공모하여, 피고인들이 개발한 ‘ (명칭 생략) 프로그램’이 통상의 무료 악성프로그램 치료용 프로그램인 것처럼 대대적으로 홍보하면서 심파일 공개자료실 등 (명칭 생략) 프로그램 배포 웹사이트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의 인터넷이용자들을 상대로 약 1,825만 개의 (명칭 생략) 프로그램을 배포하여 그 프로그램이 설치된 각 컴퓨터에서는 넷피아닷컴, 유비즈커뮤니케이션 등 경쟁업체의 각 플러그인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작동되거나 설치되지 못하도록 하고, 시작페이지를 고정시킴으로써 컴퓨터 등 정보처리장치에 허위의 정보 또는 부정한 명령을 입력하거나 기타 방법으로 정보처리에 장애를 발생함으로써, 넷피아닷컴, 유비즈커뮤니케이션의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설치·사용하거나 설치하려고 하는 컴퓨터 사용자들의 컴퓨터 사용에 관한 업무를 방해하였다”는 것인바, 이와 같은 공소사실의 기재만으로는 ‘피해자인 컴퓨터 사용자들’이 누구이고 그 숫자가 몇 명인지 조차 특정되어 있지 않아 몇 개의 컴퓨터 등 장애 업무방해죄를 공소제기한 것인지를 알 수 없고, 또한 위 업무방해죄에 있어서의 업무는 직업 또는 사회생활상의 지위에 기하여 계속적으로 종사하는 사무나 사업의 일체를 의미하므로, 막연히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 자체만으로는 이러한 업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고, 따라서 위 공소사실과 같이 ‘컴퓨터 사용자들의 컴퓨터 사용에 관한 업무’라는 기재만으로는 방해된 업무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알 수가 없어 형법 제314조 제2항의 보호객체인 업무에 해당하는지를 심리·판단할 수 없으므로, 이 사건 공소사실 중 컴퓨터 등 장애 업무방해의 점은 공소장에 구체적인 범죄사실의 기재가 없어 형사소송법 제327조 제2호에 의하여 ‘공소제기의 절차가 법률의 규정에 위반하여 무효인 때’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이 사건 공소사실 중 컴퓨터 등 장애 업무방해의 점에 관한 공소사실을 특정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다. 원심판결에는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공소사실의 특정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양창수(재판장) 양승태 김지형(주심) 전수안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웹사이트 무료 프로그램 다운로드 시 악성 프로그램 설치 유도 사건 분석

무료 프로그램에 악성 프로그램을 숨겨 설치하게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몰래 검색어를 조작하여 검색 순위 등을 조작한 사건. 악성 프로그램 설치는 정보통신망 침입, 악성 프로그램 유포, 컴퓨터등장애업무방해에 해당하여 유죄, 하지만 정보통신망 장애죄는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결.

#악성 프로그램#검색어 조작#정보통신망 침입#악성 프로그램 유포

형사판례

경쟁사 프로그램 방해, 업무방해죄로 처벌될까? - 정보훼손과 공소사실 특정에 대한 고찰

경쟁업체 프로그램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하기 위해 자사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행위가 업무방해죄와 정보통신망법 위반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결

#경쟁업체 프로그램 방해#업무방해죄#정보통신망법 위반#악성 프로그램 유포

형사판례

자동 게시글 프로그램, 악성 프로그램일까?

단순히 인터넷 카페 등에 자동으로 게시글, 댓글, 쪽지 등을 등록하는 프로그램은 정보통신망법상 '악성 프로그램'에 해당하지 않는다. 프로그램이 웹사이트의 기능을 직접적으로 훼손하거나 운용을 방해하지 않고, 일반 사용자의 행위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한다면 악성 프로그램으로 보기 어렵다.

#자동 게시글 프로그램#악성 프로그램#정보통신망법#무죄

형사판례

자동화 프로그램, 악성 프로그램일까?

자동으로 게시글, 댓글, 쪽지 등을 작성하는 프로그램을 판매한 행위가 정보통신망법 위반(악성 프로그램 유포)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결. 대법원은 해당 프로그램이 악성 프로그램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무죄를 선고함.

#자동 게시글 등록 프로그램#악성 프로그램#정보통신망법 위반#무죄

형사판례

게임 치트 프로그램 공유, 업무방해죄일까?

단순히 변조된 게임 프로그램을 인터넷에 올린 것만으로는 게임회사의 업무를 방해했다고 보기 어려워 업무방해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판결. 실제로 누군가 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게임 서버에 접속해야 업무방해가 된다는 의미.

#게임 변조 프로그램#게시·유포#업무방해죄 불성립#실제 사용

형사판례

회사 프로그램 파일 복사, 죄가 될까? - 영업비밀, 업무상배임, 프로그램 복제에 대한 법원의 판단

회사 프로그램 개발자가 재직 중 회사 프로그램 파일을 복제한 행위가 영업비밀 침해, 업무상 배임, 저작권법 위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다룬 판례입니다. 법원은 회사가 프로그램 파일을 비밀로 관리하지 않았고, 개발자는 업무상 필요에 의해 파일을 복제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아 무죄로 판단했습니다.

#프로그램 복제#영업비밀 침해#업무상 배임#저작권법 위반